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역사 다큐멘터리에서의 재현과 진정성의 문제

        조관연(Cho, Gwan-yeo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8 역사문화연구 Vol.31 No.-

        KBS의 역사스페셜 팀이 2006년에 제작한 《박지원의 열하일기, 4천리를 가다》는 새로운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제작되거나 새로운 정보들을 담고 있는 프로그램이 아니다. 연암 박지원이 『열하일기』에서 지나간 사행길을 다시 추적하면서 그 책 안에 담긴 내용들 영상으로 담고자 하는 목적에서 만들어진 프로그램이다. 하지만 이 프로그램은 연암의 취지와는 다르게 중국내 고구려와 조선의 역사적 흔적들을 추적하는 것에 많은 부분을 할애하고 있다. 이 같은 복고적인 민족주의에 대한 향수와 영웅주의를 기반으로 한 구성은 연암이 자신의 여행을 통해 이야기하고자 했던 메시지와는 매우 다르다. 서구와 동아시아의 정세와 지식을 기반으로 조선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성찰적 대안을 모색했던 것이 연암의 의도였기 때문이다. 이 같은 프로그램의 내용은 연암이 당시에 우려하고 있던 조선 사회 지식인들의 폐쇄적인 자민족중심주의를 다시 보여준다. 이 같은 프로그램의 시각과 내용은 현재 한국 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세계에 대한 좁은 지식과 안목 그리고 다른 문화권 사람들과의 건설적인 연대의식과 책임감 부족 현상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 이는 시청자의 의식을 공공선을 위해 한 단계 고양시켜야 하는 공영방송의 본래적 의미와 맞지 않는 일이다. 한국에서 역사 다큐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이기 위해서는 국제적인 공동제작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양질의 역사 다큐를 제작을 위해 필수적인 충분한 제작비를 확보하기가 쉬워지고, 장기간의 기획과 조사를 가능하게 하며, 주제를 심화하기 위해서 필요한 다양한 학문적 네트워크를 활용하기가 쉬워지며, 좀 더 보편적이고 다양한 시각에서 문제에 접근하기 쉬워지며, 제작에 필요한 제반 업무를 해결하기가 쉬워질 것이다. 한국의 역사 다큐 제작팀은 이 제작 방식을 통해 제작과 관련해서 더 많고 다양한 제작 노하우를 축적할 수 있으며, 자신들의 시각도 다양해지고 보편적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같은 변화는 제작자 자신들의 변화에 머물지 않고 역사 다큐를 보는 시청자의 안목에 변화로 이어질 것이다. The program named “Yeolha-ilgi" of Jiwon Park, Go to four thousand miles” produced by Special History Team in 2006 is not the program which is neither made by a new research result nor contains new information. It is made to track the way that Yeonam took in the “Yeolha-ilgi” and to make the contents of that book a video. But this program mainly focuses on tracking the historical vestige of Gogurye in China and Chosun apart from the original purpose of Yeonam. This kind of framework that bases on the reactionary and nationalistic nostalgia and heroism is quite different from what Yeonam wanted to say through his trip. For his purpose it was to point out problems of Chosun and to grope for the reflective alternatives through his knowledge of the situation of Western and East Asia. This content of the program seems to show the closed nationalism of intellectuals of Chosun society again that Yeonam was afraid of at that time. The point of view and contents of this kind of program are closely related to the narrow view and knowledge about the world that Korean society is now facing and the deficiency of constructive fellowship and responsibility with other cultures. This doesn’t fit well the original purpose of the public broadcasting which should improve the audiences’ thought for the public good. To enhance the quality of a historical documentary, international co-manufacturing is needed. This will enable manufacturers to acquire the enough production fee which is essential to make the qualified history documentary, to plan and research for a long time, to easily use various academic networks to develop the theme, to access to the problem from more general and diverse point of views, and to make it easy to solve various matters for a production. Through this way of production Korean historical documentary manufacturers are expected to accumulate the more and diverse production know-how and to make their point of view more diverse and general. Not only will this change be the one of manufacturers themselves, but also this will change the audiences’ judgment about Historical Documentary.

      • KCI등재

        인도네시아 소수집단 대학살의 영화적 재현과 반향

        조관연(Cho, Gwanyeon)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9 다문화사회연구 Vol.12 No.1

        조슈아 오펜하이머가 2012년 제작한 〈액트 오브 킬링〉(The Act of Killing)은 1965~66년 인도네시아에서 벌어진 주로 화교와 노동조합원의 대학살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로 영화제작 방법뿐만 아니라 사회적 영향력 부문에서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오펜하이머는 대학살이라는 주제의 민감성 그리고 기존 다큐멘터리 제작 방식의 한계를 인식하고, 새로운 방법인 “상상의 다큐멘터리” 스타일을 고안해냈다. 오펜하이머는 대학살의 기제와 가해자들의 심층 심리를 포착하고 드러내기 위해 ‘연행을 통한 재연’, ‘네이티브 피드백’, ‘즉흥성’, ‘촉발’ 그리고 ‘상호작용적 초현실 촬영방식’을 활용하였다. 그는 이 방법을 통해 억압된 대학살의 진실을 영화로 재현하려고 하였다. 영화는 처음에는 가해자들을 선악의 구도에서 바라보지만, 점차 연행을 통한 재연이 진행되면서 그도 역시 우리와 같은 인간이며, 자신이 도저히 도피할 수 없는 리얼리티와 함께 고통스럽게 살아갈 수밖에 없는 존재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 영화는 가해자들도 우리와 같은 인간이며, 우리 안의 어두운 그 무엇을 제거하지 못한다면 이런 일은 사회에서 언제든지 반복될 수 있음도 보여준다. The Act of Killing, produced by Joshua Oppenheimer in 2012, is a documentary film about the massacres in Indonesia from 1965 to 1966. It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work in the field of film production methodology as well as social and memory research. Oppenheimer recognized the sensitivity of the subject of massacres and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documentary production methods and devised a new style of “documentary of Imagination” style. Oppenheimer used ‘reenactment through performance’, ‘native-feedback’, ‘improvisation’, ‘provocation’, and ‘a unique way of shooting to capture and reveal the masquerade of genocide and the deep psychology of the perpetrators. In this way he tried to find answers to the six questions about the massacre. Oppenheimer has shown the complex thoughts and meanings the perpetrators had about the massacre. He also tells us that the perpetrators are human beings like us, and that they are inevitably suffering with reality that they can not escape. The film shows that such massacres can be repeated at any time in society unless we destroy the good and bad dichotomy of human beings, and we remove anything dark inside of us.

      • KCI등재
      • KCI등재

        극영화 〈팔도강산〉(1967) 속의 조국근대화 담론과 로컬리티

        조관연(Cho Gwan-Yeon) 인문콘텐츠학회 2009 인문콘텐츠 Vol.0 No.14

        국가에서 생산한 재현물들은 그것이 지배적인 담론을 창출하고 재생산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담론들은 무엇을 받아들일 수 있고, 무엇을 받아들일 수 없는지, 무엇이 정상이고, 무엇이 비정상인지를 규정한다. 이런 영화에서 국가적 이데올로기는 내러티브 속에 복제된다. 재현의 체계로서, 또 내러티브의 구조로서 이런 영화는 이데올로기 분석의 중요한 장이 될 수 있다. 〈팔도강산〉은 1960년대 말 중심부의 “혁명주체” 세력이 지방을 바라보는 시각과 이 안에 담긴 사회ㆍ문화적 함의들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단서들을 제시하고 있다. 〈팔도강산〉은 대통령선거와 국회의원 선거를 각각 두 달과 석 달 앞두고 국도극장에서 개봉되었다. 이 영화는 박정희정권의 정책기조인 경제제일주의와 조국근대화의 성과를 국민에게 널리 홍보하고, 또한 이의 필요성을 계몽하기 위한 내용을 담고 있다. 서울의 김희갑부부가 딸들을 전국 팔도로 시집보내고 이들이 사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이 영화는 당시 한국 사람이라면 이미 익히 들어서 알고 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쉽게 가볼 수 없었던 팔도의 대표적인 자연경관과 문화유산들을 보여줄 뿐 만 아니라, ‘팔도’의 특성을 각기 체화하고 있는 사위들을 통해 이들의 변별적인 특질을 ‘사실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사실적 느낌은 미장센의 구성, 카메라의 운동, 편집 뿐 만 아니라 등장인물 간에 주고받는 ‘사투리 투’의 대사, 현지 로케이션을 통한 촬영 그리고 당시 세인들의 머릿속에 각인되어 있는 팔도에 대한 편견을 통해 강화되고 있다. 이 영화에는 서울을 중심으로 각 지방들 간에는 경제적 그리고 문화적 측면에서 위계질서가 설정되어 있으며, 이를 토대로 각 지방들과 그 안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특성 또는 속성들이 구조화되어 있다. 이 영화에서 전통을 바라보는 시각은 양가적이다. 1960년대 말에는 지방을 둘러싸고 현재 한국인이 가지고 있는 범주와 가치와는 상이한 그 무엇이 있음을 추측하게 하는데, 이와 같은 영향은 아직도 한국사회에서 그 잔재들이 남아 있다. The movie, Six Daughters, was released in Gukdo Movie Theater two months before the presidential election and three months before the general election respectively. This movie was made to promote the economy-oriented doctrine, which was the main policy principle of Park, Jung-hee's Regime, and the results of national modernization to the people along with a story to enlighten the people about its necessity. The movie described how Kim, hee-gahp and his wife, living in Seoul, had their daughters get married to men from different provinces in the country and how they came to live in a new area. Well-known to everyone living in Korea those days, not only did the movie show the prominent natural landscape and cultural heritage of eight provinces that most people couldn't visit and experience easily, but the traits of 'Eight Provinces' through their sons in law, who had naturally adopted to them, by showing their distinct traits very 'Realistically'. The realistic feelings were reinforced by the conversation shared with the characters in a 'dialect tone', filming in each local location and the contemporary the contemporary people had towards the eight different provinces as well as the structure of mise en scene, the movement of cameras and editing. In this movie, in terms of economy and culture, the rank and order between all the local areas was instituted, mainly with the standard of Seoul, based on which each local area and the traits and attributes of people living there were organized. The viewpoint of the movie towards tradition was rather ambivalent. Supposing there was something divergent about the category and value related to local areas in the late 1960s from that Koreans have at present, they say that such a influence has still remained in Korean society somehow.

      • KCI등재

        ‘근대적’ 쾰른카니발의 탄생과 지역 정체성 형성과정

        조관연(Cho Gwan-yeo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9 역사문화연구 Vol.34 No.-

        정체성에 대한 분석은 특정 정체성에 근거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밝히는 것이 되어야 한다. 즉 정체성이 사회적 구성물이라는 점을 인정하고, ‘특정 정체성이 무엇 때문에, 누구에 의해, 어떤 시점과 상황에서 생성되고 유지되 고 재검토되는지’를 설명하는 것이 가장 핵심적인 문제가 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글은 독일의 근대 통일국가 형성기에 쾰른의 일부 시민들이 어떻게 그리고 왜 카니발을 전략적으로 호출하였으며, 그 내용과 맥락이 지역 정체성 형성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에 대해 살펴본다. 두 개의 서로 상이한 정체성을 가진 문화들이 만날 경우 이 둘 사이에는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그리고 군사적인 불평등 관계가 성립한다. 특히 한 문화가 다른 문화를 직접적으로 지배하고 통치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열세에 처한 문화는 이 불평등한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들을 모색한다. 이 방안들은 각 문화들마다 그리고 시기적으로 상이하게 나타나는데, 많은 경우 자신들의 문화적 전통을 다시 호명하고 이를 통해 자신들의 정체성을 다시 확인하고 강화하는 방법들이 주로 사용된다. 프로이센 통치가 시작되면서 쾰른 시민들은 커다란 문화적 차이와 정치적, 경제적 불평등을 경험했다. 로마제국 당시에 태어난 쾰른은 2000년의 역사를 가진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들 중의 하나였으며, 로마문화의 혜택을 가장 많이 받은 도시였으며, 이에 대해 긍지를 느끼고 있었으며, 이탈리아와 가톨릭에 대한 유대도 강했다. 또한 이 영향으로 인해 쾰른은 중세 후기까지도 정치적, 경제적 그리고 종교적 면에서 독일제국 내에서 가장 선진화된 자유제국도시였다. 하지만 프로이센의 통치는 이런 쾰른의 역사와 전통이 경시되었고, 일방적으로 추진되었다. 라인지방의 중심도시로 다시 우뚝 서고 싶었던 쾰른 시민의 욕구는 무시되었을 뿐 만 아니라 오히려 라인지방의 변방도시로 전락하였다. 자유제국도시와 프랑스대혁명 동안 경험한 자유와 평등에 대한 기대도 프로이센의 엄격한 통제 정책에 의해 억압당했다. 이와 같은 요인들로 인해 쾰른 지역유지들이 근대적 카니발을 재조직하게 되었다.쾰른 유지들로 구성된 축제질서위원회는 카니발을 통해 프로이센과는 다른 자신들만의 문화적 전통을 현재 속으로 다시 불러내서 지역적 정체성을 만들고, 이를 통해 지역민들을 도덕적으로 계몽하고 이들을 하나로 묶고자 했다. 또한 쾰른카니발은 프로이센 통치자에게 자신들의 역사와 전통을 과시하고, 자신들의 자존감을 보여주고자 했던 축제였다. 이를 위해 근대적 카니발은 당시 선진적인 이성과 합리성 그리고 규율에 따라 재구성되었다. 자신들의 화려했던 다양한 전통들이 호명되었을 뿐 만 아니라 프로이센에 대항하는 카니발영웅이나 콜로니아 그리고 쾰른농부와 같은 인물들이 새로 만들어졌다. 이 인물들은 프로이센 문화와는 다른 쾰른의 변별적인 역사와 전통을 현시적으로 보여줄 뿐 만 아니라, 자신들의 사회가 나아가야할 지향점을 제시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카니발의 핵인 가면행렬은 이런 내용들이 가장 잘 드러나는 행사이다. With the start of Preussen Government, the Cologne citizens experienced the great cultural differences and the social and financial inequalities. Born during the period of Roman Empire, Cologne was one of the oldest cities in Germany holding the history of 2000 years as the city to have gained the greatest benefits of the Roman culture and had felt the pride and dignity in accordance with strong relations with Italy and Catholics. Moreover, due to this influence, Cologne was the most advanced free city in the German Empire within the political, financial and religious aspects until the late medieval times. However, the reign of Preussen neglected the history and traditions of Cologne and was promoted unilaterally. The desires of the Cologne citizens that aspired to stand tall once more as the central city of the Rhein district was not only ignored and rather promoted as the remote city of the Rhein district. Furthermore, the anticipations on the freedom and equality experienced during the free city and French Revolution was oppressed by the strict controlling policies of Preussen and with such factors, the Cologne region preservations were able to reorganize the modernistic carnivals. The festival order committee composed of the Cologne retentions built the regional identity by recalling their cultural traditions into the present day unlike the Preussen through the carnival and through this process, the district residents enlightened by morals and attempted to tie them into one. Moreover, the Cologne Carnival displayed their history and traditions to the Preussen rulers and had been the festival to display their own sense of self-respect. For this process, the modern carnival was reconstruct according to the advanced reasoning, rationality and the regulations. Not only were their various and brilliant traditions announced but the characters such as the Carnival Hero, Colonia and Cologne Farmer that opposed against the Preussen were newly created. Such characters are not only displaying the distinguished history and traditions of Cologne that were different from the Preussen cultures but also playing the role of indicating the directions points for their society to move. Moreover, the mask parade that is the kernel of the carnival is the event that best displays such contents. The method of Preussen that governed Cologne changes in amity during the mid 19th century when the industrialization of Germany was actively progressed and at this time, the constitution of the mask parade from the Cologne Carnival changes in the amicable direction towards Preussen as well.

      • Uni-flow 소기방식 프리피스톤 수소기관의 배기밸브 면적변화에 따른 역화특성

        조관연(K. Y. Cho),변창희(C. H. Byun),이종태(J. T.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09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09 No.4

        In order to control backfire for a hydrogen-fueled free-piston engine, occurrence backfire and characteristic of combustion are analyzed about area and of exhaust valve by using RICEM(Rapid Intake Compression Expansion Machine) for free piston engine that has uniflow scavenging. As the results, increasing area of exhaust valve is profited to control backfire due to retarded opening timing of backfire limit exhaust valve. In addition, thermal efficiency is decreased by increasing equivalence ratio but it shows effect of compensation with changing area of exhaust valve.

      • KCI등재

        ‘조국 근대화’ 담론과 타문화 인식

        조관연(Cho, Gwan-yeo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1 역사문화연구 Vol.39 No.-

        김희갑 노인은 독일에서 치러지는 딸의 결혼식에 참석하기 위해 세계 여행을 떠나는데, 총 10여 개 국을 방문한다. 성장소설에서처럼 김희갑 노인은 세계 여행을 하면서 각국의 풍물과 문화를 접하고 조국근대화를 위해 필요한 덕목들을 발견할 뿐만 아니라 조국의 가치와 의미도 재발견하게 된다. 또한, 해외에서 활동하고 있는 동포들의 활약상과 한국의 발전상을 새로이 깨닫게 된다. 영화 〈속 팔도강산〉(1968)은 조국근대화 담론의 필요성과 정당성을 계몽하기 위해 제작된 국책영화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른 나라와 국민들이 일방적으로 호출되고, 복무하게 되는데, 영화 속에는 일본, 미국, 브라질, 독일, 프랑스, 이스라엘, 우간다, 월남 등의 나라들이 등장한다. 이들 국가에는 각기 다른 문화적 속성들이 부여되는데, 이 속성들은 한국의 조국근대화를 추동하는데 필요한 본보기 또는 반면교사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본 글은 당시 한국이 처한 국내외의 상황과 당면하고 있는 문제들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 문제들이 각기 다른 국가들에 부여된 속성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고찰하고 있다. Kim Hee Gab, an old man, travels around the world to attend his daughter’s wedding ceremony to be held in Germany, visiting a total of 10 countries. While he travels, as in a growth novel, Kim Hee Gap meets the customs and cultures of other countries, and not only finds the virtue of modernizing the fatherland, but also rediscovers the value and meaning of his fatherland. He also comes to learn about the activities of the overseas Koreans who live in other countries, and the development of Korea. The movie The Land of Korea [Paldo-gangsan] (1968) is a government film that is produced to educate the necessity and justification of the discourse on modernization of the fatherland. For this purpose, citizens of other countries are arbitrarily called upon and served. In this film appeared many countries, including Japan, the United States, Brazil, Germany, France, Israel, Uganda, Vietnam, and etc. For these countries, different cultural characteristics are assigned respectively and play the role of model or lesson for the momentum of the modernization of the fatherland Korea. This paper discusses the internal and external situations where the past Korea were facing, the pending issues at the time, and how these issues were related with the characteristics assigned to the respective countrie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세바스티앙 살가도의 〈다른 아메리카들〉과 삶의 궤적

        조관연(Cho Gwan-yeon) 인문콘텐츠학회 2006 인문콘텐츠 Vol.0 No.7

        살가도는 포토저널리즘도 기록적 가치 뿐 만아니라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는 점을 보여 주었고, 이로 인해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다큐사진작가가 된다. 그가 이런 인정을 받기까지 브라질과 프랑스에서의 삶의 역정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살가도는 브라질과 파리에서 중심부 속의 주변부인으로서의 삶을 산다. 그가 받은 교육과 사회적 환경은 중심부를 지향하면서도 중심부와는 한 발짝 떨어진 삶을 살았다. 이민자, 망명자, 학생으로서의 삶과 당시 그가 살았던 사회를 지배하던 종속이론은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배려와 관심을 갖도록 했다. 박사과정 후 살가도는 국제커피기구나 감마 에이전시 등과 같은 서구 사회의 제도권 안에서 안정된 삶을 누릴 수 있었지만, 진보적인 지식인으로서의 사회적 책임과 의무감은 사진으로 사회의 심층적인 단면을 예술적으로 그려내는 일에 관심을 갖도록 했다. 레이건대통령 암살미수사건을 촬영한 후에 국제적인 명성과 부를 얻게 된 살가도는 예전부터 준비해온 사진집 〈또 다른 아메리카들〉을 출간했다. 이 안의 사진들은 서구독자들의 눈높이와 기대치에 맞춘 주제의식과 표현양식으로 인해 라틴 아메리카의 본질을 제대로 포착하고 전달하지 못한다. 피사체의 개별성과 고유성 그리고 이를 넘어서는 광범위한 진실을 어떻게 드러내야 하는지에 대한 살가도의 고민은 〈다른 아메리카들〉의 출간과 이에 대한 일부 비평가들의 반응으로부터 시작된다. 이 고민은 그가 자기만의 작품세계를 어떻게 구성할 수 있을지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과 연결되어 있으며, 풀기 어려운 과제이다. 하지만 살가도는 이후의 작품집을 통해 이 문제들을 점차 풀어나가기 시작하며, 자기만의 고유한 작품세계를 구축하게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