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허목(許穆)의 상고주의(尙古主義)적 고문(古文)인식 고찰

        정주하(Jeong, Ju-ha) 한국서예학회 2019 서예학연구 Vol.34 No.-

        조선 17세기는 양란의 폐해로 인해 국가위기에 직면하였고, 특별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한 성리학에 대한 비판과 자성이 높아졌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활동한 미수(眉叟) 허목(許穆, 1595-1682)은 국가이념의 재건을 위해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미수는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2-1571)의 학맥을 계승하면서도 진취적인 사고로 실천적 학문을 추구한 인물이다. 미수는 당시의 사회적 혼란을 광정(匡正)하기 위해서는 ‘고문학(古文學)’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고대 중국의 신성한 권위를 지녔으며 지치(至治)를 펼쳤던 ‘삼대(三代)’의 정치를 구현하는 것을 이상향으로 여겼다. 이처럼 고문에 주목하고 다시 복 귀하려고 노력한 것은, 바로 문자에 함축되어 있는 ‘정신성’ 때문이다. 즉, 고대 문자를 통해 유학정신의 본령을 회복하고, 이를 토대로 당대에 유효한 유교이념을 펼쳐야한다는 생각이다. 그래서 미수는 철저한 ‘상고주의자’였으며, 평생에 걸쳐 전심전 력으로 몰두했던 학문은 ‘고문학’이었다. 미수의 고문학은 곧 ‘육경학(六經學)’을 가리킨다. 그는 􋺷육경􋺸이 천지의 지극한 가르침이자 성인의 도가 실려 있는 요체로 여기고 매우 중시하였다. 미수는 당시 문인들이 ‘정주(程朱)’의 주석에만 매달리는 세태를 비판하였다. 그는 ‘정주’의 해석만 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직접적으로 육경 고문을 이해해야 원시유학의 본래 모습을 회복할 수 있다고 여겼다. 주목할 점은 미수가 선진(先秦)의 고문만을 중시할 뿐, 한ㆍ당 이후의 문자에 관하여는 거의 평가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것은 고문에 대하여 높은 식견을 가지고 있었던 미수에게, 한ㆍ당 시대 이후의 문자는 자연미와 창고(蒼古)한 아취(雅趣)가 사라져버린 비속한 문자들이었기 때문이다. 미수의 ‘상고정신’을 기반으로 한 고문인식은, 성리학적 교조주의에 빠져있었던 당시의 학계와 예술계는 물론이고 후대에 까지 큰 영향을 미쳤다. In the 17th century, Joseon faced a national crisis through the invasion of foreign powers. Therefore, the voice of reflection about the Sung Confucianism which does not offer a special solution begins to be expressed. Under such a background, Mi-su Heo, Mok(1595-1682) pursued a practical discipline while pursuing a school ties of Toe-gye Lee, Hwang(1502-1571). In particular, he played a pivotal role in various fields in the mid-Joseon period of the transition period. Mi-su believed that the study of ‘paleography could improve the social chaos of the time, so he thought implementing the politics of the ancient Chinese ‘Three generations was ideal. This attention to archaic texts and effort to return is due to the ‘jeongsinmi’ inherent in the text. Therefore, Mi-su was a thorough ‘sang-gojuuija’ and his lifelong devoted scholar was ‘paleography’. The paleography of Mi-su is also ‘yuggyeonghag’. He thought the book 􋺷yuggyeong􋺸 as an important element of adult character, which is the teaching of heaven, as it is for adults to follow the will of heaven, to set standards, to achieve business by understanding the principles of all things. Mi-su criticized the situation in which a literary men were only dependent on ‘Jeong-ju s annotation. He did not follow the interpretation of ‘Jeong-ju’, but tried to find the true appearance of primitive Confucianism by directly understanding thearchaic texts of yuggyeong. What s noteworthy is that the ‘seonjin s has valued only the archaic texts, but has rarely evaluated ‘Han · Dang’ archaic texts. This is because to a man who had a high level of knowledge about archaic texts, the ‘Han · Dang period of text was a vulgar alphabet with no natural beauty and no storage. The recognition of archaic texts based on the sang-gojeongsin of ‘mi-su had a great influence on both the academia and the art world of the time and the later generations that had fallen into the stereotypical dogmaticism.

      • KCI등재

        아계(鵝溪) 이산해(李山海)의 초서 고찰

        정주하(Jeong, Ju-ha) 한국서예학회 2020 서예학연구 Vol.37 No.-

        Lee San-hae was a loyal retainer of the king in the position of chief executive in the national crisis of Imjin Waeran.“ He was also praised as a member of the Moonjang Palga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jo, and was an outstanding writer for eight years, leading the literary style of the Joseon Dynasty. Therefore, most of the research on Lee San-hae is biased towards his poems, literature and ideas. However, it is relatively underestimated that the handwriting was already noted as Seosomunjadaepil at the age of six, and was recognized as a master calligrapher at the age of 24 by King Myeongjong to write the Pyeonaek of Gyeongbokgung Palace. Lee San-hae s studies were greatly influenced by family customs. In particular, he received considerable education from the elders of the family from his childhood, and the most influential person among them was his uncle Lee Ji-ha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rst find out about Lee Ji-ham. Lee Ji-ham was basically a Neo-Confucianist, as most of the aristocrats did during the Joseon Dynasty, but, like his teacher Seo Gyeong-deok, he values righteousness and Use together. In other words, he maintained an open and realistic idea of pursuing flexible and practical measures that were appropriate to the situation, rather than sticking to conventional wisdom. This tendency can be seen as the most prominent among the Hwadam School. The ideas of the Hwadam School, which is both provincial and practical, will continue to lead to Lee San-hae. Among the various works of the Lee San-hae, looked at cursive writing because it best reveals his open and practical tendency than other typefaces. This trend was reflected in his cursive which reinterpreted the wild cursive of Jang Pil, which had been affected since childhood, which reinterpreted the large letter cursive of Chuk Yunmyeong, Hwangsangok, and Hwang Gi-ro, to freely and elegantly unravel the feeling. 이산해는 임진왜란이라는 국가적 위기상황에 영의정이라는 최고 중책의 자리에서 선조의 어가가 파천(播遷)하게 되자 묘사(廟社)를 모시며 호위했던 인물로, 군국(軍國)의 방책을 여러 차례 개진한 충의(忠毅)를 가진 인물이다. 또한 선조 때 ‘문장팔가(文章八家)’의 한 사람으로 칭송받았으며, 8년 동안 ‘문형(文衡)’을 맡으며 당대 조선의 문풍(文風) 이끌었을 정도로 시문에 뛰어난 인물이었다. 때문에 이산해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그의 시와 문학 및 사상에 관한 것들에 편향되어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6세에 이미 ‘서소문자대필’이라고 언급될 정도로 글씨로 명성을 떨쳤으며, 24세에는 명종의 명에 의해 경복궁의 편액 글씨를 쓸 정도로 명필로서 인정받았다는 사실은 상대적으로 과소평가 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산해의 학문은 가풍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특히 어린 시절부터 집안의 어른들로부터 상당한 교육을 받았는데, 이 가운데서도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인물이 바로 숙부 이지함이다. 때문에, 먼저 이지함에 대하여 알아 볼 필요가 있다. 이지함은 조선시대 대부분의 사대부들이 그러했듯이 기본적으로 성리학자이였지만, 스승인 서경덕의 학풍과 마찬가지로 의(義)와 이(利)를 함께 중시하는 모습을 보인다. 곧, 기존의 통설에만 집착하지 않고 상황에 맞는 유연하고도 실용적인 대처를 추구하는 개방적이고도 현실적인 사상을 견지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경향은 화담학파에게서 가장 두드러진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도가적이면서 실용을 중시한 화담학파의 사상은, 이산해에게 그대로 이어지게 된다. 이산해의 여러 묵적들 가운데서 초서 묵적들을 살펴보았는데, 이는 초서가 다른 서체들 보다 그의 개방적이고 실용적인 성향을 가장 잘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그의 초서풍에서도 이러한 경향이 그대로 반영되었는데, 유년기부터 영향을 받았던 장필의 광초풍과 더불어 축윤명, 황산곡, 그리고 황기로의 대자초서풍을 재해석하여 구애받지 않고 정감을 자유롭고 유려하게 풀어낸 초서 풍격을 구사하였다.

      • KCI등재

        퇴계(退溪)의 심성수양적 ‘점획존일(點劃存一)’의 서예관

        정주하(Jeong, Ju Ha) 한국서예학회 2018 서예학연구 Vol.33 No.-

        조선시대의 사대부들에게는 시문(詩文)은 물론이요, 예술을 창작하는 일련의 행위들에 대해 ‘완물상지’라 하여 경계하는 경향이 존재했다. 이는 서예에도 적용되어, 서예를 하나의 ‘여기(餘技)’나 ‘말기(末技)’로 인식하였다. 퇴계가 활동하던 16 세기 조선에서도 그러한 경향은 마찬가지였다. 따라서 퇴계 역시 이러한 경향에 일정부분 영향을 받은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하지만 퇴계의 서예에 대한 관심과 애정은 실로 남다른 편이었다. 그는 서예에 침식을 잊고 몰두할 정도였으며 심지어 재료와 도구에 대한 전문적 지식 또한 지니고 있었다. 퇴계가 서예에 몰두한 것은 서예가 지닌 학문과 심성수양의 순기능을 정확히 인식하고 있는 데서 비롯된 것이다. 퇴계는 서예가 성인의 훌륭한 덕을 드러나게 하는 매개체임을 명시하였으며, 서예를 문장과 동일한 시각으로 바라보았던 것이다. ‘경’은 퇴계가 평생에 걸쳐 사상적 ․ 학문적으로 가장 중요하게 견지하였던 사상이다. ‘경’은 유가의 도덕적인 정신을 말하는데, 유학에서 가장 핵심을 이루는 도덕적 가치인 ‘성(誠)’에 도달하기 위해 정신적으로 갖추고 실천해야 하는 기본 태도 를 말한다. 이는 그의 서예관에 그대로 투영되어 ‘점획존일’의 순일함을 요구하였다. 퇴계는 서예라는 예술이 결코 명필이 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경’을 통하여 ‘성’에 도달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이라고 여겼다. 이것은 퇴계가 서예를 ‘경’을 통하여 ‘성’에 도달하기 위한 정로로 인식하고 있었음을 대변해 준다. There was a tendency in the Chosun dynasty to guard against a series of acts that created art, as well as poetry and prose, as “wanmulsangji(玩物喪志)”. It was also applied to calligraphy, and recognized calligraphy as a ‘yeogi(餘技)’ or ‘malgi(末技)’. This tendency was the same in the 16th century Joseon, when Toegye was active. Therefore, Toegye has also been influenced by this tendency. However, interest and affection for Toegye’s calligraphy were very different. He forgot about food and sleep in calligraphy and was even absorbed and had expertise in materials and tools. Toegye’s attention to calligraphy is derived from the recognition of calligraphers discipline and the ability to cultivate the mind. Toegye stated that calligraphy is the medium that reveals the good virtues of the a sage, and he looked at the calligraphy with the same viewpoint as the sentence. ‘Kyung(敬)’ is the idea that Toegye was most important ideologically and academically throughout his life. ‘Kyung’ refers to the moral spirit of a Confucian scholar, it refers to the basic attitude that must be practiced mentally to reach ‘seong(誠)’, the most important moral value in Confucianism. It was projected in his calligraphy and demanded a genuine work of ‘Jeomhoegjonil(點劃存一)’. Toegye regarded the art of calligraphy as a means to reach ‘seong’ through ‘kyung’ rather than as a name. This indicates that Toegye recognized calligraphy as a way to reach ‘sung’ through ‘kyung’.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경증치매노인의 기능적 체력 및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복합 수중운동프로그램 개발

        강동근 ( Dong Keun Kang ),박정연 ( Jeong Yeon Park ),정주하 ( Joo Ha Jung ),박정준 ( Jung Jun Park ) 한국운동생리학회 2015 운동과학 Vol.24 No.4

        PURPOSE: Aquatic exercise is popular among the elderly because its stress on joint is less compared to other exercis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combined aquatic exercise with music therapy, art therapy and learning therapy on improvements of functional fitness and cognitive function in elderly with mild dementia. METHODS: Twenty two women, aged 65 to 74,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combined aquatic exercise group(CAEG, n=12) or normal aquatic exercise group(NAEG, n=10). Both group performed exercise 60 min/day, 3 days/week, for 16 weeks at the intensity of 10-13 RPE. The variables of funcional fitness test and CERAD-K``s 10 task tests were used to measureed all the subjects. All data was analyzed by independent t-test, two-way repeated ANOVA and paired t-test by using SPSS 22.0. RESULTS: In the case of functional fitness, the CAEG improved significantly in 2 kg dumbbell curl, 2.44 m up-and go, 6-min walk and the NAEG improved 2 kg dumbbell curl, 2.44 m up-and go. In the case of cognitive function improved significantly all 10 task tests, while NAEG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ll 10 task tests. CONCLUSIONS: It is concluded that the effect of CAEG is superior to NAEG in improvements of functional fitness and cognitive function by increasing sense of sight, hearing, touching, memorizing. Thus, it suggests that combined aquatic exercise is an appropriate exercise, especially for elderly with mild dement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