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태반-특이유전자의 흰쥐 태반내 발현분포

        최은화(Eun Hwa Choi),정채용(Chaeyong Jung),남광일(Kwang Il Nam),이승원(Seung Won Lee),배춘상(Choon Sang Bae),김백윤(Baik Yoon Kim),박성식(Sung Sik Park),안규윤(Kyu Youn Ahn) 대한체질인류학회 2011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4 No.1

        Homeobox 유전자는 분화, 발생 및 발암 등을 유도하는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하는 많은 전사인자들을 암호화하고 이 유전자의 특징은 서로 다른 종 간에도 일정한 염기서열이 잘 보존되어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homeobox 유전자계에 속하는 흰쥐의 새로운 태반-특이 유전자(rPsx)로 부터 digoxigenin이 표지된 cRNA probe를 만들어 in situ hybridization 조직화학 기법을 이용하여 임신 7.5일부터 16.5일까지의 흰쥐 태반에서 이의 발현 및 분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In situ hybridization 조직화학 소견에서 임신 10.5일에 처음으로 태반-특이유전자의 mRNA가 융모막외배엽에서 처음으로 발현되기 시작하였다. 임신 11.5일에서 hybridization signal은 미로영양막층과 거대영양막세포층에서만 관찰되었다. 임신 12.5, 13.5 및 14.5일에서는 hybridization signal은 거대영양막세포층, 해면영양막층 및 미로 영양막층에서 관찰되었다. 임신 15.5일에서는 hybridization signal이 미로영양막층과 해면체영양막층에서 관찰되었으나 거대영양막세포층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해면체영양막층에서의 hybridization signal은 임신 14.5일에 비해 상당히 감소하였다. 임신 16.5일에서는 hybridization signal이 미로영양막층에서만 관찰되었고 해면체영양막층이나 거대영양막세포층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임신 경과에 따른 hybridization signal은 임신 10.5일부터 점차 증가하여 14.5일에 최고조에 달한 후 그 이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흰쥐에서 새로운 태반-특이유전자는 임신 10.5일부터 발현되기 시작하여 태반의 융모막외배엽, 미로영양막층, 해면영양막층 및 거대 영양막세포층에서만 발현되며 영양막세포의 분화 및 발육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Homeobox genes seem to play critical roles in regulating morphogenesis, patterning, organogenesis, and differentiation. They have the conserved sequence that codes the DNA-binding domain called homeodomain. The expression and cellular localization of rPsx mRNA in rat placenta during placental development were examined by in situ hybridization histochemistry at different embryonic stages (Embryonic days 7.5~16.5). rPsx mRNA was first detected in chorionic ectoderm of placenta at E 10.5. This transcript was localized in labyrinth trophoblast and trophoblast giant cells at E 11.5. Hybridization signals were observed in labyrinth trophoblast, spongiotrophoblast, and trophoblast giant cells at E 12.5, E 13.5, and E 14.5. At E 15.5, hybridization signal was detected in labyrinth trophoblast and spongiotrophoblast but not in trophoblast giant cells. Hybridization signal was only detected in labyrinth trophoblast at E 16.5. rPsx mRNA was not detected in decidua and any tissues of the embryo from E 7.5 to E 9.5 of gestations. From these results, a new rPsx homeobox gene is first expressed at E 10.5 and detected in chorionic ectoderm, labyrinth trophblast, spongiotrophoblast and trophoblast giant cells of the placenta. This gene may play a critical role in differentiation and development of trophoblast cells.

      • KCI등재

        저칼륨혈증 흰쥐 신장에서 Carbonic anhydrase Ⅱ 발현 증가

        이용찬(Yong Chan Lee),정채용(Chaeyong Jung),남광일(Kwang Il Nam),이승원(Seung Won Lee),배춘상(Choon Sang Bae),김백윤(Baik Yoon Kim),박성식(Sung Sik Park),안규윤(Kyu Youn Ahn) 대한체질인류학회 2011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4 No.1

        산-염기 평형장애나 전해질 불균형은 신요세관에서 HCO₃? 재흡수가 증가되거나 감소되는 것과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칼륨제한시 대사성 알칼리증을 유발시키고 이와 관련된 Na/H exchanger와 Na/HCO₃ cotransporter에 대한 연구는 잘 알려져 있지만 저칼륨혈증시 carbonic anhydrase에 관한 연구는 없다. 본 연구는 흰쥐신장에서 칼륨제한 식이 시기에 따라 carbonic anhydrase Ⅱ의 신장내 발현 및 분포의 변화를 Western 분석과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관찰하였다. Western 분석 소견에서 carbonic anhydrase Ⅱ 단백은 30 kDa 정도이고 정상식이 군에서 상당량 발현되었으며 칼륨제한 식이 군에서는 정상식이 군에 비해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면역조직화학 소견에서 carbonic anhydrase Ⅱ 단백은 겉질집합관, 바깥속질집합관 및 속속질집합관의 상 1/3에서만 발현되었다. 면역반응성은 속속질 집합관으로 갈수록 감소하였다. 집합관에서의 면역반응성은 개재세포가 강했으며 주세포는 미약하였다. 칼륨제한 식이 군에서 면역반응 부위는 정상식이 군과 차이가 없었다. 면역반응성은 겉질집합관 특히 일부 개재세포와 주세포에서 감소하였고 바깥속질 바깥줄무늬층 집합관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바깥속질속줄무늬층 집합관과 속속질집합관 상 1/3에서는 현저히 증가하였다. 이상의 소견은 저칼륨혈증시 신장 집합관에서의 carbonic anhydrase Ⅱ 단백은 부위에 따라 발현양상이 다름을 암시하였다. A number of acid-base or electrolyte disorders are associated with decreased or increased HCO₃? reabsorption in the renal tubules.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alterations of expression and distribution of Carbonic anhydrase Ⅱ in the kidneys of normal and potassium-depleted rats using Western blot analysis and immuno-histochemistry. Western blot analysis demonstrated that CA Ⅱ protein, ~30 kDa at molecular mass, was abundantly expressed in normal group. All potassium-depleted groups showed slightly increased CA Ⅱ protein compared to normal group. In control group, immunoreactivity of CA Ⅱ protein was detected in the entire collecting duct. Signal intensity was prominent in the intercalated cells and weak in the principal cells of the cortical collecting ducts. In potassiumdepleted groups, the pattern of cellular labeling of CA Ⅱ protein was identical to that of normal group, but the signal intensity was decreased in cortical collecting duct, markedly increased in the inner stripe of outer medullary and inner medullary collecting ducts, and unchanged in the outer stripe of outer medullary collecting du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ronic hypokalemia impact the expression pattern of CA Ⅱ protein depending the portion of the collecting duct.

      • KCI등재후보

        치조열을 동반한 편측성 구순열에서 왜소치 배열을 통한 치조골 형태 개선

        김도길(Do-Gil Kim),정채용(Chaeyong Jung),이경민(Kyung-Min Lee),조진형(Jin-Hyoung Cho),오민희(Min-Hee Oh) 대한구순구개열학회 2023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Vol.26 No.2

        This case report describes a successful orthodontic treatment with orthognathic surgery of a 17-year-old girl with skeletal Class III and unilateral cleft lip and alveolus on left side. The treatment included extraction of the maxillary premolars and asymmetric mandibular setback surgery. To induce regeneration of buccal alveolar bone on upper left lateral incisor, the palatal positioned left lateral incisor was aligned. After orthodontic treatment with orthognathic surgery, the patient had an improved facial profile, improved alveolar bone appearance on the cleft alveolus area, and favorable occlusion.

      • KCI등재

        흰쥐 눈물샘에서 Carbonic Anhydrase 발현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안 민(Min Ahn),이송은(Song Eun Lee),남광일(Kwang Il Nam),정채용(Chaeyong Jung),이승원(Seung-won Lee),안규윤(Kyu Youn Ahn),배춘상(Choon Sang Bae),김백윤(Baik Yoon Kim),박성식(Sung Sik Park) 대한해부학회 2008 Anatomy & Cell Biology Vol.41 No.1

        흰쥐 안구 밖 눈물샘에서 carbonic anhydrase (CA) 동종효소의 발현 여부를 관찰하고자 흰쥐 눈물샘을 대상으로 CA I, II, IV 및 IX 동종효소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여 면역조직 화학 염색을 시행하였고, 이들 조직에서 각각의 CA 동종효 소 단백 발현을 Western blotting 분석을 시행하여 확인하였다. Western blotting 분석 결과 CA II와 IX가 가장 강하게, CA I이 중등도로, CA IV가 가장 약하게 발현되었다. H-E 염색에서 안구 밖 눈물샘은 대롱꽈리샘으로 많은 소엽과 사이막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소엽에는 장액샘꽈리와 사이관 그리고 소집합관들이 관찰되었다. 면역조직화학 염색에서 CA I 반응은 샘꽈리세포에서는 음성이었으나 사이관세포와 소집합관세포에서는 양성 반응을 보였다. CA II 반응은 샘꽈리세포의 경우 샘꽈리에 따라 다양한 양성 반응을 보였으며 양성 부위는 샘꽈리세포의 핵상부 세포질이었다. 사이관과 소집합관에서는 대부분 음성이었으나 일부 사이관과 소집합관은 약한 반응을 보였다. CA IV 반응은 샘꽈리세포에서는 음성이었으나 사이관 세포와 소집합관세포는 강한 양성을 보였다. CA IX 반응은 대부분의 샘꽈리세포에서는 음성이었으나 극히 일부 샘세포에서는 바닥세포막에서 양성 반응을 보였다. 사이관과 소집합관세포에서는 양성 반응을 보였다. 이상의 관찰로 흰쥐 안구 밖 눈물샘에서 샘꽈리세포와 도관세포에 분포하는 CA 동종효소가 다름을 확인하였으며, 눈물샘에서의 전해질 대사는 샘꽈리세포는 주로 CA II에 의해 이루어지고 도관계는 주로 CA I, IV 및 IX에 의해 이루어질 것으로 추측되었다. There are several carbonic anhydrase (CA) isozymes, which differ in their kinetic properties, tissue distribution, and subcellular localization. In this study, the distribution of CA isozymes I, II, IV, and IX was investigated in the rat exorbital lacrimal gland using Western blotting analysis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In the Western blotting analysis of the rat lacrimal gland, CA II and CA IX were expressed abundantly and CA IV was expressed weakly. Hematoxylin-eosin staining of the exorbital lacrimal gland showed a multilobular tubuloacinar gland composed of acinar and ductal cells. Immunohistochemical reaction revealed no CAI staining in acinar cells and positive staining in intercalated and small duct cells. CA II reactivity was detected in the supranuclear cytoplasm of acinar cells and appeared to vary between acini. The intercalated and collecting duct cells showed weak or no immunoreactivity for CA II. CA IV was detected in the intercalated and collecting duct cells but not at the acinar cells. CA IX was detected in the intercalated and collecting duct cells, and in only a few acinar cell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differential distribution of CA isoenzymes in the exorbital lacrimal gland of the rat and suggest that CA II is related mainly to the electrolyte metabolism of tears in the acinar cells and that CAs I, IV, and IX are related to the electrolyte metabolism of tears in the duct cells.

      • KCI등재후보

        흰쥐 침샘에서 Carbonic Anhydrase 동위효소 IV와 IX의 분포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조태영(Tae Young Cho),이송은(Song Eun Lee),남광일(Kwang Il Nam),정채용(Chaeyong Jung),안규윤(Kyu Youn Ahn),배춘상(Choon Sang Bae),김백윤(Baik Yoon Kim),박성식(Sung Sik Park) 대한해부학회 2009 Anatomy & Cell Biology Vol.42 No.4

        침샘에서 carbonic anhydrase(CA) 동위효소의 발현 여부를 관찰하고자 흰쥐 귀밑샘과 턱밑샘을 대상으로 CAs I, II, IV 및 IX 동위효소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여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시행하였고, 이들 조직에서 각각의 CA 동위효소 단백발현을 Western blot 분석을 시행하여 확인하였다. Western blot 분석 결과 귀밑샘은 CAs I, II와 IX는 강하게 발현되었고 CA IV는 미약하게 발현되었다. 턱밑샘에서는 CAs I과 II는 강하게 발현되었으나 Cs IX는 미약하게 발현하게 발현되었고 CA IV는 발현되지 않았다. H-E 염색에서 귀밑샘은 장액샘꽈리와 도관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턱밑샘은 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고유턱밑샘형소엽과 점액샘꽈리와 장액반달로 구성된 혀밑샘형 소엽으로 되어 있었다. 면역조직화학 염색에서 귀밑샘은 CA IV, IX 및 I의 반응은 사이관, 줄무늬관 및 소엽사이관 같은 도관세포에서 양성을 보이고 샘꽈리세포에서는 음성이었다. CA II 반응은 도관세포와 샘꽈리세포에서 양성이었다. 턱밑샘의 고유턱밑샘형 소엽에서 CA IV, IX 및 I의 반응은 도관세포에서는 양성 반응을 보였으나 샘꽈리세포에서는 음성이었다. CA II 반응은 도과세포와 장액샘꽈리세포에서 모두 양성이었다. 턱밑샘의 혀밑샘형 소엽에서 CAs IV, IX 및 I 반응은 도관세포에서는 양성을 보였으나 샘꽈리세포에서는 음성이었다. CA II 반응은 도과세포와 장액반달세포에서 양성이었으나 점액샘꽈리세포에서는 음성이었다. 이상의 관찰로 흰쥐 귀밑샘과 턱밑샘에 분포하는 CA 동위 효소의 분포를 확인하였으며, 침 도관세포에서의 전해질 대사는 CAs I과 II뿐 아니라 CAs IV와 IX도 관여할 것으로 추측되었다. This study presents distribution of carbonic anhydrase(CA) isozymes IV and IX, membrane associated forms, and CA I and II, cytoplasmic forms, in rat parotid and submandibular glands using Western blot analysis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estern blot analysis demonstrated that CAs I, II and IX were found to be abundantly expressed, but CA IV was weakly expressed in parotid gland. Submandibular gland expressed abundant CAs I and II, weak CA IX, and undetectable level of CA IV. In hematoxylin-eosin staining, parotid gland was entirely composed of serous acini and their ducts while submandibular gland was mixed population of serous and mucous lobules. Most of lobules (submandibular gland proper type) contained mostly serous acini and their ducts with granular convoluted duct. Some lobules (sublingual gland type) contained mostly mucous acini with serous demilune and their ducts without granular convoluted duct. In parotid gland, CAs IV and IX were immunolocalized in duct cells and not in serous acinar cells. Immunoreactivity for CAs I and II was also detectavle in duct cells. Serous acinar cells were positive for CA II, and negative for CA I. In submandibular gland, CAs IV and IX were immunolocalized in duct cells but not in acinar cells of both types of lobules. Immunoreactivity for CAs I and II was also detectable in duct cells of both types of lobules. Cells of serous acini and serous demilune were positive for CA II, and negative for CA I. Mucous cells were negative for both CAs I and II.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distribution of CA isoenzymes in parotid and submandibular glands of the rat, and suggest CAs IV and IX as well as CAs I and II are related to electrolytes metabolism of saliva in duct ce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