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전통 김치의 다양화 및 세계화를 위한 스페인인의 기호도 조사연구

        이명기 ( Myung Ki Lee ),장대자 ( Dai Ja Jang ),양혜정 ( Hye Jung Yang ),정자경 ( Ja Kyeong Jeong ) 한국식품조리과학회(구.한국조리과학회) 2008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24 No.6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methods of promoting traditional Korean Kimchi globally. To accomplish this, 99 Spanish natives were surveyed for their sensory evaluation and awareness of Kimchi. The results revealed that a relatively high number (46.9%) of the respondents had eaten Korean Kimchi. After eating the Kimchi, women tended to provide a slightly higher overall acceptability than men. Furthermore, when the overall sensory evaluation was conducted, the characteristics of Kimchi that were most recognized were its red color, spicy smell and hot taste. In addition, 93.9%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Korean Kimchi was a suitable food based on its spicy flavor>chewing force>appearance>red color>fermented smell. However, 6.1 percent of the subjects responded that they did not find Kimchi appetizing due to its hot taste>fermented smell>chewing force. Interestingly, the hot taste was a common selection for the reason that individuals liked or disliked Kimchi. When ranked among traditional Spanish foods, Kimchi was reportedly similar to cooked cabbage, cooked bell peppers, cooked red peppers and Moheu ppikan, pickles, Spanish lettuce, chiseutora and oil pickled cheese, or to various vegetables pickled in vinegar.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uld facilitate the globalization of Kimchi. In addi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fundamental data that should assist in the development of a local style of Kimchi for Spain.

      • KCI등재

        인삼가공식품분야 국내외 특허 동향분석

        홍희도(Hee-Do Hong),박헌진(Heon-Jin Park),정자경(Ja-Kyeong Jeong),장대자(Dai-Ja Jang) 고려인삼학회 2008 Journal of Ginseng Research Vol.32 No.2

        본 조사 분석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인삼기술의 주요 출원국가는 한국, 중국, 일본으로 다른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출원건수를 가지고 있다. 전체특허에서 3개 국가의 점유율이 94%를 차지하고 있고, 우선권국가나 출원인국적으로 확인하면 더 많은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리는 중국, 일본의 인삼가공식품분야 연구에 계속 관심을 가지고 지켜봐야 할 것이다. 기술적 측면에서 중국과 일본은 기능성소재 의약품에 이미 많은 특허출원을 하고 있으므로 우리나라가 인삼을 의약품에 응용하기 위해서는 두 국가의 특허내용을 면밀히 파악하여 연구 개발 시 특허에 저촉되지 않도록 회피설계를 하여야 한다. 특히 중국은 2000년대 들어 인삼을 의약품에 적용한 특허출원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으므로 이후의 과제에서는 인삼을 의약품에 적용한 특허에 대해서 상세 특허 로드맵을 작성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중국의 경우 출원빈도수로 보면 개인발명가가 상위에 있지만 전체적으로 출원인을 살펴보면 100여개 이상의 기관과 연구소가 포함되어 있음이 다른 국가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특이한 점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많은 기관과 연구소에서 인삼을 응용한 연구에 참여하고 있음을 볼 때 연구자와 발명자 층이 두터우므로 국가적 차원에서 지원하고 통합될 때 큰 힘을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기술단계를 살펴보면 대체로 출원건수가 계속 증가하고 출원인수도 계속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기술이 성숙단계에 진입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 들어 인삼이 건강에 미치는 효능이 과학적으로 증명되면서 관련 연구가 활발해지고 동양에서만 관심을 가지던 식품이 서양에서도 관심을 가짐으로써 세계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활동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This research entailed collecting foreign and foreign patents on technologies for process food related ginseng, creating category of patent technology searching and conducting quantitative analysis on each technology component and schematization. A technological trend of treating or preventing multiplicity of diseases has reviewed on 6,255 domestic and foreign patents from the year 1975 to 2004. Considering the increasing number of applicant and application of patent on technology of food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in the world around year 2000, it seem that these technology is developing. The related technology seems in the initial stage and common research by related technology research centers, government organization and public corporation becomes active.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