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외 로케이션 영화의 글로컬 알레고리, 1980∼1987

        정찬철(Jeong, Chan Cheol),정태수(Jeong, Tae Soo)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6 통일인문학 Vol.67 No.-

        본 연구는 1980~1987년 사이에 유행처럼 제작되었던 ‘해외 로케이션 영화’를 들여다본다. 이 시기 동안 제작된 해외 로케이션 영화 속의 이국적 도시공간은 이전과 달리 단지 배경으로만 존재하기보다는 직접적으로 로컬의 정체성, 역사적 그리고 정치적 서사와 결속되었다. 로컬의 서사는 이민자, 혼혈아의 자기 정체성과 같이 80년대 한국사회가 직면하고 있었던 역사적이고 정치적 양상을 지닌 공동체적 경험이었다. 특히 이민자의 서사를 다루었던 <상한 갈대>(유현목, 1984)와 <깊고 푸른 밤>(배창호, 1985)은 한국인 이민자의 민족적 그리고 인종적 정체성 혼돈의 기호와 징후 사이에서 한국과 미국의 식민지적 관계, 즉 지배와 피지배의 이분법적 관계를 드러내는 데만 머물지 않고, 자신의 민족적 정체성과 길항하는 이민자 개인을 통해서 민족이라는 튼튼하고 균일한 질서에 균열을 일으킨다. 또한 이 시기 해외 로케이션 영화는 외화쿼터획득을 목적으로 한 ‘졸속영화’의 제작과 에로영화로 물든 1980년대 한국영화 산업의 질적 부흥을 위한 영화적 ‘기획’이었다. 게다가 대부분 해외 로케이션 영화는 일반 영화의 3, 4배의 예산이 투자되었던 ‘대작’ 영화였다. 따라서 해외 로케이션 영화 속의 해외 도시공간은 무엇보다도 한국관객의 시각을 충족시킬 수 있는 명승지와 화려한 풍경과 같은 이국적 볼거리이어야 했다. 제작사는 이국적 도시 이미지를 통해 졸속영화의 제작과 에로영화의 범람으로 인해 줄어든 영화관객을 되찾고 싶었던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첫째, 이 시기 해외 로케이션 영화에 등장하는 글로벌 도시공간은 제작사의 상업적 목적 속에서 전략적으로 선택된 공간이다. 둘째, 이 시기 해외 로케이션 영화의 글로벌 도시공간은 ‘글로컬 Glocal’ 공간이다. 왜냐하면 한국인 이민자의 자기 정체성과 떠나온 민족 사이의 갈등이 표출됨으로써, 글로벌 도시공간은 ‘글로컬’ 이라는 혼성적 공간으로 변화되기 때문이다. 특히, 글로컬 도시공간은 민족 서사로 봉합되는 전체 서사 내부에서 균열적인 탈민족 서사로 재독(Re-reading)할 수 있는 지배적 기호로 작동한다는 점에서 글로컬 알레고리가 된다. During the period from 1980 to 1987, Korean film industry was in crisis. The industry lost touch with the public as it made what the 5th Republic wanted movies that ideologically helped the regime’s political and cultural projects to settle down its authority. For this aim, the Regime’s tool was its annual film rule that film production had to follow and reflected in order to get any ticket to import foreign movies by which they survived. In such political and cultural conditions, a strategy of filmming abroad emerged among leading film productions to meet the Regime’s film politcy and also their attempt to get back the lost public by making good films. It was successfully as it became a boom. What was interesting was that international location movies brought in a new space into Korean cinema, foreign urban spaces that related with the local, Korean’s collective memories such as the Korean War, immigration into America. What more interesting was that such local narratives in global urban spaces revealed that the Regime want to reshape such images of Koreans in global spaces into nationalist ones. This paper claims that international location moves of this period were the symbolic representation of the Regime’s political and cultural project to strengthen the Korean nationalism.

      • KCI등재

        할리우드가 재현하는 한국전쟁과 미국군인, 1950-1953

        정찬철 ( Chan Cheol Jeong ) 조선대학교 동북아연구소(구 통일문제연구소) 2014 동북아연구 Vol.29 No.1

        한국전쟁이 할리우드가 2차 세계대전을 다룬 전쟁영화를 통해 구축한 영웅으로서의 미국군인 이미지에 균열을 일으켰던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이 영웅 이미지의 균열이 한국전쟁 기간 동안 제작된 할리우드의 한국전쟁 영화 속 미국군인의 재현방식을 지배했던 것은 아니다. 반대로 할리우드의 한국전쟁 영화는 다음 세 가지 목적을 위해 제작되었다. 균열된 이미지의 회복, 동아시아 내 미국의 정치적 중요성의 선전, 그리고 미국의 한국전쟁 참전의 정당화. 본 논문은 할리우드의 제작사들이 어떠한 정치적 그리고 산업적 배경 속에서 한국전쟁 영화를 제작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설명에서 출발해, ‘회복’, ‘선전,’ 그리고 ‘정당화’라는 이 세 가지 목적이 할리우드 한국전쟁 영화 속에서 어떻게 표현되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철모 The Steel Helmet> (사뮤엘 퓰러 Samuel Fuller, 1951)와 <전장의 서커스단 Battle Circus> (리차드 브룩스 Richard Books, 1953), 이 두 편의 영화를 구체적으로 분석할 것이다. During the Korean War,1950-1953, Hollywood made about thirty-two feature films, most of which were co-produced with the Department of Defense. The image of American soldiers during the Korean War, as many historians claim, was both part of that of the American soldiers in the World War II and somewhat different. Agony, sorrow, discouragement, and fear formed their war experience in the distant country of Korea. These images were captured by war correspondents such as David Douglas Duncan and effected not only the ways in which the public were to see the war, but also how the Truman administration managed the war. The previous studies on Hollywood’s Korean war movies have focused particularly on these questions: why such different images appeared, how the U.S government responded to them, and how these images changed during the course of the war. But,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from which these negative images came originally and how Hollywood’s Korean war movies tried to bring it back to the heroic image of the American soldier during World War II. By analyzing two Hollywood’s Korean War films, The Steel Helmet and Battle Circus, this paper will show how and why the image of the American G.I as victims was put into Hollywood’s Korean war movies that were made during the Korean war and how it was recovered to its original status in the history of American G.I., the comeback hero.

      • KCI등재

        스펙터클 이미지 : 탈연속성과 몰입의 서사

        정찬철 ( Jeong¸ Chan Cheol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21 아시아영화연구 Vol.14 No.1

        영화의 제작과 배급과 상영이 필름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된 이후로, 영화학에서는 이러한 새로운 변화들에 대한 사유와 논의가 ‘포스트시네마(post-cinema)’라는 용어를 중심으로 개진되었다. 필름이라는 기술 미디어의 조건에서 규범이었던 개념이 디지털이라는 기술적 조건에서는 선택적인 것이 되거나 수정되어야 했다. 이 논문은 지금까지 포스트시네마 담론의 장에서 스티븐 쉬비로(Steven Shaviro)가 제시한 탈연속성 개념을 소개하고, 이를 기반으로 탈연속적 영화 이미지의 체계를 기존의 연속성 기반의 영화가 추구했던 봉합적 몰입이 아닌 디제시스 내에 존재하는 의미로 공간적 ‘몰입’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한다. 공간적 몰입을 추구하는 영화 이미지의 체계를 스펙터클 이미지라 명명하고자 한다. 오늘날 디지털 시각효과가 낳은 결과라는 발전론적 도식이 아닌, 토마스 엘새서(Thomas Elsaesser)의 미디어고고학 기반 영화사 인식을 따라서, 일종의 순환과 차별적 반복이라는 탈역사적 관점에서 바라보고자 한다. Since cinema’s transition from film to digital in its all areas from production to exhibition, ideas and discussions concerning this technological change have been advanced around the term of post-cinema. It was argues that many concepts and terms in cinema studies that were firmly considered as norms in the age when was the main medium for the film industry are to be redefined or deconstruced in the age of digital filmmaking. Critically reviewing Steve Shaviro’s concept of ‘post-continuity’ which he suggested as a new regime of cinematic image in the digital age, this paper will explain that post-continuous shots mainly focus on delivering spectacular images and then putting audiences into the cinematic world rather then putting them out of the diegetic world. This paper will suggest to call the cinematic structure as ‘the spectale-image.’

      • KCI등재후보

        할리우드가 재현하는 한국전쟁과 미국군인, 1950-1953

        정찬철 ( Chan Cheol Jeong ) 조선대학교 동북아문제연구소 2014 동북아연구 Vol.29 No.1

        한국전쟁이 할리우드가 2차 세계대전을 다룬 전쟁영화를 통해 구축한 영웅으로서의 미국군인 이미지에 균열을 일으켰던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이 영웅 이미지의 균열이 한국전쟁 기간 동안 제작된 할리우드의 한국전쟁 영화 속 미국군인의 재현방식을 지배했던 것은 아니다. 반대로 할리우드의 한국전쟁 영화는 다음 세 가지 목적을 위해 제작되었다. 균열된 이미지의 회복, 동아시아 내 미국의 정치적 중요성의 선전, 그리고 미국의 한국전쟁 참전의 정당화. 본 논문은 할리우드의 제작사들이 어떠한 정치적 그리고 산업적 배경 속에서 한국전쟁 영화를 제작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설명에서 출발해, ‘회복’, ‘선전,’ 그리고 ‘정당화’라는 이 세 가지 목적이 할리우드 한국전쟁 영화 속에서 어떻게 표현되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철모 The Steel Helmet> (사뮤엘 퓰러 Samuel Fuller, 1951)와 <전장의 서커스단 Battle Circus> (리차드 브룩스 Richard Books, 1953), 이 두 편의 영화를 구체적으로 분석할 것이다. During the Korean War,1950-1953, Hollywood made about thirty-two feature films, most of which were co-produced with the Department of Defense. The image of American soldiers during the Korean War, as many historians claim, was both part of that of the American soldiers in the World War II and somewhat different. Agony, sorrow, discouragement, and fear formed their war experience in the distant country of Korea. These images were captured by war correspondents such as David Douglas Duncan and effected not only the ways in which the public were to see the war, but also how the Truman administration managed the war. The previous studies on Hollywood’s Korean war movies have focused particularly on these questions: why such different images appeared, how the U.S government responded to them, and how these images changed during the course of the war. But,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from which these negative images came originally and how Hollywood’s Korean war movies tried to bring it back to the heroic image of the American soldier during World War II. By analyzing two Hollywood’s Korean War films, The Steel Helmet and Battle Circus, this paper will show how and why the image of the American G.I as victims was put into Hollywood’s Korean war movies that were made during the Korean war and how it was recovered to its original status in the history of American G.I., the comeback her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