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양식산 참조기 및 수조기 미성어의 계절별 성장 경향과 저수온 내성 특성

        조기채 ( Kee Chae Cho ),강덕영 ( Duk Young Kang ),강희웅 ( Hee Woong Kang ),한현섭 ( Hyon Sob Han ) 한국어류학회 2012 韓國魚類學會誌 Vol.24 No.1

        본 연구는 조기류(참조기, 수조기)의 양식생물학적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육상수조에서의 성장 특성 및 저수온 노출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1년 사육기간동안 수조기 가 참조기에 비해 성장이 빨랐고, CF는 모두 9월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DFI는 모두 9~10월에 최대값을 보인 후 낮아졌다. 사료계수는 참조기가 2.20, 수조기가 1.34였다. 완 만한 수온 하강에 대한 영향은 참조기와 수조기 미성어 모 두 4.7˚C 이하에서 폐사가 발생하였으며, 조기류 월동의 임 계수온은 9˚C로 나타났다.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 of growth and the tolerance of cold temperature in small yellow croaker and yellow drum, the results shows that the growth of yellow drum were faster than those of small yellow croaker with high food convergency efficiency, In condition factor (CF), the results shows that the values of yellow croaker and yellow drum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eptember, respectively. In mortality according to cold shock, two fishes was died under 4.7˚C in slow temperature descending test, but was both died under 9˚C in acute temperature descending test.

      • KCI등재

        말백합, Meretrix petechiails 유생과 초기치패의 영양강화제에 따른 성장 및 생존

        김병학,조기채,지영주,변순규,김민철,Kim, Byeong-Hak,Cho, Kee-Chae,Jee, Young-Ju,Byun, Soon-Gyu,Kim, Min-Chul 한국패류학회 2011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27 No.4

        본 연구는 백합 인공종묘생산 시 유생 및 치패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하여 미세조류 (Chaetoceros gracilis, Isochrysis galbana)에 $B_{12}$, 키토산, PSB 및 다당류 등으로 영양 강화한 먹이생물을 공급하여 유생과 치패의 성장 및 생존율 등을 조사한 결과이다. 실험에 사용한 어미는 2010년 7월 23일 전남 영광군 백수면 하사리에서 채집된 어미를 수송하여 채란한 D형 유생 (각장 $89.7{\pm}6.4{\mu}m$) 과 착저 치패 (각장 $198{\pm}12{\mu}m$) 를 사용하였으며, 시험기간은 2010년 7월 25일부터 10월 4일까지 70일간 시험하였다. 미세조류 (Chaetoceros gracilis, Isochrysis galbana ) 에 $B_{12}$ 0.1 ppm, 키토산 0.2 ppm, PSB 3 ppm 및 다당류 1 ppm 으로 영양 강화하여 유생사육 시 매일 $3{\times}10^3-15{\times}10^3Cells/mL$를 공급하여 성장 및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유생의 성장은 PSB 실험구 $199{\pm}0.59{\mu}m$, $B_{12}$ 실험구 $198{\pm}0.64{\mu}m$, 키토산 $197{\pm}0.52{\mu}m$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생존율은 PSB 실험구가 99.3%로 가장 높았고, $B_{12}$ 95.9%, 키토산 94.5%로 나타났다. 초기치패의 성장은 PSB 실험구가 $2.74{\pm}0.58mm$ 로 가장 높았고, 다당류 $2.67{\pm}0.55mm$, $B_{12}$ $2.54{\pm}0.48mm$, 키토산 $2.49{\pm}0.51mm$ 순이었고, 생존율은 PSB 실험구가 32.1%로 가장 높았고, $B_{12}$ 31.6%, 키토산 28.5%, 다당류 21.4% 순이었음. 이러한 결과 PSB의 경우 백합 초기치패 사육 시 저질 개선 효과가 있어 매우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고, 특히 바닥식 초기치패 사육의 경우 원생동물과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차후에 다른 약품들과 다양한 부분에서 세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he result of examining the growth and survival rate of larva and spat when supplied with Enriched live food by adding $B_{12}$, chitosan, PSB, and polysaccharides to microalgae (Chaetoceros gracilis, Isochrysis galbana) to raise the survival rate of larva and spat during artificial clam seed production. Microalge (Chaetoceros gracilis, Isochrysis galbana) was strengthened for nutrition with $B_{12}$ 0.1 ppm, chitosan 0.2 ppm, PSB 3 ppm and polysaccharides 1 ppm and was daily supplied for $3{\times}10^3-15{\times}10^3Cells/mL$ and the growth and survival rates were measured. As the result of experiment, the growth of larva did not show much difference with PSB test section $199{\pm}0.59{\mu}m$, $B_{12}$ test section $198{\pm}0.64{\mu}m$, and chitosan $197{\pm}0.52{\mu}m$, survival rate was highest at PSB test section with 99.3%, followed by $B_{12}$ test section 95.9%, and chitosan 94.5%. Growth of early spat was the highest for PSB test section at $2.74{\pm}0.58mm$, followed by polysaccharides $2.67{\pm}0.55mm$, $B_{12}$ $2.54{\pm}0.48mm$, and chitosan $2.49{\pm}0.51mm$, and the survival rate was the highest for PSB test group at 32.1%, followed by $B_{12}$ test section 31.6%, chitosan 28.5%, and polysacharrides 21.4%. From such results, PSB is found to be very effective with low-quality improvement when breeding early spat of clams, and especially for floor-type early spat breeding, it had the effect of suppressing protozoan and germs so that detailed studies from various perspectives should be conducted with various chemicals in the future.

      • KCI등재

        굴, Crassostrea gigas 유생의 먹이생물 섭취 크기

        허영백,전창영,조기채,허성범,Hur, Young-Baek,Jeon, Chang-Young,Cho, Kee-Chae,Hur, Sung-Bum 한국패류학회 2011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27 No.4

        유생의 발달크기에 따라 미세조류 12종에 대하여 섭취 가능성을 조사한 결과 유생의 크기에 따라 섭취 가능한 미세조류는 많은 차이를 보였다. 전체 유생크기에서 I. galban, I. aff. galbana, P. lutheri, C. ellipsoidea, N. oculata는 94.2-99.7%의 섭취율를 보였고, C. calcitrans, C. gracilis, C. simplex는 평균 각장 $189.3{\pm}13.8{\mu}m$ 크기인 중형 각 정기 이후 90.0% 이상의 섭취율을 보였다. P. triconutum, D. tertiolecta, T. tetrathele는 평균 각장 $65.0-100.0{\mu}m$의 D형 유생은 섭취가 관찰되지 않았지만, 이후 유생에서는 각각 97.3-99.7%, 43.3-99.3%, 48.5-99.3% 섭취하였다. 그러나 T. weissflogii는 평균 각장 $306.2{\pm}14.7{\mu}m$ 이상에서 1.0-1.7%의 섭취율을 보였지만, 전체 유생기동안 그의 섭취가 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이용해 전체 50.0% 이상 섭취 가능한 먹이생물의 세포크기를 조사한 결과, 평균 각장 $102.3{\mu}m$ 이하의 D형 단계는 장축과 단축 모두 $4.6{\mu}m$ 이하, $158.3{\mu}m$ 미만에서는 장축기준으로 $9.3{\mu}m$ 미만까지 섭취가 가능하고, $158.3{\mu}m$ 이상 크기는 단축 기준 $9.3{\mu}m$까지 섭취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제 유생기 동안 장축과 단축을 포함해서 $10.0{\mu}m$ 이상은 섭취가 되지 않았다. Digestibility index of 12 phytoplankton species were invested during the larval development sizes. Ingestible size of phytoplankton varied depending on larval sizes: Isochrysis galbana, I. aff. galbana, Pavlova lutheri, Chlorella ellipsoidea, Nannochloris oculata was ingested 94.2-99.7% all larval sizes. Cheatoceros calcitrans, C. gracilis and C. simplex could ingest over 90.0% after umbo stage (mean shell length $189.3{\pm}13.8{\mu}m$). Phaeodactylum triconutum, Dunaliella tertiolecta and Tetraselmis tetrathele could not ingested D-shaped larvae (shell length $65.0-100.0{\mu}m$) but ingested 97.3-99.7%, 43.3-99.3%, 48.5-99.3% after then larval stages, respectively. But Thalassiosira weissflogii was ingested 1.0-1.7% only at full grown stage. Over 50.0% ingestion cell size was D-shape stage larvae with smaller than mean $102.3{\mu}m$ in shell length could ingest phytoplankton with $4.6{\mu}m$ in both major and minor axis and up to $9.3{\mu}m$ in minor axis basis for larger than mean $158.3{\mu}m$ in shell length, respectively. At all larval stages, phytoplankton with larger than $10.0{\mu}m$ in both major and minor axis could not be ingested.

      • KCI등재

        회전원판을 이용한 해수 순환여과 시스템에서 암모니아 부하율에 따른 암모니아 제거율

        손맹현,전임기,조기채,김광수,SON Maeng Hyun,JEON Im Gi,CHO Kee Chae,KIM Kang Soo 한국수산과학회 2000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3 No.4

        회전원판식 해수 여과시스템에서 암모니아성 질소 부하율과 수리학적 부하량이 암모니아 제거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일련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 실험에서 회전원판 시스템은 폴리비닐필름 원판으로 여과조를 제작하였는데, 여과조의 표면적은 $12m^2$으로 용적은 $0.075m^3$이다. 회전원판식 시스템에서 암모니아성 질소부하율에 따른 암모니아 제거율을 조사하기 위하여 암모니아원으로 염화암모늄을 $10{\~}150 g$ 첨가하였다. 회전원판식 순환여과 사육시스템의 사육수에 암모니아원으로 염화암모늄을 $10{\~}150 g$ 투입하여 사육수의 암모니아 농도 (x: NH_4-N mg/l)에 따라 회전원판 여과조에서의 암모니아 제거에 필요한 시간 (y: hr)을 조사하였으며, 그 관계식은 다음과 같았다. $y=3.51+7.76 lnx (r^2=0.936)$사육수의 암모니아 농도가 2mg/l일 때 회전원판 여과사육 시스템에서 암모니아 제거에 소요되는 시간은 10시간이었으나, 암모니아 농도가 5와 16.5mg/l에서는 각각 16과 27시간이 소요되었다. 따라서 사육수의 암모니아 농도가 높아질수록 암모니아 제거에 소요되는 시간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회전원판 여과 사육시스템의 최대 암모니아 제거율은 사육수의 암모니아 농도가 16.5 mg/l까지 상승함에 따라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A series of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mmoia removal rate and ammonia loading rates in seawater filtering system using rotating biological contactor (RBC). In this experiment, RBC system was consisted of rotating polyvinyl film disks, which provided $12 m^2$ of total effective surface area in $0.075 m^3$ of volume. $NH_4Cl$ was added by $10{\~}150 g$ as a ammonia nitrogen source to determine ammonia removal rate in RBC system. Relationship between time required for ammonia removal (y: hour) and nitrogen inputted ($x: NH_4-N mg/l$) in RBC system was as followed: $y=3.51+7.76 lnx (r^2=0.936)$. At ammonia concentration $2 mg/l$, it took 10 hour for removal of ammonia in the RBC system. However, at ammonia concentration of $5 and 16.5 mg/l$, it took 16 and 27 hours, respectively. There was a decreasing tencency of an increasing ammonia in the rearing water. Finally, the ammonia removal rate in the RBC system increased with the rise of total ammonia concentration up to $16.5 mg/l$.

      • KCI등재후보

        원유의 WSF (Water Soluble Fraction)가 넙치, Paralicthys olivaceus의 초기생활사에 미치는 영향

        신윤경(Yun Kyung Shin),조기채(Kee Chae Cho),장덕종(Deg Jong Jang),진영국(Young Guk Jin) 환경독성보건학회 2009 환경독성보건학회지 Vol.24 No.2

        원유의 WSF가 넙치의 수정란 및 자어발생에 미치는 독성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유류의 농도에 따른 부화소요시간, 부화율, 생존율, 호흡, 심장박동수의 변화 및 기형율 등을 조사하였다. 부화소요시간은 대조구와 실험농도구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부화율은 대조구와 1.9 ㎍/mL WSF에서 80% 이상이었으나, 3.9 ㎍/mL WSF 이상에서는 55.7% 이하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한편 부화 후 3일 동안의 생존율은 농도의존적 감소현상을 나타내었다. 산소소비율은 대조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며, 심장박동수는 대조구의 경우 부화 전에 비해 부화한 후 다소 증가하였으나, WSF 노출구에서는 감소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기형율은 WSF 농도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주로 척추만곡과 척추형성부전의 현상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toxic effect of WSF (water soluble fraction) in crude oil on the hatch, survival rate, abnormality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fertilized eggs and early larvae in Paralicthys olivaceus. The time required in hatching the fertilized eggs exposure to crude oil was 50.8~53.2 hours both in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5). The hatching rate in the control group was more than 80% in 1.9 ㎍/mL WSF concentration, but hatching rate was less than 55.7% in below of 3.9 ㎍/mL WSF concentration,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p<0.05). The survival rate on the 3rd day of early larval stage was 61.96% with 1.9 ㎍/mL WSF, 11.1% with 3.9 ㎍/mL WSF, and they all died with other concentration levels. The oxygen consumption rate in experimental groups was lower than control group. The heart rate (no./min) was 47.4~52.8 before hatching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but heart rate reduced with the decrease of WSF concentration after hatching. The abnormality was 1.1% in the control group whereas 36.7% with 3.9 ㎍/mL WSF, and abnormality was mostly comprised of incomplete spinal formation and spinal curva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ven low concentration to WSF affects the early development of the flounder, Paralicthys olivaceus.

      • KCI등재

        수온과 광주기에 의한 볼락(Sebastes inermis)의 번식주기 조절

        고창순,장영진,임한규,김종현,조기채,KO Chang Soon,CHANG Young Jin,LIM Han Kyu,KIM Jong-Hyun,CHO Kee Chae 한국수산과학회 1998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1 No.5

        유용 증양식 대상종으로 새끼를 낳는 볼락을 재료로하여 수온과 광주기 조절이 성숙과 번식주기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 출산시기의 제어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월별 GSI의 변화에서 암컷은 Exp.II와 III에서는 서로 큰 차이없이 11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1월에 각각 13.0과 14.7로 최고값이 되었다. 수온과 광주기를 각각 2 개월씩 늦춘 Exp.I에서 조절에 반응하였던 어미들은 Exp.II와 III에 비해 1개월 늦어진 2월에 15.0으로 최고 값을 나타냈다. 그러나 Exp.I에서 조절에 반응하지 않았던 어미들은 전 실험기간 동안 0.5 이하로 낮게 유지되다. 수컷 GSI의 월별변화는 실험구에서 9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Exp.I에서는 10월, Exp.II와 III에서는 11월에 각각 최고값을 보인후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실험구별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HSI의 월별 변화는 GSI와는 서로 상반된 경향을 나타냈으며, 수온과 광주기의 조절은 실험구별 어체의 GSI와 비만도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실험구별 생식소의 발달단계를 관찰한 결과, Exp.I에서 수온과 광주기 조절에 반응하였던 개체들의 난소는 Exp.II와 III에 비해 성숙과 출산이 지연되는 조직상을 나타냈으나, 정소에서는 실험구별 발달단계의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다. 수온과 광주기를 자연상태로 유지한 것과 이를 2개월 늦춘 실험구를 설정하여 사육한 결과, 암컷 볼락은 대조구 (Exp.II와 III)에 비해 조절구 (Exp.I-r)에서 성숙과 출산이 1$\~$2개월 지연된 반면, 수컷에서는 수온과 광주기의 조절 효과가 인정되지 알았다. Experiments on the control of rockfish, Sebastes inermis reproduction were performed by artificially changed water temperature (WT) and photoperiod (PP). The experiments were divided into three conditions; artificial changes of both WT and PP delayed two months against their natural variations (Exp.I), natural WT and PP replaced with artificial light (Exp.II) and natural WT and PP (Exp.III) from September to April (220 days). Initial gonadosomatic index (GSI) in female groups of experiments was 0.2. Female GSI of responded group in Exp.I began to increase from December and reached the highest value in February with 15.0, while the un-responded group kept the lower value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Female GSI of Exp.II and Exp.III reached the highest values in January with 13.0 and 14.7, respectively. Male GSI of Exp,I reached the maximum in October, and that of Exp.II and III reached the maximum in November and then rapidly decreased.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male GSI did not show the different tendency. Monthly changes of hepatosomatic index in both sexes showed the reciprocal tendency with those of GSI. The control of WT and PP did not affect on the changes of HSI and condition factor of rockfish. From the histological observations, maturation of ovary was delayed by the changes of WT and PP, but that of testis was not influenced. Judging from the above results, the maturation and parturition of female rockfish could be delayed one or two months by artificial changes of WT and PP.

      • KCI등재

        굴 Crassostrea gigas 부착기 유생의 부착에 미치는 신경전달물질종의 영향

        허영백,조규태,변순규,전창영,조기채,Hur, Young Baek,Cho, Kyu Tae,Byun, Soon Gyu,Jeon, Chang Young,Cho, Kee Chae 한국패류학회 2013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29 No.2

        굴 부착기 유생의 부착 유인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6종류 (L-3,4-dihydroxyphenylalanine, serotonin, ${\gamma}$-amino butyric acid, norepinephrine, epinephrine, methyl bromide)의 신경전달물질을 채묘기질에 직접 처리하여 굴 부착기 유생의 부착 유인 효과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평균 채묘율는 각각 $29.1{\pm}2.2%$, $35.4{\pm}2.0%$, $19.2{\pm}2.1%$, $11.0{\pm}1.2%$, $15.2{\pm}0.9%$ 및 $42.7{\pm}2.7%$ 로 MB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고, norepinephrine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 (P < 0.05). 채묘기질 $cm^2$당 부착밀도와 부착빈도는 ${\gamma}$-amino butyric acid와 methyl bromide 처리구에서 각각 $1.97{\pm}1.42$ 및 $2.37{\pm}1.86$ 마리/$cm^2$로 가장 높은 부착밀도를 보였다 (P < 0.05). 본 실험결과 굴 인공종묘배양장 등에서 부착기 유생의 부착요율을 높이는데, ${\gamma}$-amino butyric acid와 Methyl bromide를 이용하면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We determined the effects of neuroactive compounds known as synthetic larval settlement inducers on the settlement of the Pacific oyster C. gigas pediveliger on the larval collector. Six types of the inducers, serotonin (5-HT), ${\gamma}$-amino butyric acid (GABA), L-3,4-dihydroxyphenylalanine (L-DOPA), norepinephrine, epinephrine and methyl bromide (MB) were tested. All the chemicals induced larval settlement, MB being the most effective with settlement rate of $42.7{\pm}2.7%$, followed by GABA ($35.4{\pm}2.0%$), 5-HT ($29.1{\pm}2.2%$), L-DOPA ($19.2{\pm}2.1%$), epinephrine ($15.2{\pm}0.9%$), and norepinephrine ($11.0{\pm}1.2%$). The chemicals ${\gamma}$-amino butyric acid and methyl bromide were also better in terms of settled density on the collector with their respective density of $1.97{\pm}1.42$ and $2.37{\pm}1.86\;ind/cm^2$, reminiscent of being most effective candidates for a larval settlement inducer in the oyster hatch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