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경북 안동지방 양봉장 주변에 발생하는 주요 말벌류II: 트랩 포획 및 발생동태

        정철의,강문수,김동원 한국양봉학회 2007 韓國養蜂學會誌 Vol.22 No.1

        Vespid wasps can damage honeybee colony drastically if not monitored and managed properly. This study tested several trap designs varying color, entrance position and attractants. Additionally species composition of Vespidae visiting honeybee colonies and their seasonal dynamics were analyzed. In 2005, Vespa analis showed most dominant from an apiary in ANU, andong and Youngyang apple orchard. However, Vespa analis, V. mandarinia, V. simillima simillima and V. crabro flavofasciata were equally dominant in 2006. For trap structure, V. analis favored the trap with side opening, V. mandarinia with up-side opening, most disfavored the trap with bottom opening. V. mandarinia showed preference to red and green color, while others favored white. When adding apple pieces, V. mandarinia showed more trap catches to Hayang and Chukwang varieties which are more sweet than Hongro. Also, there were some seasonal differences of peak occurrence among species. Details were further discussed. 말벌류는 양봉에서는 매우 중요한 해적인 곤충으로 여겨진다. 이 포식성 곤충들은 단독 혹은 집단적으로 꿀벌 봉군을 공격하여 수 시간 이내에 봉군을 괘멸시키기도 한다. 최근 양봉장 주변의 말벌류 발생 빈도 및 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말벌류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 친환경적이면서 효과적인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종류를 달리한 유인트랩을 이용하여 양봉장 주변에 발생하는 말벌류의 종별 개체군 동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말벌류 발생은 8월에서 11월까지로 하였으며, 유인제로는 막걸리 1L : 효소 140g : 설탕 5Kg : 물 5L 혼합물을 기본으로 하였다. 트랩은 나방류 등의 유인에 사용되는 둥근 통에 출입구를 위, 아래, 옆으로 놓고 유인효과를 비교하였으며, 출입구가 위인 유인통에 사과 품종별(하양, 홍로, 추광) 또는 색깔별(빨강, 노랑, 초록, 흰색) 유인효과를 비교하였다. 2005년 안동대 양봉장에서는 좀말벌이 우점이었으나, 2006년에는 말벌, 털보말벌, 좀말벌, 장수말벌이 공히 다수 출현하였으며, 영양군사과원에서는 좀말벌이 최우점인 것으로 보여, 야생 말벌류의 개체군 구조는 지역별 연도별로 차이가 있었다. 좀말벌은 9월에서 11월, 장수말벌은 8월에서 10월, 털보말벌은 9월과 11월에 각각 높은 밀도로 채집되어, 각기 주 활동시기를 달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트랩의 구조는 좀말벌은 출입구가 위 또는 옆을, 땅벌은 옆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과즙을 추가하였을 경우, 장수말벌의 유인력은 증가하였으나, 다른 말벌류에는 큰 영향이 없거나 오히려 줄어들었다. 트랩의 색상별 차이에서는 땅벌과 털보말벌은 색상에 따른 유인효과가 달라, 흰색과 초록색에서 더 많이 포획되었다. 그러나 색에 대한 유인반응은 사과원과 양봉장간에 약간의 차이가 보였다.

      • KCI등재후보

        산림토양 산성화의 생물지표로써 날개응애(Acari: Oribatida)이용 가능성

        정철의,이준호,최성식 한국농림기상학회 2002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4 No.4

        The use of biological indicator for environmental monitoring has suddenly become popular in manyinternational organizations as well as domestic ones. Since the biological indicator species should be wellresponsive to native environmental change, development of native indicator species is prerequisite forenvironmental assessment and restoration program. Through regression analysis of mean density and pH,potential indicator species were screened from Namsan and Kwangreung where diferential environmentalstresses are influenced; Lasiobelba remota, Ceratozetes sp. Tectocepheus velatus, Neogymnobates sp. andOppia sp.3. Also keystone species in two study area were Lohmannia coreana, Ceratozetes sp., Rostrozetespulcherrimus, and Lasiobelba remota in Namsan Deciduous forest and Neogymnobates sp., Neogymnobatesdonghaksaensis, and Cultroribula tridentata in Kwangreung.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usingbiological indicator for environmental monitoring were further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겨울 세대 일벌의 생산 시기와 환경 분석: 월동폐사 문제 고찰

        정철의,배윤환 한국양봉학회 2022 韓國養蜂學會誌 Vol.37 No.3

        Winter is the most risky period for honey bee colonies especially in temperate climate region with severely harsh cold temperature. Compared to summer generation, winter generation honey bees live longer ap. 5 months and regulate the colony temperature in the range of 7 and 25°C with expense of food store during summer. The paper reviewed some experimental works on the timing of winter bee production,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winter bees relative to summer bee, size and quality of winter bee social structure for the successful overwintering. Also, the importance of integrated management of ectoparasitic mites, Varroa destructor and Tropilaelaps mercedesae was further discussed. Some future research questions relative to the severe weather phenomena were suggested.

      • 벌류를 이용한 기후변화 지표종 선발

        정철의,금은선,정성민,Sunil Aryal 한국응용곤충학회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10

        기후변화는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의 변화를 야기할 수 있는 중요한 환경 교란 요소이다. 생물군집으로 대표되는 생태계의 기본 구조는 구성 생물의 기후를 포함하는 다양한 환경에 대한 적응의 결과로 나타난다. 최근 1세기에 걸친 기후변화의 패턴은 생물종의 분포 지역과 밀도의 변화를 야기하고 있으나, 특정 생물은 그 변화를 가시적으로 보여주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생물들은 그 변화의 외적 표출은 제한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변화를 추적할 수 있는 지표생물의 발굴은 기후변화로 인한 생태계의 변화와 적응, 그 영향을 조절하는 데 중요하다. 본 연구는 농생태계 내 서식하는 벌류 곤충 중 기후변화를 지표할 수 있는 생물종을 선발하고자 선발 기준의 개발 및 발생 모니터링을 통해 지표 가능성을 파악하였다.

      • KCI등재

        A New Finding of a the Predatory Mite, Amblyseius californicus (Acari: Phytoseiidae) in Jeju, Korea

        정철의,Dong Hwan Kim,Myon Ok Ryu 한국응용곤충학회 2006 Journal of Asia-Pacific Entomology Vol.9 No.4

        Predatory mites in the Family of Phytoseiidae (Acari) are important components in mite biological control. Until now, a native predatory mite, Amblyseius womersleyi has been a subject of intensive studies for implementation of spider mite biological control in fruit orchards, while imported Phytoseiulus persimilis has been successfully implemented in greenhouse environments since 2002. Because of some ecological constraints of A. womersleyi as well as the field environments, spider mite biological control by A. womersleyi has not been successfully implemented. Therefore, demands for another feasible mite predator have increased. This paper reports a newly found predatory mite, Amblyseius californicus, known also as Neosiulus californicus from Jeju citrus orchards. This is the first record of field occurrence of this species in Korea. Som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is species useful for biological control are also discussed.

      • 생물다양성 보전의 생태적 관점

        정철의 한국응용곤충학회 2013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10

        생물다양성은 각종 재화와 물질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가치와 미래 의약품 의 원료 또는 각종 생물 신소재로 활용될 수 있는 부가가치는 물론 존재의 본원적이 며 윤리적인 존재가치로 나눌 수 있으며 지구생태계의 서비스는 지구상의 전체 순 생산액의 2배에 가깝게 추정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생물다양성 감소는 인류의 생존과 번영에 큰 위험요소로 작용하며, 그 중심에는 서식처 변화 및 외래종의 침입 이 주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따라서 생물종 보전의 방향은 서식처를 중심으로 서 식처내, 서식처외 보전 프로그램이 활발히 진행되면서 동시에 생물다양성 탐색 및 DB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생물종 보전에 관련된 기초적 생태적 관점을 도서 생물지리학, 가장자리효과, 종 보존의 유전생태학적 관점 등을 요약하여 발표한다. 또한 국외의 곤충종 보전프로그램 사례를 소개하고 현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멸종위기종 복원사업 현황을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생물종/다양성 보전과 복원 연 구는 비단 환경분야 뿐 아니라 농업생태계 내에서도 주도적으로 이루어 져야 할 것 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