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자의 성과가 연구환경 만족 및 성과의 가치 인식에 미친 영향

        정황모,남궁근 한국정책과학학회 2011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5 No.4

        We examined the impact of individual research productivity on satisfaction of research environment and perceived value of research output in research institutes. Data were collected from 256 researchers working at three government sponsored research institutes representing different sectors of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research (industry, public and technical-support).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we found that individual research productivity has not only a direct effect on the perceived value of research output, but also an indirect effect through perceived fairness of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We also found that individual research productivity does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he three dimensions of research environment satisfaction: team satisfaction, research resource satisfaction and research administration satisfaction. It only has an indirect effect through perceived fairness of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Research institutes need to rethink their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in terms of fairness in order to keep productive researchers satisfied with their research output and research environments. 정부출연 연구기관 연구자의 개인 성과평가결과가 연구환경 만족 및 연구성과의 가치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산업기술계의 특성을 대표하는 3개 연구기관(산업, 공공, 기술지원) 소속 265명의 연구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의 분석 결과, 개인 성과평가결과는 연구성과의 가치 인식에 직접 영향과 평정 제도의 공정성 인지를 통한 간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개인 성과는 연구환경 만족의 세 차원인 팀 만족과 연구자원 만족, 그리고 연구행정 만족에는 직접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공정성 인식을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만 미쳤다. 한편, 평정제도 공정성 인식은 연구성과의 가치 및 연구환경 만족의 세 하위차원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개인 성과평정제도에서는 무엇보다 공정성 인식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개인 성과평가결과에 따라 엄격한 상벌개념을 적용하기 위한 선결과제로서 공정한 평정제도를 설계하고 이를 연구자들에게 인식시킬 수 있는 기관차원의 조치가 중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