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러시아어 능동사전에 대하여

        조남신(Cho, Nam?Shin),박수빈(Park, Subin) 한국사전학회 2016 한국사전학 Vol.- No.28

        Active Dictionary of Russian(=ADR) is an new type of dictionary which aims at combining the latest achievements of linguistic theory with a practical usefulness for a wide range of language learners. ADR is an attempt at its radical modernization in adherence to modern lexicographic principles. In other words, integral description of language and systematic treatment of kindred linguistic phenomena, with the latest theoretical achievements in semantics, syntax, coᐨoccurrence properties and lexicalized prosody. We look forward to showing some lexicographic mechanisms in ADR against other dictionaries. A completely different way to systemize the meaning of words would be alternatives for all of us – grammarians, lexicographers, and laymen alike.

      • KCI등재

        “약속으로서의 설교”:: 루돌프 보렌(R. Bohren)에게서 말씀의 미래시제

        조남신(Cho Nam Shin)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7 신학사상 Vol.0 No.176

        본 논문의 목표는 보렌(R. Bohren)의 󰡔설교론󰡕을 중심으로 “약속으로서의 설교”라는 주제를 경험론적 구도 대신에 신학적 구도 속에서 숙고하는 것이다. 이에 필자는 먼저 “약속으로서의 설교”라는 설교 형태에 대해서 그 신학적 근거를 제시하길 시도했다. 기독교 설교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현존(현재)은 항상 이미 오신 그분(과거)과 앞으로 오실 그분(미래)의 현존이므로, 그의 현존에 대한 증언은 이미 오신 그분에 대한 기억 ․ 상기 ․ 회상과 장차 오실 그분에 대한 약속 ․ 기대 ․ 대망을 통해 온전케 된다. 그리고 기억 ․ 상기 ․ 회상과 약속 ․ 기대 ․ 도래가 예수 그리스도의 과거와 미래를 현재화한다. 그래서 필자는 “기억 ․ 상기 ․ 회상으로서의 설교”라는 설교 형태에 대한 보렌 자신의 논지와 그것과 관련된 후속연구 결과들의 도움을 받아서 “약속으로서의 설교”라는 설교 형태에 대해서도 밀도 있게 갈파함으로써 “예수 그리스도의 현존을 공표하는 사역으로서의 설교”라는 설교 형태로 나아가는 발판을 마련하고자 했다. 그 다음으로 필자는 “약속으로서의 설교”의 언어적 형태화 (Gestaltung) 문제에 대해 다루었다. 보렌은 미래의 예수 그리스도, 오고계시는 그분에 대한 설교에 대해 기술할 때, 보다 더 내용적으로 구분해서 오고계시는 구원자와 심판자에 대한 설교로 기술했다. 오고계시는 구원자와 심판자에 대한 설교의 형태는 그야말로 기쁨과 두려움을 수반하는 형태이다. 이어서 보렌은 오고계시는 그분에 대한 설교를 유머, 하나님의 이름 부르기, 표징, 형상, 환상 등과 관련시키면서, 그러한 것들과의 토론을 전개했다. Das Ziel dieser Arbeit besteht darin, das Thema “Predigt als Verheißung” in einer theologischen statt empirischen Perspektive zu durchdenken in Anlehnung an die vom pneumatologischen Ansatz her entworfene Homiletik R. Bohrens. Ich versuchte also erst die theologische Begründung von der “Predigt als Verheißung” vorzuzeigen. Da in der christlichen Predigt die Gegenwart Jesu Christi immer die Gegenwart des schon Gekommenen und des noch Kommenden ist, wird nach Bohren die Bezeugung seiner Gegenwart ergänzt durch die Erinnerung an die Gekommenen und die Verheißung des Kommenden. Die Erinnerung und die Verheißung vergegenwärtigen die Vergangenheit bzw. die Zukunft Jesu Christi. Also mit Hilfe von den Forschungen nach drei Zeitformen des Wortes bei Rudolf Bohren, versuche ich die Predigtform “Predigt als Verheißung” genauer zu betrachten. Dieser Arbeit behandelt dann die sprachliche Gestaltung von der “Predigt als Verheißung”. Wie ist die Predigt als Verheißung zu gestalten? Bohren beschrieb die Predigt des Kommenden inhaltlich geteilt näherhin als die Predigt des kommenden Retters und Richters. Die Predigt des kommenden Retters verkündigt die Vollendung der Welt. In deren Zentrum steht die endgültige Erlösung der Kreatur. Die Predigt des kommenden Retters verkündigt die Wiederkunft Christi unter dem Aspekt des kommenden Gerichts. Die Gestalt der Predigt des kommenden Retters und Richters ist eine Gestalt der Freude und der Furcht. Indem Bohren die Predigt des Kommenden auf Humor, Namensnennung, Apokalypse, Zeichen, Bildsprache, Phantasie usw. bezieht, entfaltet er die Auseinandersetzung mit etwas derartiges.

      • KCI등재

        "기억·상기·회상으로서의 설교" : 루돌프 보렌(R. Bohren)에게서 말씀의 과거시제

        조남신(Cho,Nam-Shin)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6 신학사상 Vol.0 No.172

        본 논문의 목표는 보렌(R. Bohren)의 『설교론』을 중심으로 "기억·상기·회상으로서의 설교"라는 주제를 경험론적 구도 대신에 신학적 구도 속에서 숙고하는 것이다. 그가 주장하는 바, 설교는 청중들로 하여금 하나님께서 그리스도 안에서 인간들을 위해 행하셨던 일들응 기억·상기·회상하게 하고, 약송의 성취와 그리스도의 재림을 기다리며, 그리스도께서 이전에 계셨고, 장차 오실 분이시며, 또한 지금 여기에 현존하시는 분이시라는 것을 증언한다. 설교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적 현존이 이처럼 그가 우리 가운데 임재하신다라는 구체적인 증언의 형태를 띨 때, 예수 그리스도의 현존은 항상 이미 오신 그분의 현존이므로, 그분의 현존에 대한 증언은 이미 오신 그분에 대한 기억·상기·회상을 통해 온전케 되며, 기억·상기·회상은 예수 그리스도의 과거를 현재화한다. 그러므로 보렌이 제시하는 바, 말씀의 표현방식인 세 가지 시제들(기억=과거, 약속=미래, 현존=현재) 중에서 먼저 소위 과거시제 설교형태에 대해 좀 더 정확하고 자세하게 고찰함으로써 말씀의 미래시제와 현재시제의 설교형태들로 나아가는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다. 그러기에 필자는 여기서 "기억·상기·회상으로서의 설교"에 대해 그 신학적 근거를 제시하고, 그 다음으로 이 설교의 언어적 형태화문제에 대해 다루려는 것이다.

      • KCI등재

        기독교예배의 구성요소로서의 기도에 대한 언어적, 의사소통적 접근: 독일 개신교교회를 중심으로

        조남신(Nam-Shin Cho)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9 신학논단 Vol.97 No.-

        This paper focuses on the worship tradition of the German Protestant Church, and considers prayer as a component of worship not only on the community level but also on the individual level and the theological level as well as on the verbal and communicative aspects. The goal is to develop the discussions more diversely. In terms of content and form, prayer is a very special way of expr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urch(congregation) and God. At this time, the problem of interdependence between ceremonies and doctrines and the problems of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in prayer are strongly highlighted. At that time, by attempting to approach the issues of structure and language as well as contents of prayer in terms of communication and empathy, I would like to take this opportunity to seek such prayer that all the worship attendants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high, linguistic and communicative level so that they can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prayer. However, the lack of knowledge on linguistics and communication theories makes it difficult to advance further academic discussions. Therefore, I hope that many academic studies will be done on the subject of this prayer in the future, and I pray that the prayer given in the name of Jesus will lead to the worship of communication and empathy more thoroughly by experiencing the living God, the name of God and God’s presence.

      • KCI등재

        내용과 형식의 일치에 관한 논의: 루돌프 보렌(Rudolf Bohren)의 이름신학적 설교학의 관점에서

        조남신(Nam-Shin Cho)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21 신학논단 Vol.105 No.-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ent and form was one of the most difficult but the most central topics throughout Western philosophy. They have also been one of the very important pairs of concepts in the fields of art and literature since the 18th century. The issue of the unity of content and form has also become an important issue not only in theology but also in language-related studies. Its confrontation can be said to have been reinforced by a paradigm shift called the empirical change after 1968. Such a change took place in the field of preaching as ‘the new homiletics’ movement. Now, as we enter ‘the era after the new homiletics movement’, issues such as the search for the unity of content and form in the crisis of church and preaching are bound to be raised again. This paper seeks to explore this problem, which can be said to be the longing task of Christian homiletics, in a pioneering way based on Rudolf Bohren’s homiletics and the emerging name theology. In such a case, what I want to seek will be a ‘name-theological, pneumatological, and aesthetic homiletics’, which pursues the unity of content and form, and uses the linguistics of faith, hope, and love. Therefore, I intend to open the way for the reconstruction of Christian theology and renewal of the church by continuously seeking alternatives through name theology.

      • KCI등재

        설교의 기적과 인간의 섬김 사역

        조남신(Cho, Nam-Shin) 한국신학연구소 2014 신학사상 Vol.0 No.166

        본 논문의 목표는 보렌(R. Bohren)의 설교론을 중심으로 '설교의 기적과 인간의 섬김 사역'이란 주제를 신학적인 구도 속에서 고찰하는 것이다. 설교학에 있어서 이 주제영역은 하나님의 말씀과 인간의 말, 기적적인 것과 만들 수 있는 것, 기적과 기술, 성과 속, 내용과 방법 등의 양 차원을 포함한다. 보렌에게 있어서 기적으로서의 설교는 전적으로 '하나님의 일'이다. 그러나 경험론적 설교학이 주장하는바와 같이, 그는 또한 설교자의 관점에서 '인간의 일', 인간의 생산가능성의 측면도 강조한다. 그는 이와 같이 설교의 기적과 생산가능성 사이의 긴장관계, 기적과 기술의 변증법적 관계의 특성을 고려하면서 "설교는 인간이 만들 수 없는 일에 섬김 사역하는 일종의 생산가능성의 행위"라고 강조한다. 그래서 그는 설교사역에 대해서 인간으로서 할 수 없는 일을 감히 하는 모험이라고 묘사하기도 한다. 그러나 경험론적 설교학과는 달리, 무엇보다도 보렌은 성령론적 토대 위에서 하나님과 인간의 파트너십을 지칭하는 '신율적 상호관계성' 개념과 또한 설교의 기적의 실체로서의 하나님의 이름에 관한 사상을 그 중심에 갖다 놓으며, 신학적으로 그의 설교론을 전개한다는 점에서 차별적이다. 결과적으로, 내용과 형식의 일치, 즉 재료설교학과 형식설교학의 융합을 모색하는 차원에서 보렌이 주장하는 바, 설교의 기적에 대한 인간의 섬김 사역은 다음의 세 가지로 제시될 수 있다. ① 약속에 대한 믿음과 기적에 대한 기도, ② 호신명(呼神名, Namensnennung) 행위와 신율적인 예술과 기술, ③ 경외와 기쁨으로 그 이름의 능력을 증언하기. Das Ziel dieser Arbeit besteht darin, das Thema "Der menschliche Dienst am Wunder der Predigt" in einer theologischen Perspektive zu betrachten in Anlehnung an R. Bohrens Predigtlehre. Für Homiletik enthält dieses Thema die beide Dimensionen von Gotteswort und Menschenwort, Wunderbares und Machbares, Wunder und Technik, Heiliges und Profanes, Inhalt und Methode usw. Predigt als Wunder ist bei Bohren ganz Gottes Sache(opus Dei). Aber wie die empirische Homiletik behauptet, betont er auch mit Nachdruck, daß aus der Perspektive des Predigers durchaus das Predigen eine menschliche Tätigkeit( opus humanis) ist. Wobei er so die Spannung zwischen dem Machbaren der Predigt und dem nicht herzustellenden Wunder, bzw. die Eigentümlichkeit des dialektischen Verhältnisses zwischen Wunder und Technik überlegt, betont er, "daß Predigt eine Machbarkeit darstellt, die einer Sache dient, die Menschen nicht machen können". Er beschreibt also die Predigt darum auch als ein Wagnis. Aber Auffallend ist, daß anders als die empirische Homiletik er in der pneumatologischen Grundlage den Hauptbegriff "theonomer Reziprozität" und den Gedanken über den Namen Gottes in die Mitte seiner Predigtlehre legt, und daß er theologisch statt empirisch seine Predigtlehre entwickelt. Schließlich, wie Bohren behauptet in der Dimension, Einheit von Inhalt und Form, d.h. Verbundenheit zwischen materieller und formeller Homiletik zu suchen, läßt sich der menschliche Dienst am Predigtwunder dreierlei sagen wie folgt.: ① Glaube an der Verheißung und Gebet um das Wunder, ② eine theonome Kunst und Technik der Namensnennung, ③ mit Furcht und Freude die Macht des Namens zu bezeugen.

      • KCI등재
      • KCI우수등재

        한국소비재 신제품성패의 결정요인 분석

        조남신(Cho Nam Shin),이진주(Lee Jin Joo) 한국경영학회 1980 經營學硏究 Vol.9 No.-

        The modern decision environment i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multiple objectives or goals, which are generally competing or conflicting. Therfore, it has been well established that virtually every decision making problem involves several key criteria. Mathematical programming techniques based on a single objective criterion such as cost minimization or profit maximization are restricted in application to real-world problems. Radford (14) contended that the goal of a global optimum solution should be discarded when considering complex and multiple objective decision problems. Under the modern complex decision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simultaneously consider all of the multiple and often conflicting objectives appropriately in selecting a best strategy or policy. Among the various techniques which have been developed to handle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problems, goal programming is perhaps the most promising approach as it is an appropriate, powerful, flexible, and pragmatic tool. This technique was originally introduced by Charnes and Cooper (2, 3), and further developed by Ijiri (g) and Lee (11). The goal programming model can be solved through the use of a computer program based on an iterative algorithm. Currently, the most widely used computer program is Lee`s program (11) written in Fortran. Another popular algorithm was developed by Ignizio (7). Lee`s and Ignizio`s programs were designed using the modified simplex method. Lee`s and Ignizio`s programs did not consider efficiency in terms of the running time and storage requirements. Computational inefficiency results from unnecessary information being computed from iteration. to iteration. Recently Arthur (1) attempted to design a more efficient algorithm. This algorithm was tested in comparison with Lee`s algorithm in terms of computational time. Arthur`s goal partitioning algorithm is more efficient than the other two algorithms because it reduces the number of computations by modifying the matrix size when the number of subproblems increases and by eliminating unnecessary nonbasic variables. The critical disadvantage of this algorithm is its inability to provide the final optimal simplex tableau required to perform sensitivity analysis. This paper presents a new efficient GP algorithm based on the product represenation of the revised simplex method in order to overcome deficiencies of computational inefficiency on the part of the Lee and Ignizio algorithms and the lack of the final simplex tableau on the part of the Arthur algorith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