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중앙정부의 행정개혁 추진력이 지방공무원의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정주용(鄭周溶),조광래(趙光來) 한국공공관리학회 2016 한국공공관리학보 Vol.30 No.2

        이 연구는 행정개혁의 실질적인 집행주체인 지방공무원들의 행정개혁에 대한 중간평가적 의미를 갖는다. 일선행정현장에서 개혁을 집행하는 지방공무원들이 행정개혁에 얼마나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지, 또 이러한 참여확보에 어떠한 요인들이 개입될 수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중·후반기에 접어든 행정개혁의 집행에 실천적인 함축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박근혜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행정개혁인 정부 3.0에 대한 참여의 적극성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해 1,201명의 지방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경로분석을 활용해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해볼 수 있다. 첫째, 지방공무원의 정부3.0에 대한 참여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은 중앙정부의 정책추진력으로 중앙정부의 의지와 추진력이 강할수록 지방공무원들의 정부3.0에 대한 참여가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행정개혁에 대한 필요성, 정부3.0에 대한 동의정도, 정부3.0의 기대효과 등과 같은 행정개혁에 대한 주관적 판단도 참여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앙정부의 정책추진력에 공무원 개개인의 주관적 인지가 매개변수로 작용할 경우 참여의 적극성을 더욱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개인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이 우호적으로 갖추어질 수 있어야 개혁추진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do the interim evaluation of the reform of local public participation which has been carried out actually in administration reform. In order to examine how much the local civil servants participate in administration reform positively at field administration, or why they are willing to participate, this study provides the practical implication of administration reform in the medium or the late stage. This study surveyed 1,201 local public servants in order to examine the positiveness and thereupon its influential factors of Gov.3.0 Policy which is encompassed in the administration reform under Park Geun-hye administration. Through path analysis, this paper concludes as followings. Firstly, the factor most influencing the participation of local civil servants in Gov.3.0 is the policy thrust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reupon the increasing participation of local civil servants in Gov.3.0. Secondly, the subjective judgments such as the necessity of administrative reform, the agreement level about Gov.3.0 and its expected effect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Thirdly, if taking the subjective cognition of civil servants about the policy thrust of the Central government as parameter, the positiveness of participation increases significantly. Namely, only when personal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are well-found can positive participation present during the process of reform enforcement.

      • KCI등재

        허목(許穆)의 상고주의(尙古主義)적 고문(古文)인식 고찰

        정주하(Jeong, Ju-ha) 한국서예학회 2019 서예학연구 Vol.34 No.-

        조선 17세기는 양란의 폐해로 인해 국가위기에 직면하였고, 특별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한 성리학에 대한 비판과 자성이 높아졌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활동한 미수(眉叟) 허목(許穆, 1595-1682)은 국가이념의 재건을 위해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미수는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2-1571)의 학맥을 계승하면서도 진취적인 사고로 실천적 학문을 추구한 인물이다. 미수는 당시의 사회적 혼란을 광정(匡正)하기 위해서는 ‘고문학(古文學)’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고대 중국의 신성한 권위를 지녔으며 지치(至治)를 펼쳤던 ‘삼대(三代)’의 정치를 구현하는 것을 이상향으로 여겼다. 이처럼 고문에 주목하고 다시 복 귀하려고 노력한 것은, 바로 문자에 함축되어 있는 ‘정신성’ 때문이다. 즉, 고대 문자를 통해 유학정신의 본령을 회복하고, 이를 토대로 당대에 유효한 유교이념을 펼쳐야한다는 생각이다. 그래서 미수는 철저한 ‘상고주의자’였으며, 평생에 걸쳐 전심전 력으로 몰두했던 학문은 ‘고문학’이었다. 미수의 고문학은 곧 ‘육경학(六經學)’을 가리킨다. 그는 􋺷육경􋺸이 천지의 지극한 가르침이자 성인의 도가 실려 있는 요체로 여기고 매우 중시하였다. 미수는 당시 문인들이 ‘정주(程朱)’의 주석에만 매달리는 세태를 비판하였다. 그는 ‘정주’의 해석만 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직접적으로 육경 고문을 이해해야 원시유학의 본래 모습을 회복할 수 있다고 여겼다. 주목할 점은 미수가 선진(先秦)의 고문만을 중시할 뿐, 한ㆍ당 이후의 문자에 관하여는 거의 평가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것은 고문에 대하여 높은 식견을 가지고 있었던 미수에게, 한ㆍ당 시대 이후의 문자는 자연미와 창고(蒼古)한 아취(雅趣)가 사라져버린 비속한 문자들이었기 때문이다. 미수의 ‘상고정신’을 기반으로 한 고문인식은, 성리학적 교조주의에 빠져있었던 당시의 학계와 예술계는 물론이고 후대에 까지 큰 영향을 미쳤다. In the 17th century, Joseon faced a national crisis through the invasion of foreign powers. Therefore, the voice of reflection about the Sung Confucianism which does not offer a special solution begins to be expressed. Under such a background, Mi-su Heo, Mok(1595-1682) pursued a practical discipline while pursuing a school ties of Toe-gye Lee, Hwang(1502-1571). In particular, he played a pivotal role in various fields in the mid-Joseon period of the transition period. Mi-su believed that the study of ‘paleography could improve the social chaos of the time, so he thought implementing the politics of the ancient Chinese ‘Three generations was ideal. This attention to archaic texts and effort to return is due to the ‘jeongsinmi’ inherent in the text. Therefore, Mi-su was a thorough ‘sang-gojuuija’ and his lifelong devoted scholar was ‘paleography’. The paleography of Mi-su is also ‘yuggyeonghag’. He thought the book 􋺷yuggyeong􋺸 as an important element of adult character, which is the teaching of heaven, as it is for adults to follow the will of heaven, to set standards, to achieve business by understanding the principles of all things. Mi-su criticized the situation in which a literary men were only dependent on ‘Jeong-ju s annotation. He did not follow the interpretation of ‘Jeong-ju’, but tried to find the true appearance of primitive Confucianism by directly understanding thearchaic texts of yuggyeong. What s noteworthy is that the ‘seonjin s has valued only the archaic texts, but has rarely evaluated ‘Han · Dang’ archaic texts. This is because to a man who had a high level of knowledge about archaic texts, the ‘Han · Dang period of text was a vulgar alphabet with no natural beauty and no storage. The recognition of archaic texts based on the sang-gojeongsin of ‘mi-su had a great influence on both the academia and the art world of the time and the later generations that had fallen into the stereotypical dogmaticism.

      • KCI등재

        흉부 CT 영상에서 밝기값 제약 기반 다중변형모델을 이용한 간유리음영 결절 자동 분할

        정주,홍헬렌 한국정보과학회 2013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 No.

        In this paper, we propose a simultaneous segmentation method to separate ground-glass opacity(GGO) and solid components from background in chest CT images. The proposed method consists of following three steps. First, initial GGO and solid components are segmented by estimating the adaptive threshold values using intensity histogram modeling. Second, to refine the initial segmentation that includes neighbor structures with similar intensities, vessels and the chest wall around the nodule are eliminated by using shape information and segmented lung information. Third, final GGO and solid components are segmented by using multi-phase deformable model with intensity constraint. To evaluat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we compare the segmentation results of conventional method and proposed method with manual segmentation result defined by radiologist.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accurately separates GGO component from background and the accuracy of the proposed method is improved by 77% than conventional method. 본 논문에서는 흉부 CT 영상에서 간유리음영 성분과 고형 성분을 배경과 잘 분리되도록 동시에 분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다음의 세 단계로 구성된다. 첫째, 밝기값 기반 히스토그램 모델링을 이용해 적응적 임계값을 산정하여 간유리음영 성분과 고형 성분의 초기 영역을 분할한다. 둘째, 유사한 밝기값을 갖는 주변기관이 함께 분할된 초기 영역을 보정하기 위하여 형태 정보와 폐분할 정보를 이용하여 결절 주위의 혈관과 흉벽을 제거한다. 셋째, 밝기값 제약 기반의 다중변형모델을 이용하여 간유리음영 성분과 고형 성분 영역을 최종 분할한다. 제안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기존 방법과 제안 방법의 분할 결과를 임상의에 의한 수동 분할 결과와 비교한다. 실험 결과는 제안 방법이 간유리음영 성분과 배경을 잘 구분하였음을 보여주며, 제안 방법의 정확성이 기존 방법 대비 77% 향상되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자비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의 관계에서 외로움을 통한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정주,김은영 한국상담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2 No.2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loneliness,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elf-efficacy,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serially. Participants were college students in their twenties whose smartphone usage was highest compared to others in their age group. Participants were administered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self-compassion,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loneliness and social self-efficacy scales. Data from 308 students (122 men and 186 women) were analyzed using SPSS Macro Process. The results indicated that self-compassion predicte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not only directly, but also through loneliness. In addition, social self-efficac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loneliness and there was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lonelines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s well as recommend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스마트폰 활용률이 가장 높은 20대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자비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외로움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후, 순차적으로 자기자비와 외로움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 최종적으로 자기자비가 외로움을 통해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을 하였다. 연구를 위해 자기자비,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 사회적 자기효능감, 외로움을 측정하는 척도들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308명(남학생 122명, 여학생 186명)의 자료를 SPSS Macro Process를 이용하여 매개효과,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자비는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직접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외로움을 매개로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자기효능감은 자기자비와 외로움의 관계를 조절하였고, 자기자비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의 관계에서 외로움을 통한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의의, 시사점,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A Case of Post-Traumatic Meniere’s Disease

        정주,정한진,김종선,김영호 대한청각학회 2014 Journal of Audiology & Otology Vol.18 No.1

        There are only a few reports of post-traumatic Meniere’s disease and there is few literature that contains detailed data associated with the disease. We report a case of post-traumatic Meniere’s disease. He suffered from tinnitus, fluctuating sensorineural hearing loss, and recurrent vertigo. Symptomatic medical treatment was not helpful and neither was soft tissue plugging around the oval and round windows during exploratory tympanotomy. Three months after soft tissue plugging, endolymphatic sac decompression surgery was performed. The patient’s symptoms improved markedly thereafter.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post-traumatic Meniere’s disease is described and we present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