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 고려인삼의 주아 발달 경로에 대하여

        정찬문,임흥빈,이이,정열영,전병록 충북대학교 연초연구소 2009 煙草硏究 Vol.22 No.-

        본 시험은 인삼의 채종종자의 조직을 관찰하여 잠아의 실체를 조사하였고 묘삼의 잠아특성을 산지별로 조사하여 다경이 되는 잠아의 발달경로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묘삼을 본포에 이식하여 3년생을 채굴하여 4년생이 될 주아의 생성경로를 조사하였다. 1. 묘삼의 주아는 발아종자의 경근천이부에서 피층조직이 융기하여 돔(dome)형태의 원잠아 또는 측잠아가 형성된 후 이들 조직이 분화하여 발달하였다. 2. 묘삼의 단뇌는 90%가 원잠아에서 유래하였고 쌍뇌는 원잠아와 2%정도의 측잠아1개가 발달되어 형성되었으며 3뇌는 원잠아와 측잠아 2개가 발달하여 형성되었다. 3. 본포에서 2년생과 3년생은 주아가 단뇌로 형성되어 있어 2경개체가 발생하지 않으나 4년생은 3년생에서 발달한 쌍뇌 이상의 주아가 있어 2경개체이상이 관찰되는 최초의 연생이었다. 4. 4년생의 주아는 종자에서 형성된 원잠아, 측잠아와 2-3년생에서 뇌두부위에서 형성된 피층잠아에서 유래하는 것으로 고년생으로 갈수록 쌍뇌 또는 3뇌는 원잠아에 비해 피층잠아 유래의 주아가 많았다. We studied the substance of latent bud by surveying the embryo of harvested seed and developmental pathway of latent bud by analysing the characteristics of latent bud of local ginseng lines. We transplanted one year old ginseng seedlings in the field and harvested it out two years later. And then We investigated developmental pathway of the main bud which would be the shoot of ginseng in the fourth year. Main bud of seedling was formed from the region between root and shoot of germinating seed. Primary and axillary latent buds protruded in dome shape from cortex tissue and differentiated into main bud. Ninety percent of single main bud was derived from primary latent bud, twin main buds were derived from primary latent bud and one axillary bud, and triple main buds were derived from primary latent bud and two axillary latent buds. In the field, We could not find 2-stem plant from 2-3 years old plant, however, We found 2-stem plant from 4-year-o1d plant because twin main buds developed from 3-year-o1d plant. Therefore 2-stem plant was observed obviously from the plant at least 4 years old. Main buds of 4-year-old plant were formed from primary and axillary latent bud of seed and cortex latent bud of rhizome from 2-3 years old plant. In older plants, twin and triple main buds were derived more from cortex latent bud than primary latent bud.

      • 기내배양에 의한 Panax속(屬) 종자의 발아 및 생장특성

        정찬문 충북대학교 연초연구소 2006 煙草硏究 Vol.20 No.-

        인삼속의 종간비교시험의 일환으로 고려인삼, 미국삼 그리고 죽절삼을 공시하여 이들의 종자 특성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기내에서 배배양 방법에 의해 발아율 및 생장을 검정하였다. 종자는 미국삼이 납작한 형태의 편형(扁形)이고 고려인삼이 납작하면서 둥근형태의 편구형(扁球形)이며 죽절삼이 둥근 형태의 구형(球形)이었다. 그리고 배생장 및 발아는 고려인삼과 양호하였고 미국삼과 죽절삼은 불량하였다. 그리고 환경에 따른 발아율은 기내배양, 생육상 그리고 포장의 순으로 양호하였으며 종간의 발아율은 고려인삼이 가장 양호하였다. 특히 배배양은 종자의 활성이 잘 나타나므로 기내배양에 의한 종자의 발아능 테스트를 위한 간이 검정법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growth of seed in genus of panax using Korean ginseng(Panax ginseng), American ginseng(Panax quinquefolium) and Jukjeal ginseng(Panax japonuicum) through field and in vitro examination. Seed have three morphological type that was observed flat in American ginseng, flat and globular in Korean ginseng and globular shape in Jukjeal ginseng. Korean ginseng was good growth of embryo and germination but American ginseng was not. As for rate of germination, Korean ginseng was the best compared American and Jukjeal ginseng. In culture condition, In vitro culture was good than other growth chamber and field. Using Embryo culture, It is possible to test activity of seed and capacity of germination as simple test method of se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고려인삼과 미국삼의 품질요인별 수삼 및 홍삼등급 비교

        정찬문,신주식 韓國藥用作物學會 2006 한국약용작물학회지 Vol.14 No.4

        고려인삼과 미국삼에 있어 원료수삼의 품질 외적요인과 홍삼품질과의 관계를 조사하여 종간특성을 비교하였다. 원료수삼의 편급과 등급을 결정하는 품질요인은 체형계수, 동장 그리고 근중을 적용하였으며 이들 요인과 홍삼 품질관계를 구명하였다. 1. 편급의 분포는 고려인삼의 경우 중편과 대편급이 많았으나 미국삼은 중편과 소편급이 많았으며 미국삼은 고려인삼에 비해 동장이 짧고 동직경이 굵고 부정형 지근이 많았다. 2. 원료삼 품질은 고려인삼이 미국삼에 비하여 양호하였고 홍삼품질은 고려인삼이 지삼 이상의 고급홍삼이 많았으나 미국삼은 양삼과 같이 저급홍삼이 많았다. 3. 원료수삼 품질요인중 중편삼과 대편삼의 경우 고려인삼은 체형계수 0.5 이하였으나 미국삼은 0.5를 상회하여 미국삼은 홍삼품질에 적합하지 않았다. 4. 고려인삼과 미국삼 모두 품질요인으로 동장과 근중은 홍삼품질과의 관계에서 비슷한 경향이나 체형계수가 특히 홍삼의 품질을 좌우하는 요인이었다. 5. 따라서 고려인삼과 미국삼 모두 원료삼과 홍삼품질 향상을 위해 근중, 체형계수 그리고 동장의 조정이 요망되었다. Comparison of the grade of raw ginseng and that of red ginseng was investigated. The materials used in this study were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and American ginseng(Panax quinquefolium L.) Coefficient of body term, length of main stem and weight of raw ginseng were used as the classifying criteria of the root size and grades. Korean ginseng distinguished the distribution of weight size from that of American ginseng. Korean ginseng distributed largely in middle and large root size, and American ginseng distributed largely in middle and small root size. American ginseng had shorter length of main root, bigger diameter of main root and more number of adventitious roots than Korean ginseng. The quality of Korean ginseng was better than that of American ginseng. In Korean ginseng, high quality of red ginseng above second grade (Jisam) was obtained, but low quality of red ginseng under third grade (Yangsam) in American ginseng. In Korean raw ginseng, the coefficients of body form of middle weight and large weight size were under 0.5, but those of American ginseng was over 0.5. So American ginseng were not adequate to produce good red ginseng. Those factors as length of main root and weight of main root were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qualify of red ginseng in both Korean ginseng and American ginseng. Coefficient of body form was leading factor affecting the quality of red ginseng. To improve the quality of red ginseng, coefficient of body form, weight of main root and length of main root were controlled adequately in both Korean ginseng and American ginseng.

      • 통기방식에 의한 고려인삼의 기관분화 특성

        정찬문,신주식,이이,장병용 충북대학교 연초연구소 2004 煙草硏究 Vol.19 No.-

        기내 배양환경 개선방안의 일환으로 강제통기방식을 이용한 치상배의 발아유형과 생장특성 등을 구명하였다. 강제 통기방식에 의한 배양용기는 기존의 삼각플라스크 배양에 비해 결로 현상이 적었을 뿐 치상절편의 기관분화 및 생장에는 효과가 없었다. 그러나 기내의 공기를 환기시키고 GA등 양액을 추가 공급하여 배양체의 생장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오염율은 높았다. 발아유형별 기관분화는 자엽 전개가 양호한 B type이 좋았으나 자엽이 전개하지 않은 A Type과 상배축이 전개한 C Type은 불량하였다. 배(embryo)의 부위별 callus 생장은 자엽과 경근이동부가 좋았고, 배를 전체배양 했을 때 callus 노화가 쉽게 일어났다. 절편체에서 shoot 분화는 자엽과 경근이동부가 양호하였다. For the improvement of in vitro incubation conditions, we analyzed the germination and growth of zygotic embryo explant using forced ventilation. Forced ventilation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organ formation and growth of zygotic embryo explant compared to triangular flask except for lower dew formation. Ventilation and GA addition to the medium increased not only the growth rate but also the contamination rate. We tested the organ formation rate according to the germination type. B type, which has good cotyledon formation, showed higher organ formation rate, but A type, which has no cotyledon, and C type, which has hypercotyl, showed lower organ formation rate. We tested the callus growth rate according to the part of embryo. Calli from cotyledon and the region between root and stem showed higher growth rate. Calli induced from whole embryo showed early senescence. Cotyledon and the region with root and shoot showed good explant shoot formation.

      • KCI등재

        고려인삼과 미국삼의 수삼 및 홍삼품질 비교

        정찬문,신주식 韓國藥用作物學會 2006 한국약용작물학회지 Vol.14 No.3

        고려인삼과 미국삼을 공시하여 Panax속 종간의 원료수삼 및 홍삼 등급에 기초하여 품질을 평가분석하였다. 1. 미국삼은 고려인삼에 비하여 근중이 적고 부정형 지근이 동체에서 많이 발생하는 관계로 체형이 불량하였다. 2. 홍삼수율은 고려인삼이 30.4%,미국삼이 33.8%로 미국삼이 높았고 홍삼의 본삼수율은 고려인삼이 80.4%, 미국삼이 72.2로 고려인삼이 높았다. 3. 원료수삼 1등급은 고려인삼이 미국삼에 비하여 2배정도 많았으나 2등급은 미국삼이 고려인삼에 비하여 많았다. 한편 고급홍삼인 천지삼율은 고려인삼이 미국삼에 비하여 높았다. 4. 홍삼 품질의 저하 원인은 고려인삼 미국삼 모두 내공과 내백 발생에 있었고 특히 미국삼은 내공에 비해 내백이 3배 가량 많이 발생하였다. 5. 홍삼의 지별 분포에서 고려인삼은 20지 이상의 대편급이 많았고 미국삼은 20지 이하의 소편급이 많았다. This study carried out to analize quality in the evaluation based on the grades such as raw ginseng and red ginseng between Korean (Panax ginseng C. A. Meyer) and American ginseng (Panax quinquefolium L). American ginseng was small in root length, root diameter and root weight and emergence many secondary root from rhizome and main root. Therefore body form was bad compared with Korean ginseng. As for yield of dry, Korean ginseng was 30.4 % and American ginseng was 33.8% but as for yield, Korean ginseng was 80.4% and American ginseng was 72.2%. There were as many Korean ginseng in raw ginseng first grade by about twice compared with American ginseng. However there were many American ginseng in second grade. On the other hand, Korean ginseng producted high Chunsam compared with American ginseng. The cause of decreasing quality was inside cavity and inside white in Korean and American ginseng. Especially, the inside white occurrence about 3 times compared with inside cavity in American ginseng. In the case of distribution of weight size, Korean ginseng was much above 20Ji but American ginseng was much under 20J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