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피콕의 "은유적으로 -로서 지각하기"에 대한 인지적 분석: 음악의 표현성과 의미를 중심으로

        정혜윤 ( Hye Yoon Chung ) 한국미학회 2013 美學 Vol.76 No.-

        이 글은 음악의 표현성에 대한 지각적 경험의 본성으로서 피콕이 최근 주장한 ‘은유적으로 -로서 지각함’에 대한 피콕의 논의를 비판적으로 고찰한 후 이를 인지적 입장에서 분석하여 피콕의 주장에 대한 대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이 글은 먼저 피콕이 ‘은유적으로 -로서 지각함’이라고 명명한 종류의 지각이 과연 어떤 것인지를 이에 대한 피콕의 진술들을 통해 살펴보고, 그러고 나서 피콕이 ‘은유적으로 -로서 지각함’의 사례로서 언급하는 경우들을 ‘은유적으로 ―로서 지각함’에 대한 피콕의 설명에 견주어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은유적으로 ―로서 지각함’에 대한 피콕의 설명은 이에 대한 사례로서 피콕이 들고 있는 경우들에 적용되지 않음이 드러나는데, 이에 이 글은 피콕이 주장하는 종류의 음악 지각과 피콕이 그 사례로서 언급하는 경우들을 구별할 것을 제안한다. 그리고 이 글은 인지학의 두 개념적 틀을 도입하여 피콕이 주장하는 종류의 음악 지각은 ‘개념적 은유’에 의해 구체화될 수 있으며 피콕이 제시하는 사례들은 ‘개념적 혼성’에 의해 해명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에 더하여 이 글은 음악의 표현성과 음악의 의미의 생성에 관련된 감상자의 지각적 경험은 매우 다층적이며, 피콕처럼 이를 단일한 지각 방식에 의해 획일적으로 설명하는 것은 옳지못하다고 주장한다. This essay critically investigates the ‘metaphorically-as perception’ which Peacocke recently claimed as the nature of perceptual experience of the musical expressiveness. This essay analyzes Peacocke`s argument for the ‘metaphorically-as percep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gnitive science and suggests an alternative for it. For this purpose, this essay first examines what kind of perception it is that Peacocke calls the ‘metaphorically-as perception,’ and then, closely reviews the cases which Peacocke mentions as the examples of the ‘metaphorically-as perception.’ Through this, it is revealed that Peacocke`s accounts for the ‘metaphorically-as perception’ are not true of the cases he gives as its examples. Concerned with discrepancy, this essay suggests that the kind of perception for which Peacocke argues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the cases he mentions as its instances. Then, this essay introduces two conceptual frames from cognitive science and argues that the ‘metaphorically-as perception’ could be specified by the ‘conceptual metaphor,’ and that the cases Peacocke gives as its examples could be clarified through the ‘conceptual blending.’ This essay also argues that the perceptual experience concerned with the musical expressiveness and emergence of musical meaning is multilayered and that we cannot therefore clarify it by a single kind of perception in a monolithic way as Peacocke does.

      • KCI등재

        음악의 행위성: 발제주의에 의한 해명

        정혜윤 ( Chung Hye-yoon ) 한국미학회 2018 美學 Vol.84 No.2

        이 글은 음악의 행위성의 본성을 발제주의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글에서 필자는 먼저 음악 청취 시 지각되는 행위성에 대한 현대 영미미학자들의 문제의식을 소개하고 이에 대한 그들의 해법을 가정적 정서주의와 외양적 정서주의로 대별하여 고찰한다. 그리고 이들 중 어느 쪽도 이들이 제기한 문제를 제대로 해명하지 못함을 보인다. 이후 필자는 매우 대조적인 입장을 보이는 양 진영 사이에 실상 상당히 많은 가정들이 공유됨을 밝힌다. 필자는 이러한 가정들이 데카르트적 이분법과 표상주의, 두뇌 중심주의와 인지의 컴퓨터 모델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적 인지주의에 기초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양자의 실패의 원인을 이러한 뿌리로부터 찾는다. 그리고 필자는 음악의 행위성의 본성을 해명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발제주의를 제안한다. 궁극적으로 필자는 음악이 자율적 존재자로서의 청자와 소리세계 사이의 구조적 결속을 통한 의미생성 절차 가운데 발제되는 소리세계의 특수한 한 유형이며 음악의 행위성에 대한 인지는 청자의 감각운동 구조에 따른 지각과 행동이 소리환경 안에서 반복적인 감각운동을 통해 자기 구성적 패턴을 만들어냄으로써 이루어진다고 주장한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analyze the nature of musical agency from the perspective of Enactivism. For this purpose, I first introduce the issues which contemporary analytic philosophers raise about musical agency, and examine their solutions through two contrasting views, hypothetical emotionalism and appearance emotionalism. From this, it is shown that none of them clarifies the issues they bring about concerning musical agency. Then, I bring to light the fact that there are several assumptions shared by both camps in spite of the apparent incompatibility between them. I identify those common assumptions as rooted in Classical Cognitivism which endorses Cartesian dichotomy, representationalism, brain centeredness, and the computer model of cognition, and argue that the failure of both hypothetical emotionalism and appearance emotionalism is due to this common foundation. I propose Enactivism as an alternative platform from which the nature of musical agency should be approached. Ultimately, I argue that music is a specific type of sonic world which is enacted in the process of sense-making through the structural coupling of a listener as an autonomous being and her/his sonic environment, and propose that the cognition of musical agency is achieved through the self-constituting patterns shaped from the repetitive sensorimotor activities of a listener made in the dynamic, circular interaction with her/his sonic environment.

      • KCI등재

        음악적 의미의 패러독스

        정혜윤 ( Chung Hye Yoon ) 한국미학회 2013 美學 Vol.73 No.-

        이 글은 음악이 그것을 넘어선 무언가를 의미하면서도 음악이 의미하는 대상에 결코 흡수되지 않은 채 음악 그 자체에 대한 주목을 요구하는 상황을 ‘음악적 의미의 패러독스’로 규정한다. 그리고 이러한 패러독스에 대한 해명을 위해 랭거의 이론과 스크루톤의 이론을 고찰한다. 이 글은 두 이론들이 어떤 고민을 배경으로 탄생했으며 어떤 문제의 해결에 기여했는지, 그리고 음악의 의미에 관한 기존의 생각들과 어떤 연결고리를 가지며 어떤 점에서 더욱 설명력을 갖는지를 조목조목 살펴본다. 또한 이 글은 이 이론들이 남기는 문제점들이 무엇인지를 지 목함으로써 음악의 의미를 해명하고자 하는 시도가 반드시 고려해야 하 는 사안들과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무엇인지를 제시한다. Music tends to mean something beyond itself but at the same time calls attention to itself without being absorbed to what it means. This essay calls this special condition in which music is situated ``the paradox of musical meaning.`` In order to elucidate this paradox, this essay examines the theory of Susanne K. Langer and that of Roger Scruton. This essay investigates what motivates these theories, what problems could be solved through them, and how they can be connected to other theories of musical meaning. It also shows the problems and issues the theory of Langer and that of Scruton leave behind and thereby suggests wha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attempts to explicate musical meaning.

      • KCI등재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지출과 장기요양시설 이용에 대한 결정요인 분석

        정혜윤 ( Hye Yoon Chung ),한유진 ( Youjin Hahn )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구 한국보건경제학회) 2021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지출과 시설급여를 통한 장기요양시설 서비스 이용에 대한 결정요인을 Anderson 행동모형에 근거하여 살펴본다. 건강보험공단 노인코호트DB의 2008-2015년 자료를 이용하여 노인장기요양보험 지출 결정요인을 살펴본 결과 장기요양보험 수급자들은 주수발자가 없거나 간병인이나 자원봉사자의 돌봄을 주로 받는 경우, 자녀와 함께 살지 않는 경우, 그리고 신체·인지·사회생활 기능이 떨어지고 나이가 많고 소득이 낮을수록 장기요양급여비 지출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가급여 서비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용이 큰 시설급여 서비스 이용에 대한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노인이 가족의 주수발을 받지 않거나 가족과 함께 살지 않는 경우, 그리고 소득이 낮거나 신체기능이 떨어질수록 시설 서비스를 이용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장기요양보험의 이용, 특히 시설 서비스에 대한 이용이 단순히 신체적 기능 외에도 가족 및 사회적 지원에 많은 영향을 받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xpenditures and institutional care utilization under the national Long-term Care (LTC) insurance program in Korea. Using Anderson’s behavior model, we estimate a fixed-effects regression model on nationally representative longitudinal cohort data on elderly people. Compared to the LTC insurance recipients who receive informal care from family, the recipients who do not have a primary caregiver or receive help from a formal caregiver/volunteer spend larger amounts of LTC expenditures. The recipients who do not co-reside with their family, are on a low income, and are highly dependent on others due to their low functional and cognitive capacity are also more likely to incur high LTC spending. In terms of institutional care, the elderly who do not receive informal care from family, who do not live with their family or have high physical dependency tend to be heavier users of the institutional care than home care. According to this study, household structures and informal care provided by family members play a crucial role in explaining LTC expenditures and institutional care utilization among the recipients.

      • KCI등재

        한국인 스페인어 학습자들의 접합면 현상 습득

        정혜윤(Hye-Yoon Chung) 한국중원언어학회 2020 언어학연구 Vol.0 No.5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of Sorace (2011)’s Interface Hypothesis by testing L1 Korean-L2 Spanish Learners over three different interface properties -the internal interface between syntax and semantics and the external interface between syntax and discourse-pragmatics. A total of 45 university students, divided into three proficiency levels, participated in a grammaticality and/or acceptability judgment test. The test questions dealt with three interface-related phenomena: a) word order variance of two types of intransitive verbs according to focus types, b) pronominal subjects according to topic/focus interpretation, and c) clitic-doubling of the utterance-initial (in)definite objects according to information structure. The SPSS statistics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findings of data analysis showed that 1) the more advanced the learners were, the fewer errors were made, and 2) in most cases, the learners seemed to acquire internally interface-related phenomena earlier than externally interface-related phenomena, but not 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offer partially positive evidence in favor of the Interface Hypothesis proposed by Sorace and her colleagues.

      • KCI등재

        개념적 혼성의 음악적 적용

        정혜윤 ( Chung Hye-yoon ) 한국미학회 2017 美學 Vol.83 No.2

        이 글에서 필자는 인지언어학에서 주창된 개념적 혼성 이론이 음악에 적용되어 낳은 논의들을 두 가지 범주, 즉 음악이 음악 외의 매체와 연합되어 의미가 형성되는 과정을 개념적 혼성의 절차로 설명하는 논의들과 순전히 음악적인 요소들을 연합시킴으로써 혼성을 창발시킬것을 시도하는 논의들로 분류하여 면밀히 고찰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개념적 혼성 이론을 음악에 적용한 기존의 연구들이 갖는 의의와 한계를 밝힌다. 필자는 개념적 혼성 이론이 음악의 의미에 접근하는 태도와 방식, 그리고 음악의 의미의 본성에 대한 기존의 시각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고 주장한다. 또한 필자는 개념적 혼성 이론이 음악과 의미가 연계되는 긴밀한 방식에 대한 명료한 설명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음악의 의미에 관한 기존의 이론들에 비해 설명력의 우위를 갖는다고 주장한다. 한편 필자는 개념적 혼성 이론이 도입된 기존의 음악 연구들에서 개념적 혼성 이론의 신체적 토대에 대한 주목이 미비했음에 주목하여 이 점이 보완되어야 함을 지적한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기존 연구들에서 간과된, 개념적 혼성 이론이 음악에 관한 논의에 의미 있게 기여할 수 있을만한 지점들을 제안한다. In present paper, I investigate the attempts to apply the conceptual blending theory in cognitive linguistics to music categorizing them into two. One is the attempts which analyze as conceptual blending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meaning is constructed in the association of music with other media, and the other is the attempts which generate blending between purely musical elements. Through this investigation, I show what contribution those attempts made to discourse on music and meaning, and what limitation they have. I argue that conceptual blending theory has changed fundamentally the attitude and methodology of the approach to musical meaning as well as the perspective on its nature. Also, I argue that conceptual blending theory is superior to other theories on music and meaning in that it gives a clear account of the way in which music and its meaning are intimately correlated. I note that preceding studies which apply conceptual blending theory to music have failed to pay due attention to the experiential foundation of conceptual blending theory and its embodied implication, and argue that this should be corrected. Ultimately, I argue that conceptual blending theory could be further explored in the study of music, and suggest several points where conceptual blending theory is expected to make a good contribution to discourse on music.

      • KCI등재

        신경미학, 무엇이 문제인가?

        정혜윤 ( Hye Yoon Chung ) 한국미학회 2016 美學 Vol.82 No.2

        이 글은 신경미학의 관심과 범위, 연구대상과 방법론, 한계와 가능성 등을 신경미학이 태생적으로 배태하고 있는 긴장 관계, 즉 미와 예술 현상에 대한 과학적 접근 대 철학적 접근이라는 대결구도 속에서 고찰한다. 이 글에서 이러한 고찰은 오늘날 신경미학으로 대변되는 미와예술현상에 대한 과학적 접근이 갖는 한계와 문제점에 대한 비판들을 주축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비판들은 분해와 양화, 미적 환원주의와 일반화, 탈맥락적 보편주의, 미적 경험에 상응하는 신경생리적 절차에 대한 전념 등 신경미학의 전형적인 특성들, 그리고 과학적 물음 자체의 본성을 문제시 하여 제기된 것들이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비판들에 대한 극복의 단초를 제시하는 신경미학 내의 연구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비판들 자체의 타당성을 재고함으로써 현 단계에서 신경미학이 미와 예술현상에 대한 우리의 이해에 기여할 수 있는 방식과 수준을 확인하고 신경미학이 미와 예술 현상에 대한 진정으로 의미있는 연구분야로 성장하기 위해 반드시 고려해야 할 점들이 무엇인지를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이 글은 신경미학이 미와 예술현상에 대한 우리의 이해에 대해 기존의 담론들과 구별되게 새롭게 더하는 가치가 무엇인지 확인하며, 신경미학의 미래의 향방에 대해 조심스럽게 제언한다. This essay investigates the concern and the scope, the subject and the methodology, and the limits and the prospects of neuroaesthetics focusing on the tension between the scientific approach and the philosophical approach to the aesthetic and artistic phenomena which is born of the origin of neuroaesthetics as empirical aesthetics. For this purpose, this essay examines the criticisms on the scientific approach to the aesthetic and artistic phenomena which is represented as neuroaesthetics today. These criticisms are divided into those targeting at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neuroaesthetics such as its reductionism, universalism, and its commitment to the mapping between our aesthetic response and its underlying neural, physiological mechanism, and those raised from the nature of the questions involved in aesthetics and philosophy of art. In this essay, the researches in neuroaesthetics which suggest the ways to overcome those criticisms are introduced and the validity of the criticisms themselves are verified, and thereby the way and the level in which neuroaesthetics can contribute to our understanding of the aesthetic and artistic phenomena at the current stage are identified. In the meanwhile, what should be considered for neuroaesthetics to grow into a discipline which contributes to our aesthetic and artistic interest is revealed. To the conclusion, the unique value neuroaesthetics would add to our understanding of the aesthetic and artistic phenomena is identified and it is suggested what neuroaesthetics could attempt to do in order to develop as a more compelling, prospective research fiel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음악적 공간과 움직임, 은유인가 아닌가?

        정혜윤 ( Hye Yoon Chung ) 한국음악학학회 2010 음악학 Vol.18 No.1

        이 글은 우리가 음악에서 공간과 움직임을 경험하는 것이 은유인지 아닌지를 고찰함으로써 우리의 음악적 경험과 이해의 본성의 중요한 국면들을 조명한다. 버드는 우리가 음악에서 경험하는 움직임이 시간적 게슈탈트로서의 음악에 대한 우리의 지각에 말 그대로 적용된다고 주장하는 반면, 스크루튼은 음악적 움직임이 은유라고 주장한다. 스크루튼의 이론은 물질적 대상으로서의 소리와 지향적 대상으로서의 음 간의 뚜렷한 구별에 그 기초를 두고 있다. 또한 스크루튼에 따르면, 우리의 음악적 경험은 이중지향성을 특징으로 하는 은유에 본질적으로 관여한다. 그러나 소리와 음 간의 구별, 그리고 이중지향성의 경험은 우리의 음악적 경험 안에서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더욱이 음악 공동체 안에서 공간적 용어들이 표준적 의미를 갖고 사용되고 있다는 사실은 음악에서의 공간 경험을 은유로 간주하기를 더욱 어렵게 만든다. 한편, 존슨과 라슨은 음악적 움직임을 물리적 움직임에 대한 우리의 신체화된 경험을 기반으로 하는 개념적 은유로서 정의한다. 이들은 음악에서의 공간경험을 우리 자신의 실존을 통해 설명함으로써 스크루튼의 부자연스런 이분법으로부터 초래된 오류들을 극복하지만, 은유의 창조적 역량에 대한 우리의 일상적 직관을 정당하게 다루는 데에는 실패한다. 마지막으로 음높이 관계에 대한 다른 문화들의 기술과 이해에 대한 고려는 음악적 공간과 움직임에 관한 논의의 차원을 좀 더 섬세하게 다각화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This essay investigates whether our experience of space and movement in music is metaphorical or not, and thereby illuminates some of the crucial aspects of the nature of our musical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While Budd argues that the movement we experience in music is literally applied to our perception of music as a temporal Gestalt, Scruton argues that musical movement is metaphorical. Scruton`s theory is based on the sharp distinction between sound as a material object and tone as an intentional object. According to Scruton, our musical experience essentially involves metaphor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double intentionality. However, both the distinction between sound and tone, and the double intentionality are not evident in our musical experience. Also, the standard usage in musical community of spatial terms makes it difficult to consider our spatial experience in music as metaphor. Johnson and Larson define musical movement as conceptual metaphor which is founded on our embodied experience of physical movement. They avoid the fallacies resulted from Scruton`s forced dichotomy by accounting for our spatial experience in music through our own existence, but they fail to reflect our ordinary insight about the creative capacity of metaphor. The consideration of other cultures` description and understanding of pitch relation invites the more refined differentiation of the dimensions of discussion on metaphor concerning musical space and movement.

      • KCI등재

        음악의 은유적 패러다임에 대한 연구-“수사(修辭)로서의 음악”

        정혜윤 ( Hye Yoon Chung ) 한국미학회 2013 美學 Vol.74 No.-

        이 글은 음악을 일종의 수사(修辭)로서 널리 이해했던 16세기에서 18세기까지 서구 음악계의 인식을 인지학적 관점에 따라 하나의 은유적 패러다임으로 간주하고, 이를 음악이라는 ‘목표영역’에 대한 이해를 수사라는 ‘원천영역’에 의해 구조화하는 ‘개념적 은유’로 규정한다. 이 글은 ‘수사로서의 음악’이라는 은유적 패러다임에 작용하는 매핑의 구체적 내용들과 그 변화의 양상을 고찰함으로써 ‘수사로서의 음악’ 패러다임의 토대와 배경이 되는 사고와 믿음을 제시한다. 그리고 그럼으로써 ‘수사로서의 음악’에 관련하여 그간 간과되거나 오해되어 왔던 점들을 밝힌다. 이를 통해 이 글은 궁극적으로 ‘수사로서의 음악’ 패러다임과 이 패러다임이 득세했던 시기 음악의 인식적 역량에 대해 내려졌던 평가는 서로 구별되어야 하며, ‘수사로서의 음악’ 패러다임 그 자체는 서구 음악사에서 음악적 사고를 지배했던 다른 패러다임들에 비해 결코 ‘덜 음악적’이지 않다고 주장한다. This essay considers the understanding of music as rhetoric which was prevalent in the Western music history from the six-teenth through the eighteenth centuries as a kind of metaphorical paradigm, and identifies it with a ``conceptual metaphor`` in which music as a target domain is structured by rhetoric as a source domain. This essay investigates the specific constituents of the mapping between music and rhetoric tracing their change, and thereby uncovers the thoughts and beliefs behind the metaphorical paradigm, ``music as rhetoric.`` Along with this, this essay points out what is unjustly ignored or misunderstood about the paradigm. Ultimately, this essay argues that the meta-phorical paradigm, ``music as rhetoric``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the historical context in which the paradigm gained its ground and that the paradigm itself should not be denigrated as ``less musical`` or ``amusic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