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4・18 고대행동과 한국의 민주주의 - 고대 민주주의의 논리와 전망 -

        조대엽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10 사총 Vol.71 No.-

        This article, viewing the time between establishment of the Korean government in 1948 and the early 1990s as the historical conjuncture of ‘Division-Statism’, set the flow of social movements during this period as the historical cycle of Minjok-minju Undong (national democracy movement) that developed uniquely. April Revolution in 1960 is considered the sub-period that signaled the cycle of Minjok-minju Undong, and there lies 4・18 Korea University’s Activism (KU Activism) in the heart of April Revolution. When we refer to the democratic values and actions Korea University historically produced and inherently possess as Korea University’s Democracy (KU Democracy), 4・18 KU Activism is the starting point of KU Democracy. Thus, 4・18 KU Activism can be considered to be the cultural origin of KU Democracy. KU Democracy stands on the basis of intellectualism as a Logos-like source, passionism as a Pathos-like source, and ethicism as an Ethos-like source. And such sources are the foundation of legitimacy structure where KU Democracy earns the approval of the civil society. The fact that 4・18 KU Activism spread throughout the country and made April Revolution possible is premised on the structure of consent regarding KU Democracy including students from other universities as well as citizens. This article focuses on such structure of legitimacy on three dimensions: how just, how popular and how historical KU Democracy is. After all, it can be said that as such legitimacy structure of KU Democracy connects to the desire of civil society, conjoins Korea’s democracy.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특집: 시민 사회의 과제와 전망] 시민운동론의 확장을 위하여

        조대엽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00 현상과 인식 Vol.24 No.1ㆍ2

        1990년대 한국의 사회 운동은 패러다임의 전환을 경험했다. 시민 운동은 이전의 민주화 운동에 비해 운동의 이슈, 가치, 조직, 행위 양식, 대중 기반 등에 있어서 새로운 운동 형태를 보였던 것이다. 이 글을 그럼에도 여전히 답보 상태에 머물고 있는 운동 연구의 실태를 비판적으로 성찰하려는 목적에서 씌어졌다. 운동론의 지평을 넓히기 위해서는 지금보다 훨씬 더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연구가 있어야 된다는 점에서 다양한 연구 과제들을 개괄해보았다. 사회 운동은 이제 20세기적 삶의 방식을 지탱하던 다양한 제도들의 시효가 만료되고 대안적 삶의 방식을 출현시키는 중심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사회 운동들은 이미 시민 사회의 자율성을 확장시키는 수준을 넘어서서 개인과 집단의 다양한 관심과 욕구를 반영한 각양각색의 삶을 실천하는 방식을 보여줌으로써 실험적 생활 양식을 시도하는 경향으로 이어지고 있다.

      • KCI등재

        신갈등사회와 정당정치의 위기

        조대엽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09 한국과 국제정치 Vol.25 No.1

        This paper defines characteristic of contemporary society as 'new social conflict society'. The political expression of civil society, the institutionalization of social movements, and the prevalence of social conflicts in everyday life are typical phenomena in new social conflict society. The various political participation processes of civil society in Korea, the institutionalized social movements and the flexible voluntary groups of electronic public, join together threatening the party politics on the one hand, and increase the crisis of political party system by revealing the inflexibility, the lack of communication, and the inefficiency of the existing system, on the other hand. I refer to this lack of communication among government, political party, and civil society as 'depoliticizing', and try to explain the main features of this phenomenon by two concepts, 'mixed politics' and 'niche politics'. These trends of party politics disembled political parties from citizens. Moreover, this unique political party system of Korea exposes the dual crisis because it is overlapped by the crisis structure that the dynamism of new social conflict society induces. To overcome the crisis of party politics, this article emphasizes the 'repoliticizing' party politics by reembedding political parties on civil society.

      • KCI등재

        협력문명의 사회적 기원―협력공동체의 형성과 해체에 관한 문명사적 탐색―

        조대엽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0 民族文化硏究 Vol.86 No.-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social origins of human beings forming a community of cooperation in the history of civilization. The core social origin of cooperative civilization can be found in labor, religion and ideology. Humankind has passed through the era of ‘working cooperation’, ‘religious cooperation’, and ‘ideological cooperation’ in the history of civilization. The new cooperative civilization has appeared as the existing cooperative order was dismantled. The inequality gap in social life among the members of the society of the day was extreme, and new cooperation civilization was born under conditions where exclusion and grievance could no longer endure. The civilizations of working cooperation, religious cooperation, and ideological cooperation were formed and dismantled in the process of historical circulation of civilization. The cycle of cooperative civilization isn’t a sequential order of civilization in which a civilization completely had collapsed and a new civilization has appeared. While the existing cooperative civilization has been weakened to extreme or distorted forms, new cooperative civilization has appeared with the additional and cumulative forms. The fourth cooperative civilization that we should open in the new era after the ideological cooperation, what is called the third cooperative civilization, can be expected to be ‘value cooperation’. 이 글은 인류가 협력의 공동체를 구성하는 사회적 기원에 대해 문명사적으로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협력문명의 주요한 사회적 기원은 노동과 종교와 이념에서 찾을 수 있다. 인류는 문명사적으로 작업협력, 종교협력, 이념협력의 시대를 거친 것이다. 새로운 협력문명은 기존의 협력질서가 해체되면서 나타났다. 당대 사회구성원들의 삶의 격차가 극단적으로 벌어지고 배제와 질곡이 더 이상 견딜 수 없는 조건에서 새로운 협력문명은 태동했다. 작업협력문명, 종교협력문명, 이념협력문명은 이 같은 문명사적 순환의 과정에서 형성되고 해체되었다. 협력문명의 순환은 하나의 문명이 완전히 몰락하고 새로운 문명이 등장하는 식의 순차성을 갖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협력문명이 극단적으로 변형되거나 왜곡된 형태로 약화된 가운데 새로운 협력문명이 추가적이고 누적적으로 전개되었다. 제 3의 협력문명이라고 할 수 있는 이념협력의 시대 이후 우리 시대가 열어야 할 제 4의 협력문명으로 ‘가치협력’을 전망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