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가슬괵건 및 동종전경골건을 이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임상적 결과의 비교

        김재화,이윤석,이승용,정주환,Kim, Jae-Hwa,Lee, Yoon-Seok,Rhee, Seung-Yong,Chung, Ju-Hwan 대한관절경학회 2007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1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mparison of clinical outcomes in ACL reconstruction between auto-hamstring tendon and allo-tibialis anterior tendon.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prospective study, we included 60 subjects who underwent ACL reconstruction using 30 hamstring autograft(mainly,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30 tibialis anterior allograft(including MVA and industrial injuries) between May 2003 and June 2005 by a single surgeon, with a minimum follow-up of 12 months. Outcome measurements were the range of motion, the Lachman test, the IKDC score, the Lysholm score, KT-1000 arthrometer and one-leg hop test. Results: For all the cases, the range of motion was above 135 degrees. The Lachman test, KT-1000 arthrometer and one-leg hop tes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he IKDC score of auto-hamstring group($87.840{\pm}2.106$)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allo-tibialis anterior group($85.273{\pm}2.782$). The Lysholm score of auto-hamstring group($88.067{\pm}2.586$)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allo-tibialis anterior group($85.300{\pm}3.030$). Conclusion: The results of ACL reconstruction using the auto-hamstring tendon and allo-tibialis anterior tend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bjective items but auto-hamstring group showed better results in subjective scoring. This difference may result from individual factors such as economic problem, secondary gain. 목적: 자가슬괵건 및 동종전경골건을 이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임상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3년 5월부터 2005년 6월까지 단일 술자에 의해 시행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중 최소 12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60례를 대상으로 30례는 자가슬괵건(주로, 국민건강보험), 30례는 동종전경골건(교통사고 및 산업재해를 포함)을 이용하였다. 추시 검사로 슬관절 운동범위, Lachman 검사, KT-1000 arthrometer, IKDC 점수, Lysholm 점수, one-leg hop 검사를 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관절의 운동 범위는 전 예에서 135도 이상이었으며, Lachman 검사, KT-1000 arthrometer 및 one-leg hop 검사는 두 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IKDC 점수는 자가슬괵건을 이용한 군($87.840{\pm}2.106$)이 동종전경골건을 이용한 군($85.273{\pm}2.782$)보다 높게 조사되었으며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였다. Lysholm 점수 역시 자가슬괵건을 이용한 군($88.067{\pm}2.586$)이 동종전경골건을 이용한 군($85.300{\pm}3.030$)보다 우수하게 측정되었으며 이 또한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였다. 결론: 자가슬괵건과 동종전경골건을 이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에서 두 군 모두 술 후 객관적 혹은 기능적 검사 지표상 유의한 차이 없이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며, 주관적 검사 상 자가슬괵건군이 더 나은 결과를 보였다. 이는 임상적인 평가기준 이외의 다른 주관적 요소, 경제적 요소 혹은 이차적 이득(secondary gain)에 의한 영향을 생각할 수 있겠다.

      • Characteristics of Meniscus Tear in Tibial Plateau Fractures

        이동훈,김병국,김재화,정주환,이인성,이준구,이순철,Lee, Dong-Hoon,Kim, Byung-Kuk,Kim, Jae-Hwa,Chung, Ju-Hwan,Lee, In-Sung,Lee, Jun-Ku,Lee, Soon-Chul Korean Arthroscopy Society 2012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6 No.1

        목적: 경골 고평부 골절은 슬관절에 다양한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연구는 관절경하 경골 고평부 골절에서 반월상 연골 손상 양상을 확인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3월부터 2010년 3월까지 경골 고평부 골절을 진단 받은 39명의 환자 중 33명 환자를 대상으로 골절 고정 시내 관절경을 시행하였다. Schatzker 분류에 따르면 1명의 I형(3.3%), 19명의 II형(53.3%), 4명의 III형(13.3%), 2명의 IV형(6.6%), 2명의 V형(6.6%), 5명의 VI형(20%) 소견을 보였다. 결과: 25명의 환자(75.8%)에서 외측 반월상 연골 파열 소견을 보였다. Schatzker II형 환자 19명 중 18명의 환자(94.7%)가, Schatzker III형 환자 4명 중 3명의 환자(75%)가, Schatzker VI형 환자 5명 중 4명의 환자(80%)가 반월상 연골 파열 소견을 보였다. 반월상 연골 중 가장 많이 손상된 부분은 외측 연골의 전각부분이다(22/25). 25명의 반월상 연골 파열 환자 중, 한 명을 제외한 모든 환자에서 반월상 연골 변연부 수직 종파열 양상을 보였으며, 이는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 관절경하 봉합술을 시도할 수 있었다. 결론: 경골 고평부 골절에 있어 관절경하 반월상 연골 손상에 대한 파악 및 치료에 유용하며, 경골 고평부 골절환자에서 관절경을 권한다. Purpose: Tibial plateau fractures cause a variety of problems in the knee joi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niscus injuries in tibial plateau fracture arthroscopically. Materials and Methods: Thirty-three out of 39 consecutive patients diagnosed with tibial plateau fractures underwent arthroscopy between March 2007 and March 2010. According to Schatzker classification, there were 1 type I (3.3%), 19 type II (53.3%), 4 type III (13.3%), 2 type IV (6.6%), 2 type V (6.6%) and 5 type VI (20%) fracture patterns in 33 patients. Results: Twenty-five cases (75.8%) had lateral meniscus tears. There were 18 meniscal tears in 19 cases of Schatzker type II fractures (94.7%), 3 meniscal tears out of 4 cases of Schatzker type III fractures (75%) and 4 meniscal tears out of 5 cases of Schatzker type VI fractures (80%). The most commonly affected site (22/25) was the anterior horn of the lateral meniscus. Of the 25 documented meniscal tears, all but one were vertical longitudinal tear at meniscocapsular junction so most cases are amenable to arthroscopic repair. Conclusion: Arthroscopy for the meniscal injuries in tibial plateau fractures is a valuable diagnostic and treatment tool, we recommend arthroscopy in tibial plateau fracture.

      • KCI등재후보

        대퇴골 경부 골절의 다발성 금속나사 고정술 후 금속나사의 이동

        윤형구 ( Hyung Ku Yoon ),김병국 ( Byung Kuk Kim ),한용섭 ( Yong Seop Han ),정주환 ( Ju Hwan Chung ),송대근 ( Dae Keun Song ) 대한고관절학회 2007 Hip and Pelvis Vol.19 No.2

        목적: 대퇴골 경부 골절에서 다발성 유관 나사 고정술 후 가끔 관찰되는 방사선상 나사의 이동이 임상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2월부터 2005년 5월까지 대퇴골 경부 골절 환자로 다발성 유관나사로 치료 받은 66명중 최소 18개월 이상 추시 가능했던 44례를 대상으로 진료기록 및 방사선사진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고관절 전후면 사진상 3 mm이동을 기준으로 이동군(27례) 및 비이동군(17례)으로 분류하여 합병증, 골두내 나사 위치, Garden분류, 골절의 위치, 분쇄골절의 유무에 따른 두군 간의 나사 이동에 관하여 비교하였으며, 이동 군에서의 나사의 이동시기 및 거리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두 군사이의 합병증유무(p=0.349), 골두 내 나사 위치(p=0.329), Garden 분류(p=0.370), 골절의 위치(p=0.572)에 따른 이동의 유의한 차가 없었으나, 분쇄골절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이동 군에서 술 후 평균 1개월부터 시작되어 평균 3~6개월부터 이동이 뚜렷하며, 최초 3개월의 평균거리는 4.23 mm였으며, 최종 평균이동거리는 6.51 mm였다. 결론: 경부 골절의 다발성 유관 나사 고정술 후 분쇄골절의 경우 술 후 3개월 전후에 나사의 이동 및 경부의 단축이 예상된다. Purpose: We wanted to assess the characteristics and clinical significance of screw migration after surgical treatment of femoral neck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44 hips (22 males, 22 females) that were treated with closed reduction and multiple cannulated screws between February 1998 and May 2005. The medical records and radiograph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at a minimum of 18 months after surgery. 3 mm migration was arbitrarily chosen as the differentiating measure between the migration (27cases) and the nonmigration (17 cases) groups. The anatomical location of the fracture, Garden`s classification, comminution, the screw position in the femoral head and the complications were statistically compared between the migration and nonmigration groups. The time sequence of events after surgery and the distance of migration were evaluated in the migration group.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noted in regard to complications, the screw position in the femoral head, the degree of displacement of fractures with using Garden`s classification and the anatomic location of the fractur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ith regard to comminution (p=.001). In the migration group, the screws started migrating from 1 month after the operation and this was remarkable at 3~6 months. The average migration was 6.51 mm with 4.23 mm migration occurring in the first 3 months. Conclusion: For comminuted femur neck fractures that are treated with multiple cannulated screws, screw migration and shortening of the femoral neck can be anticipated to happen at 3 months after surgery.

      • KCI등재

        하지에 발생한 Ⅰ, Ⅱ형 급성 괴사성 근막염

        송상준(Sang-Jun Song),이인석(In Seok Lee),정주환(Ju Hwan Chu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5

        목적: 하지에 발생한 Ⅰ, Ⅱ형 급성 괴사성 근막염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소견과 수술적 치료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1998년 4월부터 2005년 3월까지 I, II형 급성 괴사성 근막염으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던 13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내원 시 첫 진단은 봉와직염이 6예로 가장 많았고, 괴사성 근막염으로 진단받은 경우가 3예였다. 기저 질환, 병변의 위치, 자기공명영상 검사상 방사선과 전문의의 진단, 증상 발현 후 수술적 치료까지의 기간, 합병증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기저 질환은 당뇨병 3예, 간질환 3예, 알코올 중독 1예, 자궁경부암으로 항암치료환자 1예가 있었다. 병변의 위치는 하퇴부 이하로 이환된 경우가 5예, 슬관절 이상 이환된 경우가 8예였다. 수술 전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시행한 9예 중 5예에서 방사선과 전문의에 의해 괴사성 근막염으로 진단되었다. 증상 발현 후 수술하기까지의 기간은 평균 4.8일이었다. 합병증으로 고관절 이단 1예, 하퇴 절단 1예, 족지 절단 1예, 슬관절 운동 범위 감소가 1예에서 발생하였다. 합병증이 없었던 9예는 관절운동의 제한과 일상생활의 지장이 없었다. 결론: 하지에 발생한 급성 I, II형 괴사성 근막염은 다양한 임상적, 방사선학적 소견을 보이므로, 하지 연부조직감염 환자에서 괴사성 근막염의 가능성에 대해 면밀한 주의를 요한다. Purpose: To retrospectively analyze the clinical presentations, radiographic findings, and surgical results of type Ⅰ and Ⅱ acute necrotizing fasciitis of the low extremity. Materials and Methods: From April 1998 to March 2005, 13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for the necrotizing fasciitis were reviewed. At the initial diagnosis, 6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cellulitis and 3 patients were diagnosed correctly with necrotizing fasciitis. The underlying diseases, affected sites, official readings of MRI, the intervals between the onset of symptom and surgery, the duration of admission, and complications were investigated. Results: The underlying diseases were 3 cases of diabetes, 3 cases of liver disease, 1 case of alcoholism and 1 case of cervical cancer with chemotherapy. Regarding the location of the disease, 5 cases were observed below the knees, and 8 cases were observed above the knees. Five out of 9 cases who underwent a preoperative MRI study, were diagnosed correctly as necrotizing fasciitis by the radiologist. The average period between onset of symptoms and surgery was 4.8 days. The complications were hip disarticulation in 1 case, below knee amputation in 1 case, toe amputation in 1 case, and a limited range of motion of the knee joint in 1 case. The 9 patients who healed without complications had no limitation in the range of joint motion and daily activity. Conclusion: Type I and II acute necrotizing fasciitis of the low extremity shows variable clinical presentations and radiological findings.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the necrotizing fasciitis needs to be considered when dealing with patients with soft tissue infections in the low extremities.

      • KCI등재

        대퇴골 경부 골절 환자에서 이극성 고관절 반치환술 후 하지부동이 결과에 미치는 영향

        윤형구 ( Hyung Ku Yoon ),김병국 ( Byung Kuk Kim ),정주환 ( Ju Hwan Chung ),한승철 ( Seung Chul Han ) 대한고관절학회 2009 Hip and Pelvis Vol.21 No.4

        Purpose: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 limb-length discrepancy and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after bipolar hemiarthroplasty for femur neck fractures in elderly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August 2004 and January 2007, 60 out of 80 cases over 65 years who underwent cemented bipolar hemiarthroplasty for femur neck fractures with a more than 2 years follow-up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by dividing the patients into two groups, >5 mm (group 1) and <5 mm (group 2) of limb-lengthening. Harris hip score, the activity of daily living(ADL), dislocation rate, pain by a visual analogue scale (VAS) and acetabular wear by radiographic measurements were analyzed. Results: For each group, the Harris hip score in group 1 and 2 was 80.0 and 76.2, respectively. The ADL in group 1 and 2 was respectively, 36 and 29 preoperatively, 56 and 52 postoperatively. The visual analogue scale in group 1 and 2 was 3.53 and 2.23 (P=0.002), respectively, and acetabular wear was encountered in 6 and 8 cases in group 1 and 2, respectively. The VAS score was significant. There was no difference in acetabular wear and dislocation between the two groups (P>0.05). Conclusion: Limb-lengthening by hemiarthroplasty may be a cause of pain but with little effect on the overall functional outc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