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스트코로나 시대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영향 요인

        제남주,박미라,박은실,김혜진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4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8 No.5

        본 연구는 경상북도 P시 간호대학생 132명을 대상으로 협력적 자기조절, 협력적 자기효능감, 팀 효능감, 학습태도, 학업스트레스를 파악하고 이들의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방법,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와 Hierarchical regression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업스트레스는 협력적 자기조절, 협력적 자기효능감, 팀 효능감, 학습태도와 부적상관관계가 있었다. 모델 1에서는 전공만족도가 학업스트레스에 유의한 영 향요인 이었으며 총 설명력은 12.2%였다. 모델 2에서는 학습태도가 학업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 고 총 설명력은 21.4%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겪은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를 낮 추기 위해서는 그들의 전공만족도를 높이고, 학습태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dentify cooperative self-regulation, cooperative self-efficacy, team efficacy, learning attitude, and academic stress among 132 nursing students in one city, and to determine factors that affect their academic stres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and using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methods. As a result , in Model 1, major satisfaction was a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academic stress and the total explanatory power was 12.2%. In Model 2, learning attitude was a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academic stress and the total explanatory power was 21.4%.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believed that in order to reduce the academic stress of nursing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the post-corona era,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hat can increase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and influence their learning attitude.

      • KCI등재

        임상실습 1년차의 임상실습적응에 미치는 영향 요인

        제남주,화정석,박미라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11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clinical practice adaptation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clinical practice adaptation for the first year of clinical practice. The subjects were 153 nursing students and medical students in G-do.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1 to April 30, 2019, and analyzed using a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IBM SPSS WIN/21.0. The mean of college adjustment, character, interpersonal competence,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clinical practice adaptation was 3.37 points, 3.82, 3.61, 3.56, and 3.54, respectively. Clinical practice adaptation was related to college adjustment, character,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p<.001).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clinical practice was interpersonal competence (β=.502, p<.001), followed by department adaptation (β=-.215, p<.001) and college adjustment (β=.174, p=.010), respectively. The explanatory power was 41.1% (F=34.11, p<.001). Therefore, a way to improve interpersonal competence is needed to advance clinical practice adaptation. In the character building program for adjustment to college life, systematic education is needed, including the opportunity to think about and understand oneself, continuous meeting to understand and accept others. In addition, repeated communication training to improve interpersonal competence is needed. 본 연구는 임상실습 1년차 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실습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임상실습적응을 높이기 위한 대책 마련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G도의 간호대학생과 의과대학생 15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9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였고, 자료분석은 IBM SPSS WIN/21.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을 사용하였다. 대학적응은 평균 3.37점, 인성은 평균 3.82점. 대인관계 유능성은 평균 3.61점, 의사소통은 평균 3.56점, 임상실습적응은 평균 3.54점이었다. 임상실습적응은 대학적응, 인성, 대인관계 유능성, 의사소통과 순상관관계가 있었다(p<.001). 임상실습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인관계 유능성(β=.502, p<.001)이었고, 그 다음으로 학과적응(β=-.215, p<.001), 대학적응(β=.174, p=.010) 순으로 나타났다. 설명력은 41.1%이었다(F=34.11, p<.001). 따라서 임상실습적응의 향상을 위해 대인관계 유능성을 높여줄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며,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에는 자신에 대해 생각해보고 이해할 수 있는 계기마련과 지속적인 만남을 통한 타인의 이해와 타인수용이 필요하다. 또한, 반복적인 의사소통 훈련을 통한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을 시킬 수 있는 내용의 체계적인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대학생의 치매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제남주,박미라,양현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의 치매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치매교육프로그램 기초자료제공을 위해 시행되었다. C대학교 학생 230명을 대상으로 2018년 3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치매지식과 치매예방교육 요구도 및 치매태도를 조사하였으며, SPSS 21.0 vervion을 이용하여 서술통계와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자료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치매태도는 성별, 부모부양의사, 치매문제에 대한 관심도, 가족 구성원 중 치매환자 유무와 치매환자가 있을 때 외부공개 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또한 치매태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치매예방교육 요구도였으며(β=.391, p<.001), 그 다음으로 치매문제의 관심(β=-.322, p<.001), 가족 중 치매환자가 있을시 공개여부(β=-.322, p<.001), 가족 중 치매진단여부(β=-.322, p<.001)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설명력은 40.6%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생을 위한 치매교육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dementia attitude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provide basic data on dementia education program. It was conducted from 1 to 31, March, 2018 for 230 students of C university.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e knowledge, attitudes, and needs of dementia preventive education on dementia. Analysis was done using SPSS 21.0 version, di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mentia attitudes according to gender, thought of supporting parents, interest in dementia problems, presence of dementia among family members, and disclosure of family member's dementia (p<.05).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dementia attitude was the need for dementia prevention education (β= .391, p<.001), followed by the interest in dementia problems (β=-.322, p<.001), disclosure of family member's dementia (β=-.322, p<.001) and dementia among family members (β=-.322, p<.001). The explanatory power was 40.6%. In conclus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dementia education programs for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 속 임상간호사의 생명윤리의식 딜레마 경험

        제남주,이도영,권미경,유지은,조아영 한국융합학회 2022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coping ability of clinical nurses by deeply analyzing and understanding the bioethics dilemma the clinical nurses experience in the COVID-19 pandemic.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bioethics dilemma the clinical nurses would experience in the COVID-19 pandemic, this study interviewed with a clinical nurse and then analyzed it by using Colaizzi (1978)’s phenomenological method.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otal three theme clusters were drawn such as ‘Agony to face a situation that violates the principle of respect for man’s life and dignity’, ‘Frustration and confusion caused by the situation in which the principle of good deed and prohibition of evil deed cannot be kept’, and ‘Doubt about fulfilling and not fulfilling the principle of justice’. To improve the ability to cope with bioethics dilemma the clinical nurses experience in the pandemic situ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ould be necessary to establish the education and policy for clinical nurses, and also to make efforts to improve the treatment of nurses.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임상 간호사가 경험하는 생명윤리의식 딜레마를 깊이 분석하고 이해함으로써 임상 간호사의 대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COVID-19 상황 속 임상간호사가 겪는 생명윤리의식 딜레마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 임상간호사를 직접 면담한 뒤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방법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인간 존중의 원칙이 위배된 상황을 마주해야 하는 괴로움 ', ’선행 및 악행금지 원칙을 지킬 수 없는 안타까움과 혼란', ’정의의 원칙 이행 및 불이행에 대한 회의감' 총 3가지 주제모음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임상간호사가 팬데믹 상황에서 겪는 생명윤리의식 딜레마에 대한 대처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임상간호사 교육과 정책 수립, 간호사 처우개선 노력 등이 필요하다.

      • KCI등재

        간호사의 도덕적 행동, 도덕적 고뇌, 비판적 사고성향이 임상적 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영향

        제남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9 No.2

        This study was attemted to grasp the factors affecting the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of nurse. Data were collected from 156 nurse working in hospital in G-do. Analysis was done using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IBM SPSS WIN/25.0.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the subjects’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was nursing Research ‘very interest’, critical thinking tendency, ‘master/doctor’, clinical experience ‘more than 20 years and 1 month’, moral behavior, nursing research ‘important’, ‘single’, clinical work experience ‘5 years, 1 month-10 years’, department work experience ’3 years 1 month-5 years’. The explanatory power was 51.4%. It was significant in that it was confirmed that interest and importance, moral behavior, academic background, and career are variables that influence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plans and programs that can increase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in the context of an ethical dilemma. In addition, developing and verifying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increase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ies in ethical dilemmas is needed. 본 연구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임상적 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G도 병원에 근무하는 156명을 자료수집 하였다. IBM SPSS WIN/25.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대상자의 임상적 의사결정능력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간호연구 ‘매우관심’, 비판적 사고성향, ‘석/박사’, 총 임상경력 ‘20년1개월 이상’, 도덕적 행동, 간호연구 ‘중요하다’, ‘미혼’, 총 임상경력 ‘5년1개월-10년’, 부서근무경력 ‘3년1개월-5년’ 순이었다. 설명력은 51.4%이었다. 간호연구에 관심과 중요성, 도덕적 행동과 학력, 경력이 임상적 의사결정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프로그램 개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서 임상적 의사결정능력을 높일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할 것을 제언한다.

      • KCI등재

        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제남주,박미라,윤지원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2021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7 No.8

        본 연구는 대학생의 디지털미디어 리터러시와 도덕적 민감성, 생명의료윤리의식 정도와 그들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2021년 4월 8일부터 4월 30일까지 151명의 대학생에게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되었다. 자료분석은 IBM SPSS WIN/25.0. 을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특성과 변수는 빈도분석과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변수의 차이는 t-test와 ANOVA를 시행하였으며 사후분석으로 Scheffe's test를 시행하였다. 변수 간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을 하였으며, 생명의료윤리에 미치는 영향은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생명의료윤리의식은 디지털미디어리터러시, 도덕적 민감성과 순상관관계가 있었다. 생명의료윤리의식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종교활동-활동적’이었고, 그 다음으로 ‘윤리의식단계-가끔 혼란스럽다’, ‘도덕적 민감성’ 순으로 나타났다. 이 모형의 설명력은 34.2%이었다. 추후 대학생의 생명의료 윤리의식을 함양하는 교육의 한 방법으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를 활용할 수 있는 콘텐츠 개발이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하며, 본 연구의 결과가 콘텐츠 구성의 기초자료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on college students to determine their digital media literacy, moral sensitivity, and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and their relationship. The data collection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April 8, 2021 to April 30, 2021 using online questionnaires for 151 college students in Ko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WIN/25.0.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variable were frequency,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he difference of variable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as analyzed by t-test and one-way ANOVA, and post analysis was analyzed by Scheffe's test.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was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d the effect on biomedical Ethics consiousness was obtained by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digital media literacy and major sensitivity. The factors that most affect the biomedical Ethics consiousness of the subjects was ‘Religious activity-be active’, follewed by ‘Ethics consciousness stage - Sometimes confused’, ‘Moral sensitivity’.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34.2%. Content development that can utilize digital media literacy will be helpful as a way of education to promote university students' biomedical ethics consiciousness.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content composition.

      • KCI등재

        몽골유학생의 그릿과 학업지속의향의 관계에서 친숙도와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제남주,박미라,윤지원,Je, Nam Joo,Park, Meera,Yoon, Jiwon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6

        This study i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iarity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academic continuity for Mongolian students. A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1 to June 30, 2021 on 124 Mongolian students from universities across the country using Google questionnaires. As a result of the study, gr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amiliarity and social support of Korean culture. The intention to continue school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grit, familiarity with Korean culture, and social support. Grit directl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continuity, and familiarity with Korean culture and social support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academic continu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grit and seek counseling and education programs to help using Korean cultural familiarity and social support systems.

      • KCI등재

        상급종합병원근무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미치는 영향요인 -장기기증·이식의 지식 및 태도, 죽음에 대한 인식,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지식 및 인식-

        제남주,화정석,Je, Nam Joo,Hwa, Jeong Seok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8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21 No.3

        목적: 본 연구는 병원 근무자의 연명치료 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장기기증, 장기이식, 죽음,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지식, 태도 및 인식을 알아본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K도 J시에 위치한 일개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228명의 대학병원 근무자를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으로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 의식관련 지식은 연령, 학력, 직종, 근무부서, 생명의료윤리 교육유무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뇌사 장기기증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은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지식,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인식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관한 태도는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지식,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인식, 연명치료 중단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죽음에 대한 인식은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지식,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인식, 연명치료 중단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인식은 연명치료 중단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연명치료 중단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호스피스 병동 근무와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관한 태도,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인식으로 연명치료 중단 태도를 32.5% 설명하였다. 결론: 연명치료 중단 태도에 호스피스 병동 근무와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관한 태도,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이 관련이 있었으며, 생명의료윤리에 기반을 둔 다양한 교육과정의 개발 및 적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Purpose: This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factors that affect hospital workers in their decision to withdraw from life-sustaining treatment, such as knowledge, attitude, and perception of organ donation, transplantation, death and hospice palliative care. Methods: A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28 workers of a tertiary general hospital,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by using SPSS 21.0. Results: The subjects' knowledge of biomedical ethics awareness differed by age, education level, occupation, affiliated department, and biomedical ethics education. Their knowledge of brain death,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ttitudes toward tissue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knowledge of hospice palliative care, and perception of hospice palliative care. Their attitudes toward tissue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knowledge of hospice palliative care, perception of hospice palliative care, an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Their awareness of death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knowledge of hospice palliative care, perception of hospice palliative care an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The perception of hospice palliative car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Factors associated with their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were work at the hospice ward (32.5%), attitudes toward tissue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and perception of hospice palliative care. Conclusion: This study has shown that work at the hospice ward, attitudes toward tissue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and perception of hospice palliative care were related to attitudes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More research is needed to further develop various curriculums based on biomedical methods.

      • KCI등재

        의료인의 윤리적 이슈, 윤리적 딜레마와 윤리교육 요구도 조사

        제남주,박미라,방설영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future ethics education programs by surveying healthcare providers working at institutions of various sizes, using Ethical Issues in Clinical Practice tool. Data were collected from 149 healthcare providers working at medical institutions in G-do. Analysis was done using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IBM SPSS WIN/21.0. Needs for ethics education was inversely correlated to end-of-life treatment issues (r=-.22, p=.007) and patient care issues (r=-.28, p<.001).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the subjects’ needs for ethics education was patient care issues (β=-.246, p=.035), followed by Buddhism (β=.208, p=.010). The explanatory power was 13.4% (F=5.596, p<.001). Therefore, when organizing the contents of ethics education program, patient care issues should be included to meet the needs of the subjects. Also, a customized program regarding the subjects’ religion is necessary 본 연구는 다양한 규모의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의료인을 대상으로 Ethical Issues in Clinical Practice 도구로, 윤리교육 요구에 대한 내용을 조사하여 추후 윤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G도에 소재한 의료기관의 의료인 149명을 대상으로 자료수집 하였다. IBM SPSS WIN/21.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윤리교육 필요성은 말기치료결정 이슈(r=-.22, p=.007), 환자간호 이슈(r=-.28, p<.001)와 역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윤리교육 필요성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자간호이슈(β=-.246, p=.035)이었고, 그 다음으로 불교(β=.208, p=.010)이었다. 수정된 설명력은 13.4%이었다(F=5.596, p<.001). 윤리교육 프로그램 내용을 구성할 때 대상자의 요구도를 반영하여 환자간호 이슈 내용과, 대상자의 종교를 반영한 맞춤형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며, 윤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