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공주 대통사지 추정지 발굴조사 내용과 성과

        정제원(Jung, Je-won)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19 충청학과 충청문화 Vol.27 No.1

        大通寺는 백제사찰 가운데 창건 연대(527년)가 확인되는 가장 이른 시기의 사찰로서 관련기록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정확한 위치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대통사 관련 기록을 처음으로 주목한 이는 일제강점기 때 공주에서 백제유적을 조사 연구하던 가루베지온(輕部慈恩)이었다. 그는 당시 공주 일원에 남아 있는 불적 자료를 토대로 백제 가람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공주지역의 불교유적이 산지(山地)의 혈사(穴寺)와 명지(平地)의 당탑식(堂塔式)가람이 존재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백제시대의 가람의 존재형태는 초기에는 山地의 穴寺가 중심을 이루다가 점차 平地의 堂塔式 가람으로 전개되었다고 보면서 명지의 堂塔式 가람으로 이 大通寺를 들고 있다. 이러한 견해는 당간지주 주변에 대한 조사결과 당간지주가 옮겨왔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제민천이 범람했던 곳으로 확인되면서 그동안에 통념이 사라지고 대통사의 위치에 대한 재검토의 필요성이 대두된 셈이다. 그 후 매장문화재 발굴조사 시 반죽동 일대에 대해서 좀 더 면밀한 검토를 진행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생겨났고, 2011년 대통사지 탐색을 위한 시굴조사가 이루어지면서 반죽동 197-4번지, 반죽동 204-1번지, 205-1 번지, 176번지 일대의 대통사 관련 유물산포지를 확인하였다. 본고에서 다루는 대통사지 추정지(3지점)은 충남 공주시 반죽동 176번지에 위치하고 있다. 조사지역은 해발 148.4m의 봉황산에서 동쪽으로 이어지는 능선사면부와 제민천 사이 평탄면에 일대에 해당한다. 발굴조사 결과 크게 개 문호층으로 구별되며, 상층부터 근.현대층 - 조선시대 문화층 - (추정)고려시대 문화층 - (추정)통일신라시대 성토대지층 - 백제시대 문화층이 확인되었다. 이중 (추정)통일신라시대 성토대지층에는 원지형을 그대로 이용하여 경사토축방식을 통해 대대적으로 대지를 조성한 흔적을 확인하였다.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된 유구는 백제시대 수혈유구 3기, (추정)통일신대시대 석축유구 1기·점토유구 1기·적석유구 1기·전시설 1기·초석 2기, (추정)고려시대 폐와무지 3기, 석렬 2기, 적심 2기, 조선시대 담장렬 1기, 수혈유구 3기, 주공군 1기등 총 22기가 확인되었다. 조사지역 북쪽에서 확인된 남-북방향의 자갈석렬 및 집수 관련한 수혈유구는 백제시대 성토방식을 엿볼 수 있는 유구로 판단되며, (추정)통일신라시대 석축유구는 정북방향의 자갈석렬(배수시설 추정)을 중심으로 좌·우 규모 4.2m 정도의 정방형의 줄기초시설이 확인되었다. 석축유구의 성격이 대통사와 관련된 시설여부는 판단하기 어렵지만 유구의 조성 방향을 기반으로 사역과의 연결성을 확인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였다고 판단된다. 고려시대 폐와무지에서 출토된 유물가운데‘大通’, ‘大 자명 인장와를 비롯하여 ‘大通之寺’,‘大通寺’자명 명문와, 귀면와, 지두문암막새, 연화문수막새 등 대통사와 관련한 유물이 대거 출토되었다. 이러한 양상으로 보아 유물은 대부분 사찰건물에 사용된 것으로 보여진다. 발굴초사지역 주변으로 관련 조사가 이루어져 대통사와 연관 지을 수 있는 여러 부분들이 확인되고 있어 지금까지 실제 규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웅진도읍기 최대 사찰인 대통사에 관한 실마리를 풀 수 있는 중요한 사료로 판단된다.

      • KCI등재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L.) 꽃의 개화 단계별 향기성분 조성 비교

        정제원(Je Won Jung),이현숙(Hyun Sook Lee),노광래(Gwang Rae Noh),김문섭(Moon Sup Kim),이안도성(Andosung Lee),김세현(Sea Hyun Kim),권형욱(Hyung Wook Kwon) 한국양봉학회 2017 韓國養蜂學會誌 Vol.32 No.3

        Floral scent emitted from many plants is the critical factors for pollinator attraction and defense for adaptation in environments. The fragrance components of flowers are different in composition by geographical origins, climate factors and the development stages of flower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volatile-floral compounds in flowers of Robinia pseudoacacia L. and defined the chemical contribution for flowering periods. The volatile compounds analysis was performed by gas chromatography with mass selective detector after solid phase microextraction (SPME). We reported different compositional features of fragrance compounds according to flowering periods. The abundant compounds identified in stage 1 were α-pinene (66.80%) and β-pinene (26.53%). Those of the stage 2 were (Z)-β-ocimene (37.57%), α-pinene (15.16%), benzaldehyde (16.63%), linalool (12.13%). The volatiles of stage 3 comprised an abundance of (Z)-β-ocimene (64.94%), α-pinene (9.84%), linalool (8.92%), benzaldehyde (1.71%). Leaf volatiles were distinct from those in the reproductive plant parts by their high relative amount of (E)-β-ocimene (23.50%) and (Z)-3-Hexenyl acetate (27.87%). Differences in flower scents of the different stages and leaves are discussed in light of biochemical constraints on volatile chemical synthesis and of the role of flower scent in evolutionary ecology of R. pseudoacacia.

      • KCI등재
      •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한 맞춤형 천연화장품 제조 서비스

        김하경 ( Ha-keyong Kim ),유새연 ( Sae-yeon Yoo ),윤주혜 ( Joo-hye Yoon ),정제원 ( Je-won Ju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7 No.2

        커스터마이징 제품에 대한 니즈가 늘어감에 따라 화장품 시장도 맞춤형 화장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제작 이전의 진단 과정은 제공되지 않아 구매 실패로 이어지는 사례가 많다. 따라서 고객 맞춤 제품을 제작하기에 앞서 전용 진단 기기를 제공하여 셀프 진단 서비스를 구현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피부 진단 기기를 이용하여 피부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 기반의 피부 분석을 통해 사용자에게 맞는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하는 기기를 개발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서비스는 집에서 빠르고 간편하게 본인의 피부를 진단하고 분석된 결과를 참조하여 자신과 가장 적합한 천연화장품을 바로 만들어줌으로써 소비자의 시간·공간적 제약을 없애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