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태양전지 어레이 음영 변화에 따른 손실 보상을 위한 최대전력점 추종 기법

        정훈영(Hoon-young Jung),지용혁(Young-hyok Ji),정두용(Doo-yong Jung),이수원(Su-Won Lee),원충연(Chung-Yuen Won)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9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5월

        Under partial shading condition, the multiple local maxima can be existed on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PV array. In case of the conventional MPPTs (i.e, P&O or IncCond), the failure of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could be occurred under partial shading condition(PSC). The problems are deduced by the analysis of conventional MPPTs. In this papar, a real maximum rower point tracking for PV array under partially shaded condition is proposed. And proposed MPPT is analyzed by case study. It is confirmed by simulation results that the proposed MPPT can track the real MPP under partial shading condition.

      • KCI등재

        아스퍼거장애 아동의 간접 화행 이해 특성에 관한 연구

        정훈영 ( Hoon Yong Jung ),서경희 ( Gyeong Hee Seo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아스퍼거장애 아동이 간접 화행을 이해하는데 어떤 특성을 보이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령과 언어성 지능이 비슷한 아스퍼거장애 아동 20명과 일반 아동 20명을 대상으로 간접 화행 이해력 검사를 실시하여 두 집단 간의 양적 차이 비교와 간접 화행 이해력 검사에서 나타난 아스퍼거장애 아동의 특성을 문답 방법으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접 화행 이해력 검사에서 아스퍼거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 간의 이해력에는 평서문, 명령문, 청유문, 의문문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아스퍼거장애 아동은 간접 화행을 이해할 때 다음의 세 가지 특성을 보였다. 첫 번째로 맥락의 정보를 전혀 활용하지 못하고 문장의 겉 뜻 그대로 해석하는 경우, 두 번째로 맥락의 정보를 활용하였지만 완전히 통합하지 못하고 해석을 하는 경우, 세 번째로 맥락과 상관없이 자신의 경험을 투사하여 해석하는 경우이다. 아스퍼거장애 아동의 간접 화행 이해의 문제는 그들의 핵심 증상인 사회성 결핍, 의사소통의 질적인 결함 보다는 인지적 결손에서 기인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research focuses on understanding the reaction of children with asperger disorder to indirect speech acts. To successfully achieve this purpose, two groups(one group of 20 children with asperger disorder and the other group of 20 children without) were tested with their ability to understand indirect speech act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were don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that the children with the disorder have. Quantitative research was done based on the comparison of the test results between the two groups, while qualitative research was done using the catechetical method.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 with asperger disorder had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hildren without in understanding indirect speech acts. The difference was obvious in declarative sentence, interrogative sentence, propositional sentence, and imperative sentence all. Second, the children with asperger disorder showed three cases in understanding indirect speech acts: they interpreted the given sentence in literal sense without any information from context, or they did it with not enough information from context that their understanding was not united, or they interpreted with their own experiences regardless of the context.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three cases in which these children showed misunderstanding in indirect speech acts can be explained by deficit of theory of mind, weak central coherence, and executive function deficit in order. Their problem in understanding indirect speech acts was caused not by their primary symptom from the disorder such as defective communication or lack of sociality, but by their flawed cogn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