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그림책 텍스트의 글, 그림, 파라텍스트 기능 및 관계 탐색

        조명숙(Cho, Myoung-Suk)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7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의 각 텍스트들, 즉 글, 그림, 파라텍스트의 기능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위해 문헌고찰을 통해 각 텍스트의 기능을 탐색하고, 이를 그림책을 예시로 들어 제시하고자 한다. 탐색 결과 글 텍스트의 기능은 그림을 이해하는 맥락을 제공하고, 그림과 그림을 연결하며, 독자에게 주의를 기울여야 할 방향을 제시하여 세부사항을 강조한다. 또한 그림의 의미를 확장하고 유추하도록 안내하고, 등장인물의 심리묘사를 표현하는데 그림 보다 경제적이며, 의성어, 의태어 등 그림이 표현하기 힘든 것들을 쉽게 표현함으로써 그림책의 이야기를 더욱 실제에 가까운 것으로 느끼게 만든다. 둘째, 그림 텍스트는 글이 표현하지 않은 세세한 부분까지 장면 가득 정보를 담아 글의 이야기를 확장하고, 글 텍스트에서 부분적으로 언급되거나 불확실한 이야기를 구체화하고 명료화 한다. 또한, 글보다 많은 정보를 쉽게 제공함으로써 이야기를 효율적으로 전개시키며 전체적인 의미를 한 장면으로 한 번에 드러내고, 이야기의 연속성, 인물의 움직임, 여러 공간에서 일어나는 동시적 사건들을 쉽게 표현해 준다. 셋째, 파라텍스트는 그림책을 읽는 독자로 하여금 책 속의 내용을 예측하고, 독자가 책을 탐구하도록 유혹하며, 책의 구성 방식과 책의 목적에 대한 단서를 제공 한다. 또한, 그림책의 이야기를 연장하고 확장시키는 기능을 하고, 책과 독자를 이어주는 매개적 기능을 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그림책의 속성에 대해 중요하게 다룸으로써 그림책 읽기 과정에서 무엇을 강조해야 하며, 글, 그림, 파라텍스트를 어떻게 이해하고 활용하여야 할지에 대해 알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functions of texts in picture books, that is to say the functions of text, picture and paratext. For the foregoing, this study aims to explore following functions based on the advanced studies, and suggest methods of picture book reading activity. First, function of texts is to provide a context for understanding of pictures, connect picture and picture, and emphasize details by suggesting a direction that readers should pay attention. In addition, texts make the story of picture books to be closer to the reality by guiding readers to expand and analogize meaning of pictures, and are economical than pictures in expressing psychological description of characteristics, and easily expressing things that cannot be expressed by pictures such as onomatopoeic words, mimetic words etc. Second, pictures and texts expand the story of texts by filling scenes with information in every minute detail that are not expressed by texts, materializing and clarifying a story mentioned partially in texts or uncertain. In addition to the aforementioned, texts and pictures develop a story effectively and show overall meaning in a single scene by providing much information with ease than texts, and easily express continuity of a story, movement of characters and simultaneous incidents that occur in various spaces. Third, paratext enables readers who read a picture book to predict contents of the book and attract readers to explore the book, providing them with a clue for format and purpose of the book. Paratext also extends and expand the story of picture books with a mediating role to connect books and readers. In conclusion, this study was able to find what we should emphasize in the course of reading picture books and how we can understand and use texts, pictures and paratext by dealing with attribute of picture books.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ed methods of picture book reading based on the above results.

      • KCI등재

        아스퍼거 장애 아동,청소년의 인지적 특성 K-WISC-Ⅳ를 중심으로

        조정숙 ( Jung Suk Cho ),조명숙 ( Myoung Suk Cho ),이효신 ( Hyo Shin Lee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3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아스퍼거 장애(Asperger Disorder: AD)의 인지적 특성을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만 10세∼15세 사이의 아스퍼거 장애 집단과 일반 집단 각 18명을 대상으로 K-WISC-Ⅳ의 전체검사 IQ(FSIQ)와 각 지능 범주별 4요인 지표지수와 소검사 문항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FSIQ는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아스퍼거 장애 집 단의 FSIQ, PRI, WMI는 평균 하 수준(80∼89)이며, 일반 집단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소검사 문항 중 이해(CO), 빠진 곳 찾기(PCm), 행렬추리(MR), 순차 연결(LN), 기호쓰기(CD) 동형찾기(SS) 문항에서 낮은 수행을 보이며 소검사 문항별 불균형한 양상을 보였다. 아스퍼거 장애 집단은 사회적 판단력과 이해, 본질과 비본질을 구별하는 시지각 인지 및 정보처리의 효율성에서 낮은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Asperger disorder. 18 Asperger disorders and the same number of normals aged 10 to 15 are tested to score the full scale IQ by K-WISC-Ⅳ and the results of the four factors and subtests are analyzed at each categories. The research resulted as followings: First, FSIQ has the substantial amount of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FSIQ, PRI, and WMI of Asperger disorders are below than average and it is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them of normals. Second, Asperger disorders show the poor performance at CO, PCm, MR, LN, CD and SS and the imbalance among the subtests. Asperger disorder group have the low social judgment, understanding, visual perception and processing efficiency to figure out the true or false. According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proposals for further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그림책 읽기의 이해방식과 지도방안 탐색

        안영길(Ahn, Young Gil),조명숙(Cho, Myoung Suk)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그림책 읽기 과정에서 일어나는 유아독자의 이해방식을 알아보고 효과적인 읽기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그림책 속 이야기를 구조적 분석의 대상으로 보는 기호학적 관점, 반성적 철학의 틀 속에서 존재론적 시선으로 보는 해석학적 관점으로 이해방식을 각각 살펴보았다. 먼저, 유아는 그림책이란 텍스트를 읽고 그 속에 담긴 의미를 구성하기 위해 상징 그 자체가 어떤 구조와 의미로 이루어져 있는지, 어떻게 의미를 생성하고 해석되어지는가를 분석하는 기호학적 관점에서의 이해가 필요하다. 더불어 유아독자의 배경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심적 변화에 궁극적인 목적이 있는 해석학적 이해도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 따라서 기호학과 해석학의 이론적 관점에 따라 다음과 같은 그림책 읽기 방법을 제안 한다. 첫째, 유아의 배경지식 및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그림책 읽기, 둘째, 그림책의 파라텍스트 요소와 그림을 활용한 훑어보며 읽기, 셋째, 그림책의 글 텍스트와 그림 텍스트를 연결 지으며 읽기, 넷째, 그림책 읽기과정에서 최대한 자유로운 분위기를 조성하여 유아의 생생하고 자유로운 반응을 격려하며 읽기, 다섯째, 반복적 그림책 읽기 활동을 적극적으로 권장하며 읽기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mprehension method of readers occurring during the process of reading picture book and present effective reading methods. Accordingly, comprehension method was examined respectively through a semiotic perspective that looks at a story in picture book as a subject of structural analysis, and a hermeneutics perspective of looking at it from an ontological view within a framework of reflective philosophy. First off, readers need an understanding from a semiotic perspective of reading the text of picture book to analyze its structure with symbolism to compose meaning within, as well as its meaning and the process of creating and interpreting such meaning. Furthermore, they also require an understanding from a hermeneutics perspective with the ultimate goal in psychological change based on their background knowledge and experiences. Accordingly, following methods of reading picture book are proposed. First, picture book reading using readers’ background knowledge and intertextuality. Second, glance reading using picture book’s para-text element and picture. Third, reading by connecting between picture book’s written text and picture text. Fourth, reading by encouraging children’s vivid and free response by forming a free atmosphere as much as possible during picture book reading process. Fifth, reading by actively recommending repetitive picture book reading a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