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서울시 교육주체의 미래농업에 대한 교육수요 분석

        정진철(Jinchul Jeong),서예린(YeLin Suh),강민지(MinJi Kang),조홍용(HongYong J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5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미래농업 유망분야를 도출하여 중등단계에서 교육의 필요성이 인정되는지 확인하고, 서울시 소재 중학교에 소속된 학생 및 학부모, 교원을 대상으로 도출된 미래농업 유망분야에 대한 교육수요를 확인하고자 함에 있다. 방법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관련 선행연구 고찰과 함께 1차 전문가자문을 실시하여 미래농업 유망분야를 도출하였으며, 이후 도출된 분야에 대해 2차 전문가 자문을 실시하여 미래 농업에서의 중요성, 인력의 충분성, 고등학교 단계에서의 인력양성의 필요성 지표를 통해 중등단계 교육 필요성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중학생 및 학부모, 교원을 대상으로 미래농업 유망분야에 대한 친숙도와 선호도를 바탕으로 수정된 IPA 분석을 실시하여 미래농업과 관련된 교육수요를 확인하였다. 결과 전문가 자문실시 결과 16개의 미래농업 유망분야가 도출되었으며, 신품종 개발과 같이 높은 수준의 지식과 기술을 요구하는 것을 제외하고, 고등학교 단계에서의 인력양성 필요성이 인정되었다. 도출된 16개의 미래농업 유망분야에 대한 서울시 교육주체의 교육수요를 분석한 결과, 농산물이력정보, 반려동물, 도시농업 등의 미래농업 유망분야에 대해 교육수요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는 중등단계에서부터 학생들이 미래농업 유망분야로 진출할 수 있도록 교양 수준의 교육과 진로교육, 나아가 전문적인 직업교육 등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특히 미래농업 유망분야 인력양성을 위한 농업계열 중등교육기관이 존재하지 않는 지역인 서울시에서도 향후 미래농업 종사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교육과정 혹은 교육기관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promising fields for future agriculture and to confirm whether the necessity of education is recognized at the secondary level in promising fields of future agriculture by experts and to confirm the demand for education in promising fields of future agriculture for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of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 first, a promising field for future agriculture was derived by conducting a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advice. And then experts have confirmed the necessity of secondary education by using the importance of future agriculture, the sufficient of workforce, and the necessity of workforce development at the high school level. Results As a result, 16 promising fields of future agriculture were derived, and except for those requiring high-level knowledge and skills, such as the development of new varieties, the necessity workforce development at the high school level was recognized. Second, a revised IP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familiarity and preference for promising fields in future agriculture for educational participants to confirm the education demand related to future agricultur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emand for education in promising fields of future agriculture such as agricultural product history information, companion animals, and urban agriculture. Conclusions This study's results contribute to the necessary to provide liberal education and career education, as well as vocational education, to help students choose a career path from secondary school to a promising agricultural field. In particular, the Seoul, which does not have agricultural secondary education institutions to foster promising fields of future agriculture,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curriculum or educational institution to foster future agricultural workers in the future.

      • KCI등재

        DACUM 방법을 활용한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직무분석 연구

        정진철(Jinchul, Jeong),김재호(Jaeho, Kim),남중수(Jung-Soo, Nam)임소현(Sohyun, Im),정성지(Seongji, Jeong),조홍용(Hongyoug, J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2

        이 연구의 목적은 DACUM 직무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직무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 이 연구에서는 먼저, 초등학생의 진로발달 특성과 진로교육 목표를 분석하고 진로전담교사 직무 관련 국내․외 선행 연구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DACUM 직무분석을 통하여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책무(Duty)와 과업(Task)을 도출하고 각 과업의 중요도를 평정하였다. DACUM 직무분석을 위해 1명의 직무분석가, 9명의 데이컴 위원(내용 전문가), 3명의 서기, 2명의 실무자로 이루어진 DACUM 위원회를 구성하여 2017년 7월 25일에 DACUM 워크숍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직무를 ‘학생들이 행복한 삶을 사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진로개발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학교 진로교육과정 편성, 운영 및 평가를 총괄하고 교사의 진로교육을 지원 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둘째,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8개의 책무(학교 진로교육과정 편성(기획), 진로교육(단위) 프로그램 구안, 진로교육 정보지원, 진로심리검사 실시, 진로상담 지원, 진로체험 운영, 교사/학부모 진로교육 역량 강화, 진로교육과정 운영 결과 평가 및 환류)를 도출하였으며 각 책무 별 과업은 총 48개로 분석되었다. 셋째, 각 과업의 중요도를 평정한 결과 핵심 과업으로 20개가 도출되었다. 넷째, 초등 진로전담교사에게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여 제시하였으며, 9개의 지식과 15개의 기술이 도출되었고, 갖추어 야 할 바람직한 태도로는 12개의 태도가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uties of the Elementary School Career teacher by applying the DACUM task analysis technique.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we analyzed th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career education objectives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former research related to career teacher. Based on the analysis of DACUM tasks, we have drawn out the duties and tasks of our career teacher and weighed down the importance of each task. For the DACUM job analysis, we organized one task analyst, nine subject matter expert, three staff members, and two practitioners and hold a DACUM workshop on the 25th of July, 2017.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fining the job of an elementary school career teacher as ‘to develop basic career development skills necessary for a happy life, elementary school career teacher is responsible for organizing, operating, and evaluating school career education courses and supporting the career education of teachers’. Second, there are eight duties (organizing/planning school career education curriculum, career education (unit) program design, career education information support, operating psychological examination, career counseling support, career experience management, strengthening teacher/parent career education competency, evaluation and feedback of career course operation results) and the total number of tasks according to eight duties is 48. Third,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importance of each task, 20 core tasks were derived. Fourth, the opinions about the general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required for elementary school career teachers were collected and presented. Therefore, nine knowledge and fifteen technologies were derived, also a desirable attitude was derived from the recommended attitude.

      • 자기지각연령이 낮은 고령 소비자의 만족도와 불평행동과의 관계

        정진철(Jung, JinChul),박지영(Park, Ji-Young),오민정(Oh, Min-Jung) 계명대학교 산학연구소 2011 經營經濟 Vol.44 No.2

        연구목적 - 오늘날 고령소비자들은 자신의 실제나이와 자기지각연령간에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족도와 불평행동을 통해 자신을 젊게 지각하는 고령소비자들의 경우 젊은 소비자들과 비교해서 차이를 보이는지, 아니면 유사한 행동 패턴을 나타내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자료는 설문조사방법을 사용하였고 지방의 시니어 센터를 방문하는 50대 이상 고령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2011년 6월부터 10월까지 4개월에 걸쳐 258부의 설문이 수거되었다. 주요결과 - 고령소비자들은 자신을 실제나이보다 젊게 지각하고 있었으며, 자기지각연령이 낮은 고령소비자들의 경우 만족도에는 차별적 영향을 보이고 있지 않았지만, 불평행동(무행동, 사적행동, 공적행동) 중 무행동에 있어서는 연령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고령소비자들은 상대적으로 불평행동을 하지 않을 것이라는 기존 선행연구와는 달리 소극적이지만 불평행동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시사점 - 오늘날 자신을 젊게 지각하는 고령소비자들의 행동패턴을 통해 마케터들로 하여금 고령소비자들을 타겟으로 마케팅전략을 구사할 때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것으로 시사하고 있다. Purpose -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and complaint behavior of aged consumers, which has been conceived as important in the field of consumer behavior. It is assumed that there are similar consumption patterns between the aged consumer whom they perceived themselves as less aged and young consumers. Based on these assumptions,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atisfaction and complaint behavior; furthermore, it is to provide the practical marketing strategy to appeal the aged consumes. Design/Methodology - 258 Data were collected from respondents whome visit the senior center in metropolitan area during June through October, 2011. Findings - Empirical finding suggests that aged consumers perceived as lower than actual age. Furthermore, these aged consumers of which they were perceived less aged did not show the relationship with the satisfaction of general aged consumesrs, and also it is empirically show that non responding behavior is more prevaied that the private- and public complaint behavior. Implications - The importance of strategic marketing targeting the aged consumers are emphasized and it is suppose to connect into the promotion and advertising strategy.

      • KCI등재

        AHP기법을 활용한 진로체험기관 인증지표 개발

        정진철(Jinchul Jeong),김재호(Jae-Ho Kim),남중수(Jung-soo Nam),이현민(Hyunmin Lee),정성지(Seongji Jeong),이영광(Yeonggwang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6

        이 연구는 자유학기제의 자유학년제・연계학기 확대와 관련하여 다양한 진로체험처가 참여하는 풍토에서 안전과 질이 보장된 진로탐색활동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진로체험기관 인증제의 인증지표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진로체험기 관 인증제 지표 개발을 위해 델파이와 AHP를 실시하였으며, 델파이는 진로교육 연구자 3인, 진로전담교사 3인, 진로체험지원센터 담당자 3인 등 총 9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11월 8일~12월 28일까지 총 3회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진로체험기 관 인증지표를 개발하고 각 항목별로 배점을 확정하였다. 두 차례의 델파이를 통하여 지표는 크게 ‘1. 체험기관’, ‘2. 프로그램’의 두 가지로 구분되었다. ‘1. 체험기관’의 경우, ‘가. 체험기관 역량’, ‘나. 체험환경 관리’, ‘다. 체험기관 특별기준’의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2. 프로그램’의 경우, ‘가. 프로그램 기획’, ‘나. 프로그램 운영’,‘다. 프로그램 평가’의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ccreditation indicators for the career experience agencies’ accreditation system in order to provide students of safe and qualified learning environment with more career experience agencies engaged. Delphi and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technique were conducted for this research questions. Each of three researchers, career specialist teachers and staffs from career experience support center participated as expert panels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three times between 8th Nov and 28th Dec in total. In result, the accreditation indicators for career experience agencies were developed and the mark distribution for each category was confirmed. The accreditation indicators consists of ‘1). career experience agencies’ and ‘2) programs.’ In case of ‘1)career experience agencies’, sub-areas were divided into a. ‘career experience agency capacity’ and ‘b. career experience environment management and ’c. special criteria for career experience agencies‘. In case of ‘2) programs’, the sub-areas were divided into ‘a. program planning , ‘b. program operation . ‘c. program evaluation .

      • KCI등재

        국외 교원양성기관의 진로교육 교육과정 운영 사례와 함의

        정진철(Jinchul Jeong),류지은(Ji-eun Ryu),서예린(Yelin Suh) 한국진로교육학회 2019 진로교육연구 Vol.32 No.1

        학교 현장에서 진로교육이 강조되고 있는 현재, 진로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진로전담교사를 포함한 모든 교사들이 진로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진로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출 필요가 있다. 교사들의 진로교육 관련 전문성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는 현직 교사 대상의 진로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와 함께 교원양성과정에서의 예비교원 대상의 진로교육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교원양성과정에서 진로교육 비중을 확대할 경우, 장기적 관점에서 모든 교사가 진로교육을 이해하고 관련 기초지식과 기초역량을 갖추는 데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일본, 프랑스, 핀란드, 오스트리아 등 4개 국가의 국외 교원양성기관의 진로교육 교육과정 운영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종합하여 국내 교원양성기관의 진로교육 운영 강화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 order to activate career education, it is necessary for all teachers including career dedicated teachers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career education and to have the capacity to carry out career education. In order to secure the professionalism related to career education of teachers, it is possible to consider career education for preliminary teachers in the process of teacher training as well as training for strengthening career education capacity for current teachers. If the proportion of career education is expanded in the course of teacher training, all teachers can contribute to understanding career education, basic knowledge and basic competency in the long term.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cases of career education curriculum of foreign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in four countries such as Japan, France, Finland and Austria, and suggested implications for strengthening career education of domestic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청년층 대상 국가 재정 지원 정책 사업의 단기성과 분석

        정진철(Jinchul Jeong),양인준(Injun Yang),고재성(Jae-Sung Go) 한국진로교육학회 2022 진로교육연구 Vol.35 No.1

        이 연구는 국내 노동시장의 주된 이슈 중 지속해서 제기되고 있는 청년층의 고용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시행된 국가 재정 지원 정책 사업(이하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제도)의 단기성과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제도 수혜자 15,285명과 비수혜자 1,200명 총 16,485명을 분석대상에 활용하였다. 단기성과 분석지표는 구직활동 특성과 경제활동 특성으로 구분하였으며, 구직활동 특성은 구직활동 수행 여부, 구직활동 수행범위, 구직/창업 활용 시간, 진로/취업과 관련된 구직자의 생각이나 상황 총 4개의 세부 지표를, 경제활동 특성은 아르바이트 수행 여부, 아르바이트 수행시간 및 아르바이트 근무 일수 총 3개의 세부 지표를 설정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카이제곱 및 분산분석(ANOVA)을, 그리고 집단 간 차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외생변인을 공변량으로 처리한 후 공분산분석(ANCOVA)을 추가로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제도 수혜자 집단이 비수혜자 집단 대비 구직활동을 수행했다고 응답한 비율과 구직활동 평균 수행범위가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제도 수혜자 집단은 비수혜자 집단 대비 구직활동 및 취업(창업) 활용 시간과 진로 및 취업과 관련된 구직자의 인식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제도 수혜자 집단은 비수혜자 집단 대비 아르바이트를 수행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과 더불어 하루 평균 업무 수행시간과 주당 근무 일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수혜자 집단 선정 시 다양한 선정기준을 적용해야 하며 표집과정 역시 체계적으로 계획하여 진행해야 한다. 둘째,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제도와 같은 국가 재정 지원 정책 사업의 효과성 분석 시 수혜자 중 조기 취업자를 반영한 성과 비교분석이 시행되어야 한다. 셋째,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제도와 같은 국가 재정 지원 정책 사업의 체계적인 효과성 분석을 위해 경제적 측면과 더불어 청년층의 심리적 차원의 변화와 같은 질적인 영역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장기성과 지표를 개발해야 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hort-term performance on the national financial support policy referred to as the program of youth job seeking support fund implemented to improve the unemployment problem of youth in the domestic labor market. To this end, the total of 16,485 consisting 15,285 beneficiaries and 1,200 unbenefitted recipients was used for analyzing. In this study 2 short-term performance indicators were set; job search characteristics consisting 4 and economic activity characteristics consisting 3 detailed indicators. In addition to chi-square verification and analysis of variance(ANOVA),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was additionally performed after treating exogenous variables affecting on differences between groups as covariat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beneficiaries of the program responded that they had conducted job search compared to the non-beneficiary group and the average range of job search activities was significantly high. Second, the beneficiaries had significantly higher awareness of job and career and employment(start-up) utilization time than the non-beneficiary group. Third, the group of beneficiaries had a significantly lower percentage of working part-time and the average daily work hours and working days per week compared to the non-beneficiary group.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eded to apply various selection criteria selecting a non-beneficiary group and to planned and carried out the sampling process systematically. Second, it is required to have a research of comparative analysis of performance to reflect early employment among beneficiaries when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financial support policy.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long-term performance indicators that comprehensively reflect changes related to psychological dimension as well as economic aspects used to evaluating financial support policy such as program of youth job seeking support fund.

      • KCI등재

        기업체 근로자의 학습조직과 결과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양인준(Injun, Yang),정진철(Jinchul, Jeong),최혜빈(Haebin, Choi) 한국기업교육학회 2020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일반 기업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조직 내 학습조직이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결과변인을 정리하고 이들의 효과크기를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CMA(Comprehensive Meta Analysis) 3.0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총 30편의 KCI 등재 학술지 및 박사학위논문이 활용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조직이 영향을 미치는 조직 특성 결과변인은 총 9개이며, 학습조직이 모든 변인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학습조직이 영향을 미치는 개인 특성 결과변인은 총 9개이며, 학습조직이 모든 변인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조직 특성 변인 중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인 변인은 학습조직 단일변인과의 관계를 분석했던 직무만족이었으며, 개인 특성 변인 중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인 변인은 학습조직 하위구인으로 설정한 권한위임과의 관계를 분석했던 지식창출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른 직업군의 학습조직과 결과변인 간의 메타분석이 요구된다. 둘째, 국내외 연구를 종합한 메타분석을 통한 국내외 근로자의 비교분석이 필요하다. 셋째, 학습조직의 전반적인 연구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연구동향 분석 및 학습조직의 결과변인을 유목화 하는 체계적 문헌고찰이 수행되어야 한다. 넷째, 동일한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했던 선행연구가 세 편 미만인 경우에도 출판편향 검증을 수행할 수 있는 추가적인 통계적인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the various dependant variables that the learning organization affects and compare their effect sizes to those of corporate employees. To achieve the purpose, a total of 30 journals and doctoral dissertations were strictly analyzed based on the comprehensive meta analysis 3.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a total of 9 organization-related variables and 9 individual-related variables resulting from learning organization and learning organization has been identifie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dependant variables. Second, among the organization-related variables, the biggest effect size was job satisfaction which was used to analyse the relationship with learning organization. Third, the biggest effect size of individual-related variables was identified as knowledge creation which was investigated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with empowerment set by the learning organization’s sub-variable.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s findings suggest some implications. First, meta analysis should be required between learning organization and other dependant variables in different occupational groups. Second, comparative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employees should be needed by using meta analysis that synthesizes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Third,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that can identify the overall research flows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and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that nominates the dependant variables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should be carried out. Fourth, it is necessary to find out additional statistical method to perform publication bias verification even if there are less than three advance researches that hav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me variab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