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햇볕잭살 제다법 연구

        박상기 ( Park Sangi ),김종철 ( Kim Jongcheol ),조경환 ( Cho Kyounghwan ),황정규 ( Hwang Jungyu ),강은주 ( Kang Eunju ),임현정 ( Im Hyeonjeong ),신유진 ( Shin Yujin ) 원광대학교 한국예다학연구소 2016 한국예다학 Vol.3 No.-

        하동지역 잭살은 차(茶)와 연관되어 포괄적인 내용으로 쓰여 지고 있다. 하지만 차를 만들고 음용하는 지역 사람들에게 `잭살`은 발효차에 한정되어 통용되는 것이 보편화 되어 있다. 예컨대 녹차의 상대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잭살의 연원이 발효차와 관계 되어 형성되 왔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하동 잭살의 시원으로 언급 되고 있는 `칠불선원차`를 『동다송』에서 초의(草衣,1786∼1866)가 적시한 대로 제다 해 본 결과 백차로 본다. 일광위조와 건조의 방식, 차탕의 옅은 담황색에서 황색, 붉은색, 암갈색으로 변화는 과정이 증명한다. 발효차인 햇볕잭살은 햇볕 아래서 전 공정이 진행됨으로 칠불선원차에서 그 일단을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유념 공정의 추가로 수색과 건엽, 엽저등에서 차별성을 보이며 일쇄형 홍차로 구분된다. Jaeksal in Hadong region is associated with tea and is used to provide comprehensive information. Nevertheless, Jaeksal is commonly used with widespread effect for those who create and drink tea. For example, it is used as a relative concept of green tea. In this study, the origin of Jaeksal is mentioned with Chilbul temple tea, making tea this year in timely manner in “Dongdasong” resulting in white tea. The daylight way of counterfeiting and drying, changing to yellow, red, dark brown, light from light yellow proves this process. From the fermentation difference, Sunshine Jaeksal can find first grade in Chilbul temple tea as the tea proceeds under the sun. On the other hand, the distinction appears to add a fair mind. Dried leaves, wet leaves are Sun-dried black t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