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대 프스코프 방언 *dj, *zdj 대응형 표기의 음운론적 해석

        정하경 ( Hakyung Jung )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8 슬라브연구 Vol.34 No.4

        공통슬라브어 요트화의 결과는 러시아어 지역 전반에 걸쳐 상당히 균일하게 나타나지만, 유성 파열 치음의 경우에는 지역이나 언어층위에 따라 상이한 대응형들이 존재한다. 가령, 공통슬라브어 *dj의 대응형은 표준 고대 러시아어에서는 <ж>로 표기되는 반면, 고대 프스코프 방언 문헌에는 <г>로 표기된다. 한편, *dj가 마찰음 뒤에 오는 *zdj의 경우에는, 고대 프스코프를 포함한 고대 북서러시아 지역 문헌에서는 <жг>의 표기가, 고대 남부러시아 문헌에서는 <жч>의 표기가 발견된다. 본 연구에서는 슬라브어 내 *g의 대응형 분포라는 큰 틀 안에서 고대 프스코프 대응형 표기가 나타내는 음가를 분석하는 한편, 고대 및 현대 프스코프 방언에서 *t, *d가 k, g로 실현되는 여러 환경들을 통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관점에서 프스코프 방언 음운체계의 특징과 요트화 대응형 간의 상관관계를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고대 프스코프 방언에서 *dj 및 *zdj의 대응형은 연음화도 치찰음화도 겪지 않은 g 및 zg였으며, *dj > g 변화는 이 방언의 다른 ‘치음 > 연구개음’ 변화와 더불어 공명성 자질을 준거로 하는 공명성 동화 현상으로 분석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phonological values of Old Pskovian orthographies <г> and <жг>, which encode the reflexes of Common Slavic *dj and *zdj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the cross-linguistic distribution of distinct reflexes of *dj and *zdj in Slavic, I analyze that in the Pskov area, which is located in the periphery of the Slavic territory in terms of the change of *g and *dj, the reflex of *dj did not undergo lention. The orthographies used for the reflexes of *tj and *stj indicate that the reflex of *dj also did not undergo assibilation. Thus, the orthography <г> for *dj represents the phonological value g, which is [mellow] and [non-continuant]. The shift of *tl, *dl to kl, gl in the Old Pskovian Dialect and the depalatalization phenomenon in the Modern Pskovian Dialect indirectly support this conclusion. I define *dj > g, *tl, *dl > kl, gl, and the modern depalatalization in the Pskovian Dialect as cases of sonority assimilation and phonemic reanalysis of allophones in favor of [sonorant], by which dentals with the feature [diffuse] shift to velars with the [compact] feature in the position preceding highly sonorant j and l. The assimilation and phonemic reanlaysis in favor of high sonority is conditioned by the unmarked status of the [sonorant] feature in this dialect. The typological evaluation of the Northwestern dialect as ‘sonorant language’ in the opposition of ‘obstruent language’ explains how the sonorant assimilation is motivated.

      • KCI등재

        현대러시아어 무인칭 환경에 나타나는 ЭТО와 ОНО의 문법적 기능

        정하경(Jung, Hakyung),이수현(Lee, Suhyoun) 한국노어노문학회 2020 노어노문학 Vol.32 No.3

        본 논문은 현대러시아어의 구어적 사용에서 무인칭 환경에 나타나는 지시대명사 중성 단수형 эmо와 인칭대명사 중성 단수형 оно의 문법적 기능을 살펴봄으로써 эmо와 оно의 이러한 허사적 사용이 현대러시아어의 문법체계 범주화에 어떤 의미를 갖는지 고찰할 수 있는 경험적 토대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эmо와 оно의 사용이 허용되는 정확한 무인칭 환경 유형을 파악하고 이 형태들이 실제로 문법적 주어의 지위를 가지는지 규명하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무인칭구문 및 그에 상응하는 эmо, оно 구문에 대해 원어민 피험자들(총3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했다. 설문 실험 결과, 자연현상이나 신체적 작용을 나타내는 무인칭 정형동사 구문에서는 эmо/оно가 사용될 수 없었던 반면, 무인칭 재귀동사와 부사적 술어 구문에서는 종속절(원형부정사절 및 정형절)이 있을 경우 эmо/оно의 용인성이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эmо의 용인성이 оно보다 더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무인칭 재귀동사의 경우에는 어휘에 따라 종속절이 없는 경우에도 эmо와 оно의 삽입이 가능했다. 이와 같이 무인칭 환경에 삽입되는 эmо와 оно는 인상술어의 주어로 인상될 수 있고, 재귀사를 결속시키며, 술어일치를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제한적인 환경이기는 하지만 문법적 허사 주어로 인정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whether Modern Russian features (semi-) expletive subjects, based on the judgement test that was taken by 35 Russian native speakers. The test was designed to compare the acceptability of оно and это in three impersonal environments, in which no thematic subject is allowed: Finite verbs expressing natural phenomena, adverbial predicates, and reflexive verbs deriving from unergative verbs. The test shows that оно and это may be acknowledged as true expletive subjects in limited environments although a clear contrast is seen between это and оно. The acceptability of это is clearly higher than that of оно irrespective of the construction type, which can be ascribed to the strong deictic nature of это. First, finite verb constructions denoting natural phenomena do not allow overt expletives at all: The semantics of a subject is available in this type of constructions although the covert subject cannot be referential. As this invisible argument related to natural phenomena already occupies the subject position, an overt expletive cannot be inserted into this position. This result parallels with the analysis of the weather-it in English as denoting an (quasi-) argument in the literature. Second, in the case of reflexive verbs and adverbial predicates, expletives are allowed if a subordinate clause (infinitival or finite) follows. In a limited case of reflexive verbs, это and оно are allowed even without a subordinate clause. This must be because there is no argument in the subject position in this type of reflexive verb constructions unlike finite verbs expressing natural phenomena. Это and оно in the given impersonal environments can be raised as the subject of a raising verb, can bind subject-oriented reflexives, and trigger agreement on predicates, which indicates that это and оно may be construed as grammatical subjects occupying Spec,TP, a position dedicated to a nominative subject.

      • KCI등재

        형식의 기능적 재해석과 언어 체계의 역할

        정하경(Hakyung Jung)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09 슬라브학보 Vol.24 No.3

        This paper investigates how morphological change is motivated by functional necessities to remove functional/semantic ambiguity from certain forms, which is conditioned, constrained, and triggered by the language-internal system. I address these questions by examining the developmental path of the new perfect construction in ?v?i in the western Russian dialect. Although the dialectal ?v?i perfect construction is considered to be a relatively young phenomenon, the first attestation of which is found in the 16<SUP>th</SUP> century manuscript, its development began on the basis of phonological and syntactic conditions of the 13th-14th century western dialect. The development of the construction is accounted for by general principles of language change. Namely, distinct functions tend to be associated with different forms and this motivates innovations at morphological and syntactic levels in language. The predicative past active participle short form in Old Russian developed into an independent perfect construction in the western dialect, conditioned by the pre-historic language contact with Baltic languages and triggered by the pan-Russian tense system readjustment in the 13th-14th centuries. The phonological system of West Russian, which ranked the feature [+vocalic] higher than [+consonantal] (i.e., vocalic language) and employed the tense-lax opposition, gave rise to potential ambiguity between the past active participle and the l-participle form after the jer shift in the 12th century. A functional motivation to formally differentiate the simple past and the perfect resulted in the reanalysis that assigned the perfect-denoting function to ??i and the past-denoting function to v, thus resulting in the obligatory ??i desinence for the perfect construction.

      • KCI등재

        IEEE 802.11 기반 무선랜에서 TCP 인지 서브 계층 TAS

        최낙중(Nakjung Choi),정하경(Hakyung Jung),류지호(Jiho Ryu),석용호(Yongho Seok),최양희(Yanghee Choi),권태경(Taekyoung Kwon) 한국정보과학회 2006 정보과학회논문지 : 정보통신 Vol.33 No.5

        본 논문은 IEEE 802.11 기반 무선랜 환경에서 TCP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분할TCP 기법을 소개한다. IEEE 802.11 기반 무선랜 환경에서는 유선 환경과는 달리 TCP 데이타 흐름(flow)이 많은 데이타를 보내려고 시도하지 않기 때문에 TCP 데이타 흐름 성능 저하의 주요한 원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문제를 완화하여 TCP 데이타 흐름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TAS(TCP-Aware Sub-layer) 기법을 제안한다. TAS 기법은 하나의 TCP 데이타 흐름을 AP 등의 분할 지점을 기점으로 두 개의 TCP 데이타 흐름으로 나누는 기존의 분할 연결(split-connection) 기법을 확장한 개념이다. TAS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무선 노드는 실제로 TCP ACK을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수신된MAC ACK을 이용하여 TCP ACK을 에뮬레이션한다. NS2 모의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기법인 TAS 기법의 성능을 기존 TCP 기법, I-TCP (Indirect TCP) 기법의 성능과 비교하였으며 모의 실험 결과는 TAS 기법이 다른 기법들에 비하여 시간당 처리량과 자원 할당의 형평성 측면에서 더 좋은 성능을 보인다는 것을 증명한다. 또한 절전 모드의 경우, 전송 지연 시간도 줄일 수 있다. This paper introduces a new split-TCP approach for improving TCP performance over IEEE 802.11-based wireless LANs. TCP over wireless LANs differently from wired networks is not aggressive, which is a fundamental reason for poor performance. Therefore, we propose TAS (TCP-Aware Sub-layer) to migigate this problem. Our scheme extends the split-connection approach that divides a connection into two different connections at a split point such as an access point (AP). Using TAS, a wireless node emulates TCP ACK packets using MAC ACK frames, instead of receiving real TCP ACK packets. We compared TAS with both normal TCP and I-TCP (Indirect TCP) by NS2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AS achieves higher throughput, more fair resource allocation and, in power-saving mode, shorter delay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