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활실무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지역사회중심재활 서비스 종사자들의 만족도 및 교육 효과

        조계엽,김완호,김정아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6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9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educational program in-service rehabilitation training,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and understandings of contents and practical availabilities. Method: The subjects were rehabilitation service worker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community should be period K Rehabilitation Hospital provided the participants with in-service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for three days. After the training courses, the participant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including their satisfaction, understanding of contents and practical availabilities. Results were analyzed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al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Results: Results should that nurse practitioners who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program was in the highest frequency, followed by is the physical therapist, occupational therapists, social workers, health occupations, administrative, exercise curer, dental hygiene. The average satisfaction was 4.40 (0.52), understanding of contents and practical applicability were improved significantly (p <.01). Dur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job (p <0.01), educational background (p = 0.006), the main task (p = .012)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tisfac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in-service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was effective for community rehabilitation workers and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ontinued educational program is needed to enhance the capacity of future occupational group practice rehabilitation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workers are needed. In addition, the findings proposed to develop the rehabilitation of practical knowledge and attitude, as well as performance evaluation tool which can be used for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workers.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에서 장애인 재활 서비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재활실무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교육만족도, 교육과목 내용 이해도 및 재활실무적용성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원시실험설계이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지역사회에서 장애인 재활서비스 종사자들이며 K재활병원에서 3일과정으로 실시하는 재활실무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모든 교육생을 대상으로 교육과목 만족도, 재활실무 교육프로그램 교육내용 이해도와 실무적용성을 교육실시 전과 교육실시 후에 자가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평가하여 차이를 검정하였다. 또한 종사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교육프로그램의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하였다. 연구결과: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종사자들은 간호사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 순위는 물리치료사였으며 작업치료사, 사회복지사, 보건직군, 행정직군, 운동처방사, 치위생사 등의 직군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교육만족도 평균은 4.40(0.52)이었으며 교육내용이해도와 실무적용성은 모두 유의하게(p<.01)로 향상되었다. 일반적 특성중에 교육만족도에 차이가 있는 것은 전문직종(p<0.01), 학력(p=0.006),주 업무(p=.012)이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재활실무 교육프로그램이 지역사회 재활서비스 종사자들의 재활실무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지역사회중심재활 서비스 종사자들의 직군별 재활실무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지속적인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며, 또한 지역사회중심재활 서비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한 재활실무 지식과 태도, 그리고 수행능력 평가도구를 개발을 제언한다.

      • KCI등재

        ICF 개념틀을 적용한 지역사회중심재활교육의 분석

        조계엽,김완호,임현정,김효명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6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BR educational courses based on the perspectives of ICF framework, for the exploration about its future direction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a CBR training courses which were completed from 2013 to until the first-half period of 2015. ICF experts who have research experience and two of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education committee classified the contents of each curriculum subject into ICF framework and made the agreement on it. Results were as follows: The number of those who have received education for two and a half year, totalled 1,350. The rate of such education trainees showed that males and females accounted for 19.60 and 80.40%, in turn, respectively. The rates of occupation types were as follows: doctors (0.20%), nurses (31.47%), physical therapists (35.70%), occupational therapists (5.93%), social workers (5.43%), healthcare professionals (10.43%), administrative professionals (3.77%), and any others (7.23%), which showed that physical therapists accounted for the highest rate; nurses for the next highest rate. Regarding 'advantage', there were shown 91.90(average), while as to 'practical ability feasibility', there were shown 86.30(average).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outcome on pre and post-education acquisition of education knowledge' scores of every area were significantly (p<0.01) improved. ICF concept-based education showed that related to 18(13.43) of 'body structures' and 44(32.84) of 'body functions', 44(32.84) of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28(20.89) of environmental factors, in turn, respectively. Regarding the operation of CBR education, e580, health services, systems and policies reach the highest shown(53th), next shown was e115 Products and technology for personal use in daily living. CBR workers provided positive feedback on the effectiveness of CBR related courses. It was also showed that 'activity and participation' and 'body functions' accounted for high ratios in accordance with the education objective of social integration and improvement of life quality of the community disabled. It was suggested that the current curriculum needs to be re-overhauled in a way to reflect the concept of ICF, at a balanced level,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지역사회중심재활(CBR)을 지원하기 위하여 1993년부터 현재까지 보건복지부 소속 국립재활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지역사회중심재활교육을 ICF 개념틀을 기반으로 분석하여 그 철학적 기반을 마련하고 미래 방향성을 조망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2013년부터 2015년 상반기까지 완료된 지역사회중심재활교육 과정에서 수집하였으며 ICF 개념틀에서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주된 연구 내용은, 교육과정에 대한 재활요원들의 만족도와 교과목의 내용 분석이며, 과목별 내용을 ICF 개념틀로 분류하였다. 교육만족도는 교육 후 교육생들이 직접 기술한 설문지 결과를 분석하였고, 과목별 내용 분석은 교육과정별 교과목의 목차를 모두 기재한 후 ICF 개념틀로 분류하였다. 교육만족도를 ‘유익성’, ‘실무적용가능성’, ‘교육내용 습득 전·후 비교’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유익성’과 ‘실무적용가능성’의 평균은 91.9점이었고, ‘교육내용 습득 전·후 비교’의 평균은 교육 후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p<.01)하게 향상되었다. 교과목의 내용분석 결과, 교과목에서 사용된 ICF 코드 수는 총 134개로 ‘신체구조’ 18개, ‘신체기능’ 44개, ‘활동과 참여’ 44개, ‘환경요인’ 28개로 ‘신체기능’과 ‘활동과 참여’ 영역이 가장 많았고, ‘환경요인’이 다음 순위였으며, ‘신체구조’를 다루는 과목이 가장 낮았다. 지역사회중심재활교육에서 사용된 ICF 구성요소별로 범주를 비교한 결과 ICF 총 범주 362개 중, 지역사회중심재활교육에 나타난 범주는 134개로 37.0% 반영되었고, 이 중 신체기능이 가장 많이 반영되었으며 신체구조가 32.1%로 가장 낮았다. 지역사회중심재활교육은 장애인 재활사업을 활성화하는데 있어서 정보 및 지식 제공, 그리고 기술지원이 주 목적이기 때문에 지역사회중심재활을 수행하는 담당자들의 참여도가 매우 높고 교육평가도 매우 긍정적이었다. 또한 교과목의 분석 결과 ICF 개념틀을 매우 고르게 반영하였으나 전체적으로 반영비율은 낮은 수준이었다. 인간의 건강과 장애를 통합적으로 바라보는 ICF의 개념틀의 4가지 영역을 지역사회중심재활교육에서 매우 고르게 반영한 것으로 파악된 본 연구결과는 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향후, 재활요원의 교육내용 이해도 및 세부적인 교육 내용의 ICF 개념틀 적용 등의 후속 연구를 진행되기를 제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