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지식, 인식과 실천

        정지나,문인오,Jeong, Ji-Na,Moon, Inn-Oh 대한한의정보학회 2015 大韓韓醫情報學會誌 Vol.21 No.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spital employees' knowledge, recognition and practice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 total of 250 hospital employees were selected using convenient sampling in J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 and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program and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ire test,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verage score for knowledge, recognition and practic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ender, education, hospital size and there was a correlation among knowledge, recognition and pract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to develop education program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for hospital employees.

      • KCI등재

        부모의 교육 참여와 아동의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아동의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정지나 한국생활과학회 2023 한국생활과학회지 Vol.32 No.5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교육 참여, 아동의 공동체의식 및 행복감 간의 상호관련성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부모의 교육 참여와 아동의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아동의 공동체의식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체계적으로 탐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패널 13차년도에 참여한 1,357가구의 자료를 SPSS 21.0 프로그램과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의 교육 참여, 아동의 공동체의식 및 행복감 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한 결과, 부모의 교육 참여는 아동의 공동체의식 및 행복감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부모의 교육 참여가 아동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아동의 공동체의식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본 결과, 아동의 공동체의식은 부모의 교육 참여와 아동의 행복감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의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개인적 요인와 환경적 요인을 함께 탐색해야 한다는 실제적 중요성을 시사하며, 부모의 교육 참여를 활성화하고 아동의 공동체의식을 증진시키는 다양한 교육과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부부갈등과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아동의 행복감과 문제행동의 순차적 매개효과

        정지나 한국생활과학회 2022 한국생활과학회지 Vol.3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rify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happiness and problem behavior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marital conflict and children’s school adjustment. Participants were 695 mothers wi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Korean Children Panel.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and significance of mediating pathways was determined using SPSS 21.0 and SPSS PROCESS macro 3.3, respectivel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ents’ marital conflict and children’s problem behavior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children’s school adjustment. On the other hand, children’s happines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hildren’s school adjustment. Second, children’s happiness and problem behaviors ha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marital conflict and children’s school adjustment.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a theoretical insight in to mechanism and relationship of parents’ marital conflict influencing children’s school adjustment, by revealing the sequential mediating roles of happiness and problem behaviors. 본 연구에서는 부부갈등과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아동의 행복감이 문제행동을 통해 순차적으로 매개효과를 갖는 순차적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 11차년도에 참여한 695가구의 아동과 어머니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SPSS 21.0과Process Macro 3.3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Hayes(2013)의 SPSS Process Macro 분석방법 중 모형 6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부갈등과 아동의 문제행동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아동의 행복감은 학교생활적응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부갈등과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행복감과 문제행동이 순차적으로 작용하는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부모의 부부갈등으로 인한 아동의 학교부적응문제를 효율적으로 예방 및 중재하기 위해서는 아동의 행복감을 향상시키고 아동의 문제행동에 개입하여 그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Isolation of Caenorhabditis elegans Mutants Defective in Chemotaxis toward cAMP

        정지나,조남정 한국통합생물학회 2006 Animal cells and systems Vol.10 No.4

        of animals. However, the mechanism by which animalscarry out chemotaxis is poorly understood. To explore thebiochemical events underlying chemotaxis, we isolated C.elegans mutants that displayed abnormal chemotacticresponses to cAMP, a strong attractant for C. elegans.Based on their responses to other chemoattractants, themutant animals could be classified into five groups: (1)animals with defective chemotaxis to cAMP only; (2)animals with defective chemotaxis to both cAMP and cGMP;attractants; (4) animals with defective chemotaxis to bothwater-soluble and volatile attractants; and (5) animals withenhanced chemotactic responses. We expect that analysesof these mutants will help understand the molecularmechanisms underlying chemotaxis in C. elegans.

      • KCI등재

        간호사의 전자의무기록시스템 사용만족과 직무스트레스가 정서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정지나 한국보건복지학회 2019 보건과 복지 Vol.21 No.3

        The purpose of study is to provide an effective way of managing work-related stress for nurses that use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system by recognizing satisfaction, stress, and emotional exhaustion level and identifying factors that affect them. The subject of the study are 252 nurses that use electronic medical records at a university hospital in J province. The results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level depending on the subject's age, education level, and presence of personal training before using electric medical record system. The results also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ress level depending on the subject's current work department, final education level, and presence of personal training. Emotional exhaustion level shows a positive correlation to workplace culture, job instability and job demands and negative correlation to usage satisfaction, job organization, and inadequacy in compensation.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EMR system efficiently at an organizational level and introduce programs to train EMR periodically, manage work-related stress effectively, and reduce emotional exhaustion. 본 연구는 전자의무기록시스템을 사용하는 간호사의 만족도, 직무스트레스 및 정서적 소진을 파악하고 영향을 규명하여 직무스트레스와 정서적 소진을 감소시키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J도에 소재한 대학병원에서 전자의무기록을 이용하는 간호사 252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자의무기록 사용만족도는 나이, 학력, 전자의무기록 사용 전 개인교육 유무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에서는 현재근무부서, 최종학력, 전자의무기록 사용 전 개인교육 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정서적 소진은 사용만족도와 조직체계, 보상부적절에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직무요구, 직무불안정, 직장문화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사용만족도와 직무요구와 직장문화가 높을수록, 보상부적절이 낮을수록 정서적 소진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적 차원에서 간호사들의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정기적인 EMR 교육 및 실제적인 직무스트레스 중재관리프로그램과 정서적 소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 KCI등재

        병원정보시스템 품질이 사용자 만족과 서비스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지나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에서 병원정보시스템 품질요인이 사용자의 만족과 서비스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간호사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5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여 병원정보시스템 품질, 사용자 만족, 서비스혁신 성과를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correlation Regression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서비스혁신 성과와 독립변수 간 상관계수는 시스템 품질(r=.644, p<.001), 정보품질(r=.650, p<.001), 서비스품질(r=.629), 사용자 만족(r=.831, p<.001) 으로 유의하였다. 병원정보시스템 품질과 서비스혁신성과에서 사용자 만족이 조절변수로 설명력은 78.4%로, 사용자 만족이 높을수록(B=.557, p<.001) 서비스혁신 성과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정보시스템의 구축에 있어 시스템 품질과 사용자 위주의 지원 및 서비스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실무적인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of hospital information system quality factors on user satisfaction and service innovation performance in general hospitals. Using 5-point Likert scale, survey was performed on 250 nurses on hospital information system quality, user satisfaction, and service innovation performanc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24.0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rvice innovation performance and independent variables was seen in system quality (r=0.644, p<.001), information quality (r=0.650, p<.001), service quality (r=0.629, p<0.001) and user satisfaction (r=0.831, p<.001). User satisfaction was a moderating variable between hospital information system quality and service innovation performance with explanatory power of 78.4%. Higher user satisfaction (B=0.557, p<.001)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greater service innovation performance. Investigating the mediating role of user satisfaction between EMR quality and service innovation performance, it is suggested that importance of system quality, user friendly system support and service.

      • KCI등재

        지방의료원의 운영 현황과 정책에 관한 융합적 연구 : 전라북도 사례를 중심으로

        정지나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9

        본 연구는 지방의료원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향후 개선 방안을 강구하기 위하여 지방 전북에 소재하는 G의료원과 N의료원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조직 및 인력 현황, 예산 및 경영 현황, 진료실적, 공공사업 추진실적, 고객만족도 조사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재정상황은 인력 면에서 민간병원이나 국립대학병원에 비해 의사인력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였으며, 재정상황은 두 의료원경우 부채를 가지고 있으며, 의료급여환자수는 G의료원은 의료급여 환자 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 N의료원의 경우 오히려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환자만족도 조사결과는, G의료원의 경우 전국 평균 점수에 근사하였고 N의료원은 전국 평균에 비해 약간 낮았다. 의료원의 발전과 운영효율화에 필수적인 정책은 공공병원 정체성 확립, 우수 의료인력 확충, 병원특성화 및 연계진료체계 구축이다. 또한 공공서비스에 대한 국비와 지방비의 안정적인 재정적 지원책 확보와 장례업, 임대업, 국책사업의 위임을 통한 안정적 수익사업의 구축이 중요하다. The study selected two regional public medical centers(G, N) in Jeollabuk-do to recognize problems and provide solutions for regional medical centers. The medical centers were analyzed, focusing on availability of medical personnel, budget and management thereof, medical treatment performance, public project performance, and patient satisfa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dical centers were understaffed with doctors compared to private hospitals or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and suffering financial debt. The number of patient with medical benefit was increasing in the medical center G, whereas it was decreasing in the medical center N. Patient satisfaction survey showed that the medical center G was scoring similar to the national average, whereas the medical center N was scoring slightly less than the average. Policies needed for development and efficient management of Regional public medical centers are clarification of Regional medical centers identity, modernization of medical equipment and facilities, recruitment of competent medical personnels, specialization of hospitals and establishment of stronger referral system. The regional medical centers should secure financial supports for public service from regional and national governments, and establish revenues from funerary service, leasing service, and national projects participation.

      • KCI등재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정지나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n ment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from job-seeking stress, career decision-making, and social support. 429 university students from the three universities in J province were instructed to answer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4.0 software. The results reveal that job-seeking stress shows positive correlation to mental health, whereas career decision-making and social suppor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factors that affect mental health are job-seek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with Exploratory power of 48.9%.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measures that consider impact factors such as job-seeking stress to improve ment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It is also important to establish and maintain a support system for mental health.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J도에 소재한 3개 대학의 대학생 429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피어슨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정신건강은 취업스트레스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취업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순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48.9%이었다. 대학생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영향요인인 취업스트레스를 고려한 정신건강 증진 방안을 개발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정신건강을 위한 지원체계를 확립하고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 극대화 성향이 비교/비비교 광고에 대한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효과 : 심상적/분석적 정보처리 점화를 중심으로

        정지나,이병관,임혜빈 한국광고PR실학회 2017 한국광고PR실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06

        본 연구는 광고의 유형(비교광고vs.비비교광고)과 개인의 극대화성향(극대화자vs.만족 자) 제품에 대한 태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이러한 영향이 정보처리 유 형의 점화를 통해 어떻게 조절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1에서는 광고 유 형과 극대화 성향에 따라 2X2 조건으로 참가자를 무선 할당하여 실험을 진행하였고, 데 이터 분석 결과 극대화자들은 비교광고 속 제품에, 만족자들은 비비교광고 제품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2에서는 연구1을 바탕으로 이러한 효 과가 정보처리 유형(분석적사고vs.심상적사고)을 점화함으로써 어떻게 조절되는지 확인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2에서는 참가자들에게 분석적사고 혹은 심상적사고를 각 각 점화하고 광고유형인 비교광고 조건 혹은 비비교광고 조건으로 무선으로 할당하여 제품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였으며 이어지는 설문에서 극대화 성향을 측정하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극대화자들에게 심상적사고를 점화하였을 때 비비교 광고에 대한 제품 태도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가설이 지지되었으나, 만족자 들에게 분석적사고를 점화한 경우에는 비교광고의 제품 태도가 유의미하게 긍정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극대화 성향이라는 개인차 변인과 정보처리 유형의 점화가 비교/비비교광고의 효과성을 조절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보건계열 대학생의 사회적지지, 정신건강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정지나,Jeong, Ji Na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9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계열 대학생의 사회적지지, 정신건강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J도에 소재한 3개 대학의 보건계열 대학생 19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피어슨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연구의 결과 회복탄력성에 사회적 지지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정신건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사회적지지의 하위변수인 물질적 지지와 평가적지지, 정신건강의 하위변수인 불안, 인구사회학적 특성인 대학생활만족도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48.9%이었다. 보건계열 대학생의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영향요인인 사회적 지지와 정신건강증진 방안을 개발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of health science college students on their resilience. 191 students enrolled in 3 health science colleges located in J Province were asked to answer structured questionaries,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24.0 softwar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social support has positive correlation to resilience, whereas mental health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to psychological resilience. Subfactor of social support that affect psychological resilience are material and repetitional support, and subfactor of mental health are anxiety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which is also a sociologic characteristic, with explanatory power of 48.9%. The study suggests the need to develop and apply measures to improve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of health science college students to embolden their resil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