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4-Chloro-m-cresol, Didecyl Dimethyl Ammonium Chloride 그리고Glutaraldehyde로 구성된 살균 소독제에 대한 피부 자극성 및감작성 시험에 관한 연구

        이후장,김석,천명선,정원철,김동혁,임정주,손호영,김무석,김곤섭,정회식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07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22 No.2

        test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skin iritation and sensitization of Creocomplex, disinfectant,containing 10% 4-chloro-m-cresol, 10% didecyl dimethyl ammonium chloride, and 10% glutaraldehyde. In primaryskin irritation test, rabbits were dermally treated with Creocomplex for 24 hrs. The disinfectant did not induce anyadverse reactions such as erythema and edema on intact skin sites, but on abraded skin sites, some rabbits showed veryslight erythema and edema 24hr after topical application. So, the disinfectant was clasified as a practically non-iri-tating material based on the score 0.13 of primary irritation index. In the skin sensitization test, guinea pigs were sen-of injection, and chalenged 2 weeks later. Creocomplex did not induce any allergic reactions. Therefore, 10% Creo-complex was graded as a weak material from 0 in both sensitization score and rate. From results of the present study,it is suggested that 10% Creocomplex does not cause contact irritation and sensitization.

      • 인도네시아 중부 자바 지역의 토양 특성 조사

        남주석 ( Ju-seok Nam ),정종훈 ( Jong-hoon Chung ),남상일 ( Sang-il Nam ),정회식 ( Hoi-shik Jeong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8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2

        인도네시아는 세계 4위의 인구수(약 2억 6천만명) 및 대한민국의 약 19배(약 190,000 km2)에 달하는 면적을 가진 국가이다. 2017년 기준 인도네시아의 농업은 전체 GDP의 약 13%를 차지하고 있으며 농촌 인구는 전체인구의 약 45%를 차지한다. 또한 전체 노동인구의 약 31%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 2016년 기준 농업의 부가가치는 약 1,250억 달러이다. 주요 작물은 주로 이모작으로 1년 내내 생산이 가능한 쌀이며(전체의 50% 이상) 주요 수출 작물은 팜유, 고무, 카카오, 커피, 차, 카사바 등이다. 전체 산업에서 농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며 작물 중에서는 벼농사의 비중이 가장 높다. 그러나 벼농사의 기계화율은 2014년 기준 파종작업 10%, 제초 및 이식작업 20%, 건조 및 수확작업 50%, 경운 및 탈곡작업 80% 수준으로 저조한 실정이다. 현재 빠르게 산업화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을 고려하면 농촌에서 도시로의 급격한 인구유출, 농촌 노동력 부족으로 인한 인건비 상승이 예상되며 이로 인해 벼농사 기계화는 향후 인도네시아에서 매우 중요한 이슈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의 농기계 산업은 내수시장의 포화로 인해 수출확대가 절실하며, 그를 위해서는 시장의 다변화가 필요하다. 인도네시아는 벼농사 위주로 영농규모 및 영농방법이 우리나라와 유사하여 수출잠재력이 높지만 2012년 기준 국산 농기계의 인도네시아 수출액은 동남아 수출 총액(5,540만 달러)의 약 7.2%로 미미한 실정이다. 수출확대를 위해서는 현지의 실정에 적합한 농업기계를 제공해야 하며, 그를 위해서는 가장 먼저 현지의 토양 특성에 대한 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도네시아 중부 자바 지역의 토양 특성을 조사하였다. 토양 형성시기 및 관개시기가 다른 4곳의 토양을 대상으로 하여 토양의 종류를 파악하고 토양 강도를 계측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