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허목(許穆)의 상고주의(尙古主義)적 고문(古文)인식 고찰

        정주하(Jeong, Ju-ha) 한국서예학회 2019 서예학연구 Vol.34 No.-

        조선 17세기는 양란의 폐해로 인해 국가위기에 직면하였고, 특별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한 성리학에 대한 비판과 자성이 높아졌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활동한 미수(眉叟) 허목(許穆, 1595-1682)은 국가이념의 재건을 위해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미수는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2-1571)의 학맥을 계승하면서도 진취적인 사고로 실천적 학문을 추구한 인물이다. 미수는 당시의 사회적 혼란을 광정(匡正)하기 위해서는 ‘고문학(古文學)’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고대 중국의 신성한 권위를 지녔으며 지치(至治)를 펼쳤던 ‘삼대(三代)’의 정치를 구현하는 것을 이상향으로 여겼다. 이처럼 고문에 주목하고 다시 복 귀하려고 노력한 것은, 바로 문자에 함축되어 있는 ‘정신성’ 때문이다. 즉, 고대 문자를 통해 유학정신의 본령을 회복하고, 이를 토대로 당대에 유효한 유교이념을 펼쳐야한다는 생각이다. 그래서 미수는 철저한 ‘상고주의자’였으며, 평생에 걸쳐 전심전 력으로 몰두했던 학문은 ‘고문학’이었다. 미수의 고문학은 곧 ‘육경학(六經學)’을 가리킨다. 그는 􋺷육경􋺸이 천지의 지극한 가르침이자 성인의 도가 실려 있는 요체로 여기고 매우 중시하였다. 미수는 당시 문인들이 ‘정주(程朱)’의 주석에만 매달리는 세태를 비판하였다. 그는 ‘정주’의 해석만 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직접적으로 육경 고문을 이해해야 원시유학의 본래 모습을 회복할 수 있다고 여겼다. 주목할 점은 미수가 선진(先秦)의 고문만을 중시할 뿐, 한ㆍ당 이후의 문자에 관하여는 거의 평가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것은 고문에 대하여 높은 식견을 가지고 있었던 미수에게, 한ㆍ당 시대 이후의 문자는 자연미와 창고(蒼古)한 아취(雅趣)가 사라져버린 비속한 문자들이었기 때문이다. 미수의 ‘상고정신’을 기반으로 한 고문인식은, 성리학적 교조주의에 빠져있었던 당시의 학계와 예술계는 물론이고 후대에 까지 큰 영향을 미쳤다. In the 17th century, Joseon faced a national crisis through the invasion of foreign powers. Therefore, the voice of reflection about the Sung Confucianism which does not offer a special solution begins to be expressed. Under such a background, Mi-su Heo, Mok(1595-1682) pursued a practical discipline while pursuing a school ties of Toe-gye Lee, Hwang(1502-1571). In particular, he played a pivotal role in various fields in the mid-Joseon period of the transition period. Mi-su believed that the study of ‘paleography could improve the social chaos of the time, so he thought implementing the politics of the ancient Chinese ‘Three generations was ideal. This attention to archaic texts and effort to return is due to the ‘jeongsinmi’ inherent in the text. Therefore, Mi-su was a thorough ‘sang-gojuuija’ and his lifelong devoted scholar was ‘paleography’. The paleography of Mi-su is also ‘yuggyeonghag’. He thought the book 􋺷yuggyeong􋺸 as an important element of adult character, which is the teaching of heaven, as it is for adults to follow the will of heaven, to set standards, to achieve business by understanding the principles of all things. Mi-su criticized the situation in which a literary men were only dependent on ‘Jeong-ju s annotation. He did not follow the interpretation of ‘Jeong-ju’, but tried to find the true appearance of primitive Confucianism by directly understanding thearchaic texts of yuggyeong. What s noteworthy is that the ‘seonjin s has valued only the archaic texts, but has rarely evaluated ‘Han · Dang’ archaic texts. This is because to a man who had a high level of knowledge about archaic texts, the ‘Han · Dang period of text was a vulgar alphabet with no natural beauty and no storage. The recognition of archaic texts based on the sang-gojeongsin of ‘mi-su had a great influence on both the academia and the art world of the time and the later generations that had fallen into the stereotypical dogmaticism.

      • KCI등재
      • KCI등재

        중앙정부의 행정개혁 추진력이 지방공무원의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정주용(鄭周溶),조광래(趙光來) 한국공공관리학회 2016 한국공공관리학보 Vol.30 No.2

        이 연구는 행정개혁의 실질적인 집행주체인 지방공무원들의 행정개혁에 대한 중간평가적 의미를 갖는다. 일선행정현장에서 개혁을 집행하는 지방공무원들이 행정개혁에 얼마나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지, 또 이러한 참여확보에 어떠한 요인들이 개입될 수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중·후반기에 접어든 행정개혁의 집행에 실천적인 함축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박근혜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행정개혁인 정부 3.0에 대한 참여의 적극성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해 1,201명의 지방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경로분석을 활용해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해볼 수 있다. 첫째, 지방공무원의 정부3.0에 대한 참여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은 중앙정부의 정책추진력으로 중앙정부의 의지와 추진력이 강할수록 지방공무원들의 정부3.0에 대한 참여가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행정개혁에 대한 필요성, 정부3.0에 대한 동의정도, 정부3.0의 기대효과 등과 같은 행정개혁에 대한 주관적 판단도 참여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앙정부의 정책추진력에 공무원 개개인의 주관적 인지가 매개변수로 작용할 경우 참여의 적극성을 더욱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개인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이 우호적으로 갖추어질 수 있어야 개혁추진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do the interim evaluation of the reform of local public participation which has been carried out actually in administration reform. In order to examine how much the local civil servants participate in administration reform positively at field administration, or why they are willing to participate, this study provides the practical implication of administration reform in the medium or the late stage. This study surveyed 1,201 local public servants in order to examine the positiveness and thereupon its influential factors of Gov.3.0 Policy which is encompassed in the administration reform under Park Geun-hye administration. Through path analysis, this paper concludes as followings. Firstly, the factor most influencing the participation of local civil servants in Gov.3.0 is the policy thrust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reupon the increasing participation of local civil servants in Gov.3.0. Secondly, the subjective judgments such as the necessity of administrative reform, the agreement level about Gov.3.0 and its expected effect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Thirdly, if taking the subjective cognition of civil servants about the policy thrust of the Central government as parameter, the positiveness of participation increases significantly. Namely, only when personal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are well-found can positive participation present during the process of reform enforcement.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정착을 위한 사회화 과정 일 고찰

        정주신(Joo-Shin Chung) 한국통일전략학회 2005 통일전략 Vol.5 No.2

        이 연구가 가지는 기본적 관점은 북한이탈주민이 탈북 이후 남한에서의 정착하기까지의 일반적인 사회화 과정을 담아내고자 함이다. 즉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에서의 정착이 사회화 과정의 일환이라는 측면에서 남한주민과의 생활방식에 얽힌 내용이나 반응 등을 적요하는데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에서의 적응 및 정착문제는 궁극적으로 체제통합에 앞서서 남북한 주민의 실질적인 사회통합을 이루기 위한 매우 중요한 시험대가 될 수 있다. 북한이탈주민을 너무 격리시켜서도 혹은 분산시켜서도 안 되겠지만, 이들의 남한정착이 사회화는 물론 남한 국민의 일원으로 당당히 살아가는데서 그 존재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남북한의 통일이나 체제통합을 위한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에서의 사회화 과정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래서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정착을 위한 사회화 과정은 어떻게 혹은 얼마나 제도화되고 있는지를, 또한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에서의 사회 통합적 가치는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것은 유의미한 연구라 하지 않을 수 없다. The basic viewpoint which this study has it becomes to put in a general socialization process until the North Korea secession resident becomes fixed in South Korea after defect from North Korea. Namely, the questionable matter of study is searching where the North Korea secession resident is tied in a life methods or reaction of the South Korea resident from the one side which the fixation from South Korea is link of socialization process Consequently the adaptation and fixation problem from the South Korea society of the North Korea secession resident becoming the testing stand which is important for accomplishes the substantial social integration of the South and North Korea resident ultimately before in regime integration. It the North Korea disconnection resident too much quarantines or disperses does not become, but these South Korea fixation of the North Korea secession resident is searching the existence from where it lives grandly with not only socialization but the member of South Korea citizen. If the importance of socialization process from South Korea of the North Korea secession resident for the unity or a regime integr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from like this meaning emphasizes no matter how, it does not go to extremes. It is like that and the socialization process the North Korea secession resident for a South Korea fixation to be how are becoming how many institutionalization or, also social integrated value from South Korea of the North Korea secession resident it probably is what, it tries observing the research which is important it will not can

      • KCI등재

        초등학교 3학년 체육영재와 일반학생의 유, 무산소성 능력 및 하지 등속성근기능 비교

        정주하(Joo Ha Jung),양점홍(Jum Hong Yang) 한국발육발달학회 2011 한국발육발달학회지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mparisons of young sport talent and general students of the thi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on aerobic and anaerobic ability and isokinetic muscle function. The subjects were conducted in 37students (boys 28, girls 9) aged 10 years in young sports talent center of Puniversity in 2009 and 2010. And general elementary 19students (boys 10, girls 9) aged 10 years old. The measurement items were exercise stress test, Wingate test, isokinetic muscle function test. Date analyzing method were ANCOVA using SPSS 14.0.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1.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Body compositions: Young sport talent group showed lower results than general elementary students in weight, BMI,body fat and %fat. But, young sport talent group showed higher results than general elementary students in lean body mass. 2. Aerobic exercise capacity: Young sport talent group showed higher results than general elementary students in VO<sub>2max</sub>, respiratory exchange ratio, ventilation and exercise time. 3. Anaerobic exercise capacity: Young sport talent group showed higher results than general elementary students in mean power, peak power and total work. But, young sport talent group showed lower results than general elementary students in ratio of fatigue. 4. Isokinetic muscle function: Young sport talent group showed higher results than general elementary students in extensor and flexor. Therefore, Young sport talent group showed higher results than general elementary students in aerobic,anaerobic ability and lower extremity isokinetic muscle function,therefore we can conclude to be of help to set-up a norm of selection for young sport tal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