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중나무로부터 식물생장억제물질 glycine betaine의 분리

        윤미선(Misun Yun),최정섭(Jung Sup Choi),조남규(NamKyu Cho),한상섭(Sang-sub Han),김성문(Songmun Kim) 한국잡초학회 2021 Weed & Turfgrass Science Vol.10 No.4

        가중나무를 2013년 전라북도 전주 인근 야산에서 수집하여 음건한 후 methanol(MeOH)로 추출하고, 감압농축건조한 추출물을 유채(Brassica napus L.)를 대상으로 in vitro에서 seed bioassay를 수행한 결과 식물생장을 50% 억제하는 식물생장억제값(GR50)은 739 μg g<SUP>-1</SUP>이었다. 식물생장을 억제하는 생리활성물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MeOH 추출물을 hexane, CH₂Cl₂, EtOAc, butanol, H₂O로 순차분획하고 GR50을 조사한 결과 EtOAc 분획물의 억제효과가 가장 컸으며(561 μg g<SUP>-1</SUP>), EtOAc 분획물을 thin layer chromatography와 column chromatography로 5개의 분리물로 분리하고, 식물생장억제효과를 검정한 결과 EAC 분획물이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냈다(GR50 50 μg g<SUP>-1</SUP>). EAC 분리물을 gas chromatograph mass spectrometry로 분석한 결과 molecular ion (M+)이 m/z 117이고 fragmentaion은 m/z 116, 100, 72, 58이었다. EAC 분리물의 ¹H-NMR(nuclear magnetic resonance)분석결과 δ (ppm)에서 3.30 (9H, d, H-2, 3, 4), 3.85 (2H, s, H-1)에서 proteon signal을 확인하였으며, <SUP>13</SUP>C-NMR 분석결과 δ (ppm)은 52.39 (C-3, 3", 3""), 65.86 (C-2), 167.32 (C-1)에서 carbon signal을 확인하였다. GCMS, ¹H-NMR, <SUP>13</SUP>C-NMR의 분석결과 가중나무 EAC 분리물의 화학명은 1-carboxy-N,N,N-trimethyl이고, 일반명은 glycine betaine으로 확인되었다. Glycien betaie 화합물을 구입하여 유채(Brassica napus L.)를 대상으로 in vitro에서 seed bioassay를 수행한 결과 GR50값은 91 μg g<SUP>-1</SUP>으로 EAC 분리물의 GR50값과 유사하였다.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new herbicide parent mother compound(s) from native plants in Korea. The leaves of Ailanthus altissima Swingle were collected in Jeonju, Jeollabukdo in 1995. The shade dried and powdered plant samples were extracted with methanol (MeOH). The methanol extract of A. altissima was subjected to in vitro seed bioassay on rapeseed (Brassica napus L.).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ethanol extract significantly inhibited the germination of rapeseed with the GR50 (growth retardation 50%) value of 739 μg g<SUP>-1</SUP>. In order to isolate the bioactive substances that inhibit plant growth, the MeOH extract was sequentially fractionated with hexane, dichloromethane, ethyl acetate, butanol, and H₂O. Among them, the EtOAc fraction showed the lowest GR50 value (561 μg g<SUP>-1</SUP>) than other fractions. The EtOAc fraction was further fractionated on column chromatography, which showed 5 fractions (EAA-EAE) with good plant growth inhibitory effect. In these, the EAC fraction showed the highest inhibitory effect (GR50 at 50 μg g<SUP>-1</SUP>). The gas chromatography and mass spectrometry analysis of EAC fraction revealed that molecular ion (M<SUP>+</SUP>) was m/z 117 and fragment ions were m/z 116, 100, 72, and 58.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from GC-MS, ¹H-NMR, and <SUP>13</SUP>C-NMR analyses, the EAC fraction was identified as 1-carboxy-N,N,N-trimethyl, and its common name was glycine betaine. The seed bioassay of glycine betain results revealed that the GR50 value was 91 μg g<SUP>-1</SUP>, which was comparable with the GR50 value of the EAC fraction of A. altissi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