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PA를 활용한 도시재생 뉴딜사업 성과평가 : 강원도를 중심으로

        조강현(Cho, Kanghyun),김승희(Kim, Seunghee) 한국주거환경학회 2021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9 No.4

        도시재생은 지속적으로 확산되는 추세이며, 단발성 사업이 아니라 지속적 관리와 개선을 통해 발전해 나가야 하는 사업이다. 따라서 도시재생의 성과평가는 사업의 지속성과 효율성을 위해 필수적으로 거쳐 가야 할 과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사업의 성과평가 방식과는 달리, 주민대상 설문을 통해 사업의 성과를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강원도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대한 선험적 성과평가를 통한 피드백과 주민대상 설문결과 분석을 통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재생사업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인 항목은 공동체 회복과 관련된 사업으로, 도시재생사업은 주민주도적 도시정책사업으로서의 정체성을 확고히 하고 있다. 둘째, 시설공급에 대한 만족도는 중심시가지형과 경제기반형에서 만족도가 낮다. 그러나 아직 사업 시행단계임을 고려하여 지속적인 교육 및 주민참여 확대를 통해 체감만족도를 높여 사업의 지속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개별 사업의 규모가 비교적 작고 주거지역에 중점을 두는 사업이 상대적으로 주민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았다. Urban regeneration is a trend that continues to spread, and it is not a one-time project, but the project that must be developed through continuous management and improvement. Therefore, performance evaluation of urban regeneration is an essential process for the sustainability and efficiency of the project. Therefore, unlike the existing project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this study attempted to derive the results of the project through a survey for residents and policy implications through feedback through a priori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in Gangwon-do.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tem with the highest satisfaction in the urban regeneration is a project related to community recovery, and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solidifies its identity as a resident-led urban policy. Second, satisfaction with facility supply is low in the central city and economic infrastructure.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project is still in the implementation stage,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continuity of the project by increasing the satisfaction level through continuous education and expansion of resident participation. Finally, projects that are relatively small in size and focus on residential areas received relatively good reviews from residents.

      • KCI등재

        소형 농업 저수지인 금풍저수지에서 침수식물의 분포, 식생구조 및 생물량

        조강현 ( Kang Hyun Cho ) 한국하천호수학회 2012 생태와 환경 Vol.45 No.1

        Distribution, abundance and biomass of submerged macrophytes were assessed using a double-headed rake and an echo-sounder in the Keumpoong Reservoir to investigate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submerged macrophytes in a small agricultural reservoir located upstream. Slope steepness and water depth in the littoral zone were important controlling factors on flora and vegetation structure of submerged macrophytes. Biodiversity of submerged macrophytes was increased at a gentle slope of the littoral zone. The results of DCA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showed that the structure of submerged vegetation depended on the depth of water. Submerged macrophytes were distributed at the maximum water depth of 2.8m in the Keumpoong Reservoir. The area occupied by the submerged macrophytes was estimated at only 6% of the total reservoir area because of the steep slope of the littoral zone and the large annual water-level fluctuation of 3.5 m. The increase of water level and inflow of turbid water in the rainy season might reduce the biomass of submerged macrophytes in the reservoir. It may be concluded that submerged vegetation in the Keumpoong Reservoir, a small agricultural reservoir located at the upstream, appears to be particularly susceptible to water level fluctuations and slope steepness of the littoral zone.

      • KCI등재
      • KCI등재

        도시재생지원센터 직무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 강원도 내 도시재생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조강현(Cho, Kang Hyun),김승희(Kim Seung Hee) 대한부동산학회 2021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9 No.4

        도시재생사업은 도시의 쇠퇴에 대응하여 물리적 환경개선과 더불어 지역 주민의 역량을 강화하여 도시를 재생하기 위한 사업이다. 도시재생사업은 주민참여형 도시정책이라는 점에그 정체성이 있어 주민과 행정기관을 연결하는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도시 재생사업 필수 중간지원조직인 도시재생센터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의 수가 도시재생사업이 점차 확대·본격화됨에 따라 증가하고 있어 근무자들의 어려움 역시 표면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재생지원센터 근무자들의 직무만족도와 직무만족 영향요인을 분석함으로써 근무자들이 겪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책을 모색하여 도시재생사업의 효율성과 지속성을 제고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강원도 내 총 37개소 도시재생지원센터의 근무자 134명 전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요인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여 직무만족 영향요인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직무만족 영향요인은 업무 및 동료관계, 보상공정성, 고용안정성으로 요인화되 었다. 업무 및 동료관계에 포함되는 문항은 타 지표에 비해 긍정적이나, 보상공정성 및 고용 안정성에 해당하는 지표는 비교적 열악한 상황에 처해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 중 업무 및동료관계와 보상공정성은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고용안정성은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사업단위 계약 고용이라는 고용형태에 대한 사전정보로 인해 개선 기대감이 없기 때문으로 보인다. Sinc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re resident-participating urban policies, the role of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s connecting residents and administrative agencies is important. The number of employees working at the Urban Regeneration Center, an essential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s increasing as urban regeneration projects gradually expand and begin in earnest, revealing the difficulties of workers.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sustainability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by analyzing the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of workers at the Urban Regeneration Support Center. For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134 workers at a total of 37 urban regeneration support centers in Gangwon-do, and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o derive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were factorized into work and peer relationships, compensation fairness, and employment stability. The items included in work and peer relations are positive compared to other indicators, but the indicators corresponding to compensation fairness and job security seem to be in a relatively poor situation. Among them, work and peer relationships and compensation fairness were analyzed as factors with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However, employment stability did not appear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work satisfaction, apparently because there was no expectation for improvement due to prior information on the employment type of business unit contract employment.

      • KCI등재후보

        하천 하안대에서 입지 연령에 따른 선버들과 왕버들의 생물량 변화

        조형진(Hyung-Jin Cho),진승남(Seung-Nam Jin),조현석(Hyunsuk Cho),조강현(Kang-Hyun Cho) 응용생태공학회 2017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4 No.3

        버드나무 속 식물은 하천 복원시 사용되는 대표적인 생물재료이고 하천에서 주요 관리대상이 되는 식물이다. 낙동강의 모래하천 하안에서 선버들과 왕버들의 수령에 따른 생장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이들의 생물량 추정을 위한 상대생장식을 유도하고 입지 연령에 다른 이들 군집에서 밀도, 줄기 높이, 기저면적 및 생물량을 조사하였다. 선버들은 발아한 후 3년과 왕버들은 6년까지 줄기 밀도가 급격하게 감소하여 자기 솎음이 강하게 일어났다. 두 식물의 줄기 높이는 선버들은 수령 15년에 7.5 m까지 왕버들은 수령 13년에 14 m까지 증가하였다. 또한 지상부 생물량은 생장초기에 급속히 증가하였으며 선버들은 수령 13년에 17 ton DM/㏊까지 왕버들은 수령 13년에 1,110 ton DM/㏊까지 증가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 유도된 버드나무 속 식물의 상대생장식을 이용하면 이들 식물의 생물량을 객관적으로 추정할 수 있어서 하천에서 수목 관리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Willow plants are representative biomaterials used in river restoration and main target trees in stream managemen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the growth of Salix subfragilis and S. chaenomeloides with their stand ages, we investigated the density, height and basal area of stems and biomass at their different aged stands of the riparian zone of the sand-bed stream, the Nakdong River, Korea. We also developed allometric equations for estimating the biomass of these two species by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iameter at breadth height and tree height with above-ground biomass. The stem density showed a sharp decrease for 3 years after germination for S. subfragilis and 6 years for S. chaenomeloides, resulting in strong self-thinning. The stem height of the two species increased to 7.5 m in 15 years for S. subfragilis, and to 14 m in 13 years for S. chaenomeloides. Aboveground biomass also increased rapidly at the early stage of growth. The biomass increased to 17 ton DM/㏊ in 13 years for S. subfragilis and to 1,110 ton DM / ㏊ in 13 years for S. chaenomeloides. It is expected that the allometric equations of two Salix species derived from this study will be applied to the objectively estimating the biomass of willow plants for the management of floodplain trees in streams.

      • 한반도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수변 외래식물인 털물참새피의 분포 변화 예측

        조강현,이승,Cho, Kang-Hyun,Lee, Seung Hyun 응용생태공학회 2015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2 No.3

        기후변화에 따른 침입외래식물의 잠재적 분포지를 예측하는 것은 하천과 저수지에서 생물다양성 보전과 생태적 관리를 위하여 중요하고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에서 털물참새피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의 잠재적 미래 분포에 미치는 기후변화의 영향을 파악하였다. 털물참새피는 담수생태계의 수변에서 심각한 경제적, 환경적 영향을 미치는 침입 초본식물이다. 현재와 미래의 기후에서 털물참새피의 잠재적 분포를 추정하기 위하여 Maxent 모델을 적용하였다. 기후변화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현재 기후 자료로서 Worldclim 1.4의 19개 기후 변수를 사용하였고, 미래의 기후 자료로서 RCP 2.6와 RCP 8.5 시나리오에 따라서 HadGEM2- AO에 의하여 예측된 기후 변수를 사용하였다. 예측된 털물참새피의 현재 잠재분포지는 실제 위치 자료와 거의 일치하였다. 이 식물의 잠재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변수는 가장 따뜻한 분기의 강수량, 연평균기온 및 가장 추운 분기의 평균기온이었다. 2050년에 기후변화에 따른 털물참새피의 분포 예측에 의하면 이 식물의 현재 분포지에서는 기후 적합성이 대체로 감소하였고, 이 식물이 보다 내륙과 북쪽으로 분포지가 확대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예측 모델은 잠재적 분포를 이해하고 분포 변화에 미치는 기후변화의 영향을 파악하며 외래식물에 의한 생물적 침입의 위해성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Predicting the changes in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invasive alien plants under climate change is an important and challenging task for the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and management of the ecosystems in streams and reservoirs.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the potential future distribution of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in the Korean Peninsula. P. distichum var. indutum is an invasive grass species that has a profound economic and environmental impact in the waterfronts of freshwater ecosystems. The Maxent model was used to estimate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P. distichum var. indutum under current and future climates. A total of nineteen climatic variables of Worldclim 1.4 were used as current climatic data and future climatic data predicted by HadGEM2-AO with both RCP 2.6 and RCP 8.5 scenarios for 2050. The predicted current distribution of P. distichum var. indutum was almost matched with actual positioning data. Major environmental variables contributing to the potential distribution were precipitation of the warmest quarter, annual mean temperature and mean temperature of the coldest quarter. Our prediction results for 2050 showed an overall reduction in climatic suitability for P. distichum var. indutum in the current distribution area and its expansion to further inland and in a northerly direction. The predictive model used in this study appeared to be powerful for understanding the potential distribution, exploring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the habitat changes and providing the effective management of the risk of biological invasion by alien plants.

      • KCI등재후보

        팔당호 연안대에서 저토와 수체에 대한 대형수생식물의 반작용

        조강현,박상규,김준호 ( Kang Hyun Cho,Sang Kyu Rark,Joon Ho Kim ) 한국하천호수학회 1994 생태와 환경 Vol.27 No.1

        To verify influences of macrophytes on sediment and water in the littoral zon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diment and root biomass at the clipped and the vegetated plots of stands of Typha angustifolia and Zizania latifolia, and water chemistry along a transect from the shore toward pelagic zone were studies in Lake Paltangho. The upper sediment of the vegetated site with large root biomass showed more oxidative condition, less NH_4^+-N, and less available nitrogen and phosphorus measured by ion exchange resin bag method than those of the clipped site. Electric conductivity(EC) and NH_4^+-N concentration of the water were lower in the littoral zone of submersed macrophytes than those in the pelagic zone during the growing season. EC and concentrations of inorganic nitrogen and potassium of water were lower at the stand of Z.latifolia than those in the pelagic zone during its growing season. During the declining season, however, EC and concentration of inorganic nutrients were higher in the littoral zone than those in the pelagic zone. Therefor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diment and water were changed with the growth stages of macrophytes in the littoral zone of Lake Paltangho.

      • GAN을 활용한 기상조건에 따른 하늘 이미지 생성

        조규철(Cho Kyu Cheol),조강현(Jo Kang Hyeon)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4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1

        현재 생성형 AI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가운데, 대부분의 이미지 생성 AI는 프롬프트를 기반으로 한 Text-To-Image 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프롬프트 기반의 생성 AI는 실제 서비스에 도입하기 어려운 점이 많다. 여러 이미지 중, 하늘 이미지는 메타버스 등 가상 공간에서 매우 자주 사용되는 이미지 중 하나이면서 여러 입력값에 의해 이미지가 달라진다. 이 논문에서는 GAN을 활용해 기상 조건에 적합한 하늘 이미지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설계 및 구현한다.

      • 한반도에서 종 분포 모델을 이용한 두 침입외래식물, 돼지풀과 물참새피의 잠재적 분포 예측

        이승,조강현,이우주,Lee, SeungHyun,Cho, Kang-Hyun,Lee, Woojoo 응용생태공학회 2016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3 No.3

        종분포 모델은 어떤 지역에서 침입외래종이 어떻게 확장되고 어떤 환경 요인이 이들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는데 매우 유용한 도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에서 두 침입외래종인 돼지풀 (Ambrosia artemisiifolia)과 물참새피 (Paspalum distichum)의 분포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 두 종의 현재의 분포지에서 기후환경 요인을 분석하고 이 두 종의 분포를 예측하기 위하여 Maxent (the maximum entropy) 모델을 이용하였다. 이 두 종의 출현 자료는 Global Biodiversity Information Facility와 우리나라의 식물종 데이터베이스에서, 생물기후 자료는 WorldClim 자료로부터 얻었다. 모델을 수행한 결과, 자생지 위치자료를 이용한 예측 결과보다 전지구 위치자료를 이용한 예측이 연구 대상종의 잠재적 분포지를 잘 설명하였다. 이들 종의 분포에 기여한 기후환경 요인으로서 돼지풀에서는 최건월의 강수량과 연평균온도가, 물참새피에서는 연평균온도와 최한사분기의 평균온도가 선정되었다. Maxent 종분포 모델은 외래종의 침입을 예측하고 이들의 확산을 관리하는데 유용한 도구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e species distribution model would be a useful tool for understanding how invasive alien species spread over the country and what environmental variables contribute to their distributions.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two invasive alien species, the common ragweed (Ambrosia artemisiifolia) and knotgrass (Paspalum distichum) in the Korean Peninsula. The maximum entropy (Maxent) model was used for the prediction of their distribution by inferring their climatic environmental requirements from localities where they are currently known to occur. We obtained their presence data from the Global Biodiversity Information Facility and the Korean plant species databases and bioclimatic data from the WorldClim dataset. As a results of the modelling, the potential distribution predicted by global occurrence data was more accurate than that by native occurrence data. The variables determining the common ragweed distribution were precipitation of the driest month and annual mean temperature. Both annual and the coldest quarter mean temperatures were critical factors in determining the knotgrass distribution. The Maxent model could be a useful tool for the prediction of alien species invasion and the management of their expansion.

      • 우리나라 저수지 호안에서 외래식물의 현황

        조현석,조강현,Cho, Hyunsuk,Cho, Kang-Hyun 응용생태공학회 2015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2 No.4

        저수지 호안은 생물 침입에 취약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저수지 호안에서 침입식물의 종조성의 현황과 외래식물상과 환경요인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다양한 수위 관리를 하고 있는 35 개 저수지 호안에서 외래식물 식물상과 지형, 수문, 수질 및 토양 환경 요인을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 저수지 호안에서 외래식물은 56 종이 발견되어 출현식물 총종수의 15%를 차지하였다. 이들 외래식물을 도입시기별로 분류하면 1876 - 1921 년인 개항 직후에 도입된 것이 57%로서 많았다. 또한 이들의 원산지는 아메리카와 유럽이 80% 이상으로 많았다. 특이한 분포를 나타내는 외래종은 단풍잎돼지풀 (Ambrosia trifida)이 중부 지역에, 물참새피 (Paspalum distichum)가 남부 지역에 제한적으로 분포하였다. 저수지 호안에서 외래식물 식물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환경 요인은 연간 수위변동폭, 중앙수위 범람빈도, 수질오염 지수, 암석노출도 및 평균 사면 경사도이었다. 결론적으로 수위 관리와 기타 인간 교란이 가해지는 저수지 호안은 외래식물의 침입에 취약하였다. 저수지 호안의 효과적인 보전을 위하여 외래식물의 초기 도입을 탐지할 수 있는 주기적 모니터링 체계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reservoir shores seem to be vulnerable to biological invas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the floristic composition of alien plants and their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on reservoir shorelines in Korea. We investigated flora of alien plants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geomorphology, hydrology, water quality and soil on the shoreline of a total of 35 reservoirs with different water level managements. There were 56 species of alien plants, which was 15% of the total plant species identified in the study of reservoirs. A total of 57% of these alien species were the species which were introduced shortly after opening the port from 1876 to 1921 in Korea. More than 80% of the alien plants on the reservoir shores originated from America and Europe. The current distribution of Ambrosia trifida and Paspalum distichum were restricted in the central part and the south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respectively. The water level fluctuation, flood frequency at the median water level, water pollution index, coverage of rock exposure and mean degree of shoreline slope were determined as important environmental factors that have an effect on the characteristics of shoreline alien flora.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reservoir shore was in danger of being invaded by alien plants due to the water level management and other human disturbances. For effective conservation of the reservoir ecosystem, periodic monitoring systems are required for the early detection of alien species on the reservoir sh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