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야기 산출 및 회상 과제에 따른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아동의 언어학적 비유창성 특성

        정하은,강혜원,임동선,심현섭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9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requency and types of linguistic disfluencies that are produced by typically developing bilingual Korean-English (KE) speaking children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ir disfluent speech is mediated by language produced and/or language exposure duration. Methods: Nineteen bilingual KE speaking children (12 boys, 7 girls) and twenty-one monolingual Korean speaking children (8 boys, 13 girls) aged 6-9 participated in this study. Narratives were elicited using story generation and retell tasks in each language. The frequency and types of linguistic disfluencies (fillers, repetitions, revisions, and pauses) were analyzed. Results: The bilingual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total disfluency, fillers, and repetitions than the monolingua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es of disfluency between narrative task types. In terms of the language produced, the bilingual group produced more revisions and more disfluencies in Korean than in English during the story generation task. In the retell task,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disfluency rate, fillers, and revisions depending on the language the child was speaking.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nglish language exposure duration and the total disfluency rate was found. Conclusion: Bilingual KE speaking children showed higher disfluency rates than monolingual peers in story generation and retell tasks. Results showed that the disfluency can be influenced by the grammatical structure of the language being spoken and the levels of language experience. Results suggest the exposure duration to second language, language proficiency, and morphological distinctions between two languages need to be considered for assessment and intervention.

      • KCI우수등재

        텍스트 유형 및 이야기 양식에 따른 초등학교 1∼6학년의 이야기 이해 능력

        정하은,정은애,남서현,김정원,윤서린,김아영,임동선 한국아동학회 2023 아동학회지 Vol.44 No.4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school-aged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skills according to text type and story modalities. Methods: A total of 348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grades 1 to 6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answered the story comprehension questions after performing the story comprehension task according to the three- story modalities. One child read two fictional and one nonfictional texts, or two nonfictional and one fictional texts, and were randomly assigned according to text type and story modality. Story comprehension questions consisted of both factual and inference questions. Result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story comprehens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grade, text type, and story modality. As children get older, the performance of a story comprehension task increased significantly. Regarding the text type, the comprehension of fi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onfiction comprehension. Comparing the story comprehension performance task according to the story modality, the performance was high in the order of reading-while-listening, listening, and reading. In fic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istening and reading modality, whe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ext modalities in nonfiction.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presenting text as a complex form of listening and reading to schoolaged children can aid in information processing and help children improve their story comprehension. Also, children’s age and text type need to be considerd for assessment and interventions aimed at children’s successful story comprehension.

      • KCI등재
      • KCI등재

        사도세자에 대한 정신의학적 고찰 : 사도세자, 양극성 장애 환자인가 당쟁의 희생양인가

        정하은,김창윤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14 신경정신의학 Vol.53 No.5

        사도세자의 죽음에 대하여 그가 당쟁의 희생양이었다는견해와 그의 정신병적 증상이 원인이었다는 견해가 있는데,이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도세자에 관한 문헌을 검토하여 사도세자의 정신증상 여부에 대하여 정신의학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사도세자의 언행에 대해상세히 기술되어 있는 한중록을 중심으로 검토한 결과, 사도세자는 여러 차례의 우울삽화 및 조증삽화를 겪었으며, 기분삽화가 재발과 관해를 반복하는 경과를 보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의 직계가족을 중심으로 가족들의 정신증상 유무에대하여 조사한 결과 기분장애의 가족력 또한 배제할 수 없었다. 이를 토대로 볼 때 사도세자에게 양극성 장애가 있었을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Prince Sado was the tragic royal heir who was sealed in a rice chest and starved to death by his father, King Yeongjo. The question of whether he was a victim of party strife or his death was the result of his psychiatric disorder is still controversial.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 question of whether he had suffered from bipolar disorder by reviewing his psychiatric symptoms and family history. Methods We examined the available literature on Prince Sado and his family, particularly focusing on Hanjungnok (Memoirs of Lady Hyegyeong), written by Prince Sado’s wife. Results Review of the literature showed that Prince Sado suffered from psychiatric symptoms, including depressed mood, anxiety, suicidal behavior, aggressive behavior, and persecutory delusion from the age of 13 to 27. Many of his symptoms match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criteria for depressive and manic episodes and it is highly suspected that he had bipolar disorder. He also showed clothing phobia, which can be regarded as an obsessive compulsive symptom. Some of his relatives, King Gyeongjong and Sanggyegun, might have suffered from depressive disorder. Conclusion The characteristics of his symptoms suggest that Prince Sado might have had bipolar disorder. His mental disorder might explain in part the cause of his death.

      • KCI등재

        C–H Arylation of Nitroimidazoles and Nitropyrazoles Guided by the Electronic Effect of the Nitro Group

        정하은,배세리,장하림,주정민 대한화학회 2014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ol.35 No.10

        A palladium-catalyzed C–H arylation reaction of nitroimidazoles and nitropyrazoles was developed using aryl bromides as arene donors. The electron-withdrawing effect of the nitro group allows for direct C–H arylation reactions of the nitro diazoles with high regioselectivity under mild conditions. The new C–H arylation approach is thus complementary to nucleophilic substitution reactions, enabling the preparation of complex nitroazole compounds.

      • KCI등재

        응급실 내원 마약류 투약자의 실태와 특성

        정하은,이창배 한국공안행정학회 2022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31 No.2

        마약류중독은 세계적인 공중보건의 이슈이며, 우리나라 또한 마약류사범의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재복역률 또한 다소 높은 것이 현실이다. 마약류의 특성상 신체적․정신적 의존성을 유발하여 내성이 생기기 쉽고, 투여를 중단하였을 경우 금단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쉽게 끊기 어렵다. 또한 마약류범죄는 실제 발생하였음에도 수사기관에 인지되지 않거나, 인지되어도 증거 불충분 등으로 검거를 하지 못하는 등의 특성을 보인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마약류중독에 대한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수사기관 외에도 흔하게 접할 수 있는 병원 응급실을 통해 마약류 투약자들이 얼마나 내원하는지를 알아보고, 환자의 특성 및 문제점을 조사하여 실태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소재의 응급실로 내원한 마약류 투약자들의 기록을 수집하여 불법약물 사용자와 향정신성의약품 약물 투약자로 구분하여 조사 및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마약류 중독자를 처벌보다는 치료를 우선적으로 수행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 의료진의 신고 의무 부과 등 정책적·실천적 방안들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학령기 언어발달지연 아동과 일반 아동의 언어학적 비유창성 특성과 작업기억과의 관계

        정하은,김신영,임동선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8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이야기 담화 산출 시 나타나는 언어적 비유창성 유형과 빈도를 분석하고, 아동들의 비유창한 발화를 설명하는 언어 및 인지 요인이 무엇인지 검토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초등학교 1-4학년 아동 49명(어휘발달지연 아동 20명, 일반 아동2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야기 산출 과제(구성 및 회상)를 실시하였으며, 과제 수행에서 나타난 비유창성을 분석하였다. 언어학적 비유창성은 간투사, 반복, 수정, 휴지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 총 어절 수와 100어절 당 나타난 비유창성의 빈도를 분석하였다. 인지 요인으로서 작업기억은 음운루프, 시공간 잡기장, 일화적 완충기 세 가지 영역을 측정하였다. 결과: 과제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 모두 이야기 구성 과제보다 이야기 회상 과제에서 더 많은 어절을 산출하였으며 어휘발달지연 아동은 이야기 회상 시 수정 발생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집단 간 비유창성 양상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이야기 구성 시 어휘발달지연 아동은 휴지 발생 비율이 더높았으며, 회상 시 어휘발달지연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높은 간투사, 휴지, 전체 비유창성 발생 비율을 보였다. 일반 아동의 경우, 이야기 구성 과제에서 표현어휘력이 비유창성의 설명 요인이었고, 회상 과제에서 수용어휘력이 비유창성의 설명 요인이었다. 어휘발달지연 아동 집단은 음운작업기억이 유의한 설명요인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야기 산출 과제에서 집단 간 비유창성의 유형과 빈도에 차이를 보였으며 각 집단의 비유창성을 설명하는 요인도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동들의 유창한 발화를 목표로 한 중재시 아동들이 갖고 있는 어휘력 및 작업기억 능력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 바이오나일론 제조를 위한 당산칼륨염 합성 공정 기술

        정하은,홍채환,전성완,문소정,원영대,김영규 한국공업화학회 2018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8 No.0

        점차 심각해지는 환경오염과 유가의 재상승으로 인해 석유기반 화합물의 대안으로 바이오매스 유래 고부가가치 화합물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그 중 아디픽산은 산업적으로 유용한 물질로, 기존에는 원유를 cyclohexane으로 정제 및 산화시켜 만들었으나 환경오염 문제로 Benzene-Free 아디픽산 합성에 관한 연구가 대두되었다. 또한 현재의 많은 연구들은 질산을 이용해 산화 시키고 대기오염의 주범인 질소산화물을 배출한다. 본 연구에서는 육상식물로부터 유래된 글루코스에서 부터 아디픽산을 만들어 바이오나일론으로 이용하기 위한 전 단계 중 글루카릭산칼륨염(monopotassium D-glucarate)을 합성하기 위한 것이다. 벤젠과 질산을 사용하지 않고 글루코스에서 아디픽산으로 제조하는 친환경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