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淸州 龍華寺 石佛像群의 硏究

        정지희(Jeong Ji-hee) 한국미술사학회 2003 美術史學硏究 Vol.- No.237·238

        Yonghwa-sa temple(龍華寺) in Chungju (淸州) was built Kwang-moo (光武) 6th (1902) in Daehan empire (大韓帝國) and has been known as a old temple site at Late Shilla and Early Koryo (羅末麗初) dynasty from old times. There remain 7 buddhist stone statues and parts of pagoda and stairway that dated Koryo dynasty. And then some buddhist statues are remarkable because they are large in scale and excellent in sculpture. Besides metal relics with inscription Sanae-sa C'GI:I'~~) discovered nearby Yonghwa-sa temple in 1993 and relation between Sanae-sa and Buddhist stone statues at Yonghwa-sa temple was often mentioned. However an investigation or a study on these statues hasn't been done so far. Therefore, I tried to study on buddhist stone statues at Yonghwa-sa temple. I want to confirm significance of these statues in Koryo buddhist stone statues. First of all, I discussed the origin of Yonghwa-sa buddhist stone statues. Some people said these statues were trasfered from several temple sites neighbourhood. But the possibility of this opinion is very weak, since Record of Yonghwa-sa temple establishment (『龍華寺寺蹟』) and old temple site nearby Yonghwa-sa Temple. What is more. according to excavation of metal relics of Sanoe-sa Temple sites (寺惱寺址), I suggested the possibility that Yonghwa-sa buddhist stone statues are the Sanae-sa Temple's in origin. Secondly I researched the present situation and classified style of them. In regard of hair style and Usnisa (肉?), the central large stone statue of Buddha (中央大石佛立像) is very decorative and elaborate despite of large statue. Face styles are similliar, and eyetail is down-directed particularly. As the result, Buddhist statues of Yonghwa-sa temple are devided into 3 styles. The first style is large and elaborated including the central large stone statue of Buddha (中央大石立像). The second style is traditional style of Unified Shilla Dynasty such as the left and right standing stone statues of Buddha (左右石佛立像) and the small standing statue of Buddha (小石佛立像). The third style is more rigid style than previous two styles. The seated Buddist statue, the seated Buddhisatva, the lohan statue back to the left standing stone left standing statue are included in third style. However I think the date of Buddhist statues at Yonghwa-sa is almost same. Inferring that their common face expressions and the left standing Buddhist stone statue (左右佛立像) and the lohan statue which made at the same time. It is reasonable that Yonghwa-sa temple Buddhist stone statues were made nearly the same time. As above, I suppose Buddhist statues at Yonghwa-sa were made in late 10th century and early 11th century. Finally, I focused on the significance of Buddhist stone statues at Yonghwa-sa temple. Even though there remain many of old temple sites around Musimchun-river, little Buddhist statue exist there. According to that, these Buddhist statues at Yonghwa-sa temple are representative among Buddhist statues at Chungju. I suggested possibility that Buddhist statues at Yonghwa-sa temple were originally Sanoe-sa Temple statues in connection with metal relics of Sanoe-sa Temple sites. Moreover, they are very valuable. Because they have rare formality and the importance of iconography. - smooth and elegant dapery with wave shape of the left standing Buddhist stone statue, the existence of Vimalakirti (維摩居士) and so on. then because they attains various styles at once as well. Furthermore, in case of the central large stone statue of Buddha, it's sensitive and elaborate style which has been mainly discussed about Buddhist golden brass statues late Koryo dynasty. Therefore these statues will be very important data in study on Koryo Buddhist statues. So far studies on Buddhist statues of Koryo dynasty have been limited with narrow subject in spite of plenty of excellent relics remains. Therefore, I hope that this paper can be helpful to the further research about stone Buddhist statues in Koryo dynasty.

      • KCI등재

        대한제국기 및 일제강점기 李花紋의 변화와 宮家紋의 등장

        정지희(Jeong, Ji Hui)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20 美術史學 Vol.- No.39

        대한제국기 및 일제강점기 왕실문장은 李花紋, 雲峴宮紋, 寺洞宮紋이 있다. 이화문은 대한제국기 國文에서 비롯되었고, 운현궁문과 사동궁문은 일제강점기 이화문이 국가의 상징에서 왕실의 상징으로 위상이 축소될 때 일본 천황가로부터 公家로 인정을 받은 운현궁과 사동궁의 문장으로 사용되었다. 이화문은 그동안 단판 3꽃술형이 정형으로 언급되어 왔다. 그러나 대한제국기 이화문을 고찰한 결과 종류가 약 10여 종에 이르며, 같은 물품이라도 여러 종류의 이화문이 사용되고 있었다. 대한제국기 이화문은 아직 형태가 정형화되지 않았으며 여러 종류의 이화문이 동시다발적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므로 대한제국기 이화문의 특징은 다양성과 복합성에 있다. 일제강점기에 이화문은 점차 단판 3꽃술형으로 정착되었다. 천황가와 황족의 문장을 구별하여 사용하던 일본의 영향으로 일본 황족의 일부가 된 조선 왕실에서도 단판 3꽃술형 이화문을 왕실 문장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단판 3꽃술형 이화문은 창덕궁 건축과 실내의장뿐만 아니라 왕실용품과 공예품에 적극적으로 활용되어 일제강점기에 이화문의 대표성을 지니게 되었다. 그런데 이화문은 국화문과는 달리 개인적 목적과 상업적 사용을 금지하는 규정이 마련되지 않았다. 한일강제병합시 왕공족의 개념과 세부규정을 두지 않았던 일본의 조선 왕실에 대한 차별적 정치의도가 이화문에도 작용되었다. 운현궁문과 사동궁문은 공족으로 인정된 李熹와 李堈, 즉 운현궁과 사동궁에서 사용한 궁가문이다. 궁가문은 공위 부여에 따라 형성된 것으로 운현궁문과 사동궁문은 일제강점기에 와서 등장하였다. 운현궁문은 단판 3꽃술형 이화문에 원권이 둘러진 형태이고, 사동궁문은 복판 3꽃술형 이화문과 형태가 같다. 복판 3꽃술형 이화문은 일제강점기에 왕실문장에서 사동궁문으로 전환되었다. 운현궁문과 사동궁문은 이화문과 유사한 형태 때문에 그동안 이화문과 구별되지 않은 채 이화문으로 오인되어 왔다. 그러나 이번 연구를 통해 운현궁 양관의 지붕장식, 여러 석조물과 생활용품의 운현궁문과 사동궁문의 존재와 출현배경이 확인된 만큼 이화문, 운현궁문, 사동궁문 각 문장에 대한 구분과 이해가 필요하다. Royal emblem in Korean Empire and Japanese colonial era are emblem of plum blossom(李花紋), emblem of Unhyeongung Palace(雲峴宮紋), emblem of Sadonggung Palace(寺洞宮紋). Emblem of plum blossom originated from national symbol. Emblem of Unhyeongung Palace and Sadonggung Palace are royal family emblems that used in Japanese colonial era, when emblem of plum blossom was downgraded from national symbol to royal symbol. Emblem of plum blossom which a single petal-triple stamen type has been recognized as a regular type so far. However, there are more than 10 types in emblem of plum blossom of Korean Empire. Even though same object, it usually used different types at the same time. The regular type didn’t form yet and various types are used simultaneously.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emblem of plum blossom are in diversity and complexity during the Korean Empire. Emblem of plum blossom was settled into a single petal-triple stamen type in Japanese colonial era. The royal court of Joseon, which became part of the Japanese imperial family, started the emblem of plum blossom as royal symbol by influence of Japanese which distinguished that of the Japanese emperor from Imperial family. The single petal- triple stamen type was used the royal goods and craft as well as architecture and interior design of Changdeokgung Palace(昌德宮) generally. This finally acquired the representativeness. By the way, emblem of plum blossom didn’t involved a law prohibiting utilization of individual and commercial purposes unlikely chrysanthemum emblem of Japan. Thus discriminatory political intentions of Japan for Joseon royal court also apply to emblem of plum blossom, like they didn’t make conception and detailed provision of Joseon royal family. Emblems of Unhyeongung Palace and Sadonggung Palace are royal family emblems which used Yi Hui(李熹) and Yi Gang(李堈)’ families who officially recognized as imperial family of Japan. These made an appearance in Japanese Colonial period, involved conferment of title of nobility by Japan. The form of Unhyeongung Palace emblem is a type that a single petal-triple stamen type with a circle around it. The form of Sadonggung Palace emblem is the same as the emblem of plum blossom with double petal-triple stamen. The emblem of plum blossom of double petal-triple stamen type was converted into it of Sadonggung Palace. Until now emblems of Unhyeongung Palace and Sadonggung Palace have been misunderstood as emblem of plum blossom, because of their similarity. However, the existence of both emblems and background of appearance confirmed through the roof decorations of Western Hall in Unhyeongung Palace, diverse stoneworks and household goods.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and understand every each emblem.

      • KCI등재

        근대관광의 성행과 공예품의 관광기념품화

        정지희(Jeong, Ji Hui)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한국학연구 Vol.76 No.-

        근대공예 연구는 공예에 대한 근대적 개념과 인식 변화, 공예품 생산자에 대한 연구, 근대도안과 상징성, 근대공예품을 시대적 배경과 산업적 관점에서 접근 하는 등 최근 들어 연구의 영역이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고는 그 연장선상에서 근대공예품 유행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근대관광의 발달이 당시 공예품에 끼친 영향 및 결과와 그 의의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일본의 대륙 침략 수단으로 부설된 철도의 발달이 사람과 물자를 신속하게 이동시킴으로써 일본의 우월감을 시각화하고 체험하는 식민지정책과 결합되어 근대관광이 시작되었다. 근대관광은 조선총독부와 여행협회 등 민관의 적극적인 노력으로 더욱 성장하였다. 관광객에게 배포되는 관광안내지와 잡지에 조선 전역의 도시와 명승고적이 소개되어 조선은 일본인에게 그들의 우월성을 확인하는 볼거리가 되었다. 관광의 성행은 조선의 공예품을 여행을 기억하거나 선물로 구입하는 오미야게, 즉 관광기념품으로 전환시키고, 명승고적과 조선인의 모습 등 조선풍물은 공예요소로 반영되었다. 관광기념품이 된 근대공예품은 식민지관광을 기억하는 매체로 이용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근대공예품은 관광의 파급효과로 기계와 대량생산체제에서 생산된 산업공예품의 출현이라는 근대적 결과를 가져왔다는데 의의가 있다. Modern tourism began with the emergence of railways and colonial policy that visualizing and experiencing Japan"s superiority. Modern tourism grew further through active public-private efforts such as the Governor-General of Joseon(Korea) and the Travel Associations. With the prevalence of modern tourism, Joseon"s craftworks were manufactured as tourist souvenirs that reflected Joseon"s sceneries and customs. The modern tourism converted Joseon"s craftworks into Omiyage(土産品, おみやげ), or tourist souvenirs. Tourist souvenirs were used as a medium for remembering colonial tourism. Nevertheless, it is meaningful that modern craftworks brought a modern result of the emergence of industrial craftworks which produced in industrial system.

      • KCI등재
      • 편백 유전분석용 Microsatellite DNA 표지 개발

        정지희 ( Ji Hee Jeong ),조아르나 ( Aruna Jo ),김회진 ( Hoi Jin Kim ),김지현 ( Ji Hyeon Kim ),김호방 ( Ho Bang Kim ),김용율 ( Yong Yul Kim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편백( Chamaecyparis obtusa)은 일본 원산의 상록교목으로 우리나라의 남부지역에 널리 식재되고 있으며, 최근 편백림이 치유의 숲으로 각광받고 있어 그 수요가 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편백 연구 및 육종에 활용될 microsatellite DNA표지를 개발하였다. 편백 엽시료에서 DNA를 분리하고, Glenn과 Schable(2005)의 방법에 따라 microsatellite enrichment 라이브러리를 작성하였다. 작성된 라이브러리로부터 microsatellite repeat을 가지는 96개 contig 서열(Genebank Acc. No. KF689689-KF689784)을 확보하고 이로부터 총 40개의 primer를 디자인 하였다. 디자인된 primer를 대상으로 편백 20개체의 DNA를 이용하여 재현성 및 다형성 검정 실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 최종 10개의 primer를 선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microsatellite 유전자좌는 앞으로 편백의 교배양식, 집단유전 연구 등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hamaecyparis obtusa, native to Japan, is an evergreen coniferous species and it was intensively planted in southern part of Korea. These days demand for the species is increasing due to the forest of Chamaecyparis obtusa has spotlighted as a healing forest. In this study, microsatellites were isolated and characterized for genetic analysis. DNA was isolated and microsatellite were isolated using the enrichment method described in Glenn and Schable(2005). 96 contig sequence(Genebank Acc. No. KF689689-KF689784) were obtained, and 40 primer pairs were designed from them. Finally, ten primer pairs successfully amplified unambiguous and polymorphic single locus among 20 individuals of C. obtusa. Microsatellite loci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be useful in studies of breeding, mating system and population genetics.

      • KCI등재

        노구치 산시로의 1929년 경성풍경과 그 의의

        정지희(Jeong, Ji-Hui)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한국학연구 Vol.66 No.-

        노구치 산시로는 1929년 조선박람회 자동사진촬영관 사진기사로 파견되어 자동사진촬영관, 연예관, 야외극장, 어린이나라, 전라북도관 등 박람회장과 경성의 풍경을 그림으로 남겼다. 자동사진촬영관 그림은 잘 알려지지 않았던 자동사진촬영관의 존재를 인식하게 만들었고, 그가 경험한 박람회장 연예관 조선 기생의 춤, 전라북도관 낙화장, 야외극장 줄타기 공연, 어린이나라 풍경은 생생한 현장감을 전해주고 있다. 박람회장 밖으로 옮겨진 그의 시선은 ‘경복궁-광화문통-종로 2정목-종로 4정목-창경궁’으로 이동하고 있다. 그의 경험은 식민세력에 의한 타율적인 정치수단인 박람회와 당시 유행하던 경성 유람이라는 커다란 범주에 포함된다. 그러나 박람회와 조선색이라는 식민주의 정책의 영향은 개인의 경험을 거쳐 작가적 관점에서 재인식되고 작품 활동에 반영되었다. 그러므로 노구치 산시로 경성풍경은 사회정치적 환경과 개인의 경험과 작가성이 결합된 서사적 풍경의 사례로 의의가 있다. Noguchi Sanshiro(野口三四郞), local doll artist of Mishima city(三島市), Japan, was sent to Joseon exhibition in 1929 as a photographer and he painted exhibition grounds like Automated photo studio, Entertainment theater, outdoor theater, and amusement park for children and Kyeongseong(京城, now Seoul) Landscapes. Noguchi Sanshiro’s Gyeongseong landscapes have a value of as an example combined periodic device of the exhibition, individual experience and auteurism. Thus, Noguchi Sanshiro"s Gyeongseong landscapes have the significance as new visual images in Japanese colonial er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