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聽覺障害兒の眼球運動にみられる文章理解の方略に關する硏究 : Analysis of Eye Movements of Children Who are Hearing-Impaired 읽기시의 안구운동 분석에 의한 검토

        鄭仁豪 한국특수아동학회 2003 특수아동교육연구 Vol.5 No.1

        본 연구에서는 청각장애아동을 대상으로 문장읽기시 나타나는 안구운동을 분석하여 청각장애아동의 읽기발달경향과 문장이해를 위한 읽기방략의 특징을 검토하였다. 청각장애아동과 일반아동 4명은 연령 및 언어능력 면에서 동질집단으로 통제되었고, 읽기과제는 이야기 문과 설명문의 2종류가 제시되었으며 읽기과정은 안구운동측정기(竹井機器 Free View型 S-0163)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구체적으로는 1)문장이해력의 발달과정상에 나타나는 안구운동의 변화 2)청각장애아동의 문장이해방략 3)문장 종류의 차이에 따른 청각장애아동 읽기방략의 변환을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 1)문장이해력이 발달함에 따라, 주시점(fixation)과 주시시간(time of fixation)이 감소하며 이에 따라 전체 읽기시간이 줄고, 또한 읽기시의 인지범위(reading span)와 역행운동(regression)이 증가하여 전반적인 이해능력도 향상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정도의 차는 존재하나 청각장애의 유무에 관계없이 나타나는 발달경향으로 추론된다. 또한 2)청각장애아동은 문장을 이해하기 위해 일반아동에 비해 읽기시의 인지범위(reading span)를 비교적 짧게 선택하여 자주 주시(fixation)하는 읽기방략을 활용하였다. 따라서 주시시간 및 문장 전체를 읽는 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경향을 나타내며 이러한 경향은 저학년에서 특히 현저하였다. 저학년에서는 역행운동도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3)문장 종류상에 나타나는 청각장애아동 읽기방략변환을 검토한 결과, 청각장애아동은 보다 추상적이고 논리적인 이해가 필요한 문장을 읽을 때에는 많은 시간을 필요로하며, 문장을 자주 주시(fixation)하기 위해 읽기시의 인지범위(reading span)를 비교적 짧게 선택하며 역행운동(regression)을 반복해 문장을 이해하는 과정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일반아동에게서도 나타나는 현상이나 청각장애 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이러한 경향의 정도가 현저하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문장 이해력이 뛰어난 청각장애아동은 음운(音韻)의 곤란을 극복하기 위해 읽기시를 인지범위(reading span)를 비교적 짧게 선택하여 자주 문장을 주시(fixation)하는 읽기방략을 사용하여 건청아동과 동일한 이해력을 유지하며, 필요에 따라 적절히 읽기방략을 변환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developmental trends and variation of strategy in reading process when children who are hearing-impaired read narrative and explanative sentences.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comparison with hearing children based on the children's eye movements while reading silently.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2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hildren who are congenitally hearing-impaired and 2 hearing children controlled by the similar grade and language ability with hearing-impaired children. Reading time, fixations, fixation time, regressions, reading span, and rate of recall were evaluated in order to analyze the developmental and variable strategy in reading. The children who are hearing-impaired had fewer fixations, fixation times and total reading times and had more readingspan and regressions by the grade-up. These tendencies were identified in the hearing children. Therefore, children who are hearing-impaired utilize short reading span and more fixations for the effective understanding in reading and apply different strategy according to the text contents.

      • KCI등재

        북한방언 연구의 현황과 과제-대비방언학을 중심으로-

        정인호 한국방언학회 2019 방언학 Vol.0 No.30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sults of research on North- Korean dialect from a contrastive-comparative dialectological perspective and to propose future research challenges. The contrastive-comparative dialectology can be divided into dialect- distribution theory and dialect-divergence theory. First, in terms of the dialect- distribution theory, I examine the research results of North-Korean dialects by subdividing them into publications of dialect sourcebook, dialect maps, and dialect divisions. And in terms of dialect-divergence theory, I discuss how the existing research explains the divergence of North-Korean dialects by the detailed topics of phonology, grammar, and vocabulary. And future research challenges are as follows; First, contrastive- comparative dialectological studies on the previously reported data need to be activated. Next, in the face of realistic difficulties in investigating North-Korean dialects,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survey of the dialectal forms of displaced people and overseas Koreans is necessary. Finally, on-site survey of North-Korean dialects is urgently needed. 본고는 북한방언에 대한 연구성과들을 대비방언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앞으로의 연구과제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비방언학은 방언분포론과 방언분화론으로 나뉠 수 있는바, 우선 방언분포론에서는 방언자료집 발간, 방언지도 작성, 방언 구획 등으로 세분하여 북한방언의 연구 성과들을 살펴본다. 그리고 방언분화론에서는 기존 연구가 북한방언의 분화 양상을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지에 대해 음운, 문법, 어휘 분야의 세부주제별로 정리해 본다. 앞으로의 연구과제로서는 먼저 기존에 보고된 자료들에 대한 대비방언학적 연구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북한방언의 조사에 대한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는 상황에서 실향민이나 재외동포의 말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끝으로 궁극적으로는 북한방언에 대한 현지조사가 절실하다.

      • KCI등재

        현대국어 母音 ‘어’의 音價 고찰

        정인호 한국방언학회 2015 방언학 Vol.0 No.22

        This paper aims to study on the phonetic values of ‘어’ in the modern Korean dialects from two points of view. Until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e phonetic value of ‘어’ at the Seoul dialect was investigated by many missionaries and scholars. As a result of these investigation, ‘어’ had two phonetic values according to its length. ⓐ long ‘어’ : neutral half-close vowel [ɘ] ⓑ short ‘어’ : back half-open vowel [ʌ] or [ɔ] The phonetic values of change differently according to dialec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ong ‘어’ is experienced high-vowelization(/ə/>/ɨ/) only at the Central dialect. Secondly, in the case of a word-initial short ‘어’, phonetic vowel-falling([ə]>[ɜ]) happens first at the Pyeongan dialect and spreads to Central dialect. Finally, the other short ‘어’, throughout the dialect as a whole, is pronounced as [ə]. 이 논문은 현대국어 방언들에서 실현되는 ‘어’의 음가에 대해 두 가지 측면에서 알아본다. 먼저, 서울말의 음가에 대해서 20세기 전반기까지 어떠한 기술이 있었는지를연구사적인 관점에서 검토해 본다. 서울말 ‘어’의 음가에 대해서는 서양인 선교사들을 비롯하여 여러 학자들이 언급하고 있는데 요약하면 서울말의 ‘어’는 음장에 따라 두 가지 음가를 가진다. ㉮ 장음 ‘어’ : 중설반폐모음 [ɘ] ㉯ 단음 ‘어’ : 후설반개모음 [ʌ] 또는 [ɔ] 다음으로, ‘어’의 음가에 대하여 방언학적으로 고찰한다. 첫째, 장음 ‘어’는 중부방언만이 ‘어>으’의 고모음화를 경험한다. 둘째, 어두의 단음 ‘어’는 평안방언에서‘[ə]>[ɜ]’의 모음하강이라는 개신이 시작되어 중부방언으로 전파가 이루어진다. 셋째, 비어두의 단음 ‘어’는 전 방언을 통틀어 [ə]로 실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 KCI등재

        ‘하-’ 관련 어형들의 方言史

        정인호 한국방언학회 2022 방언학 Vol.- No.36

        이 논문의 목적은 음운론적인 현상과 형태론적인 현상으로 나누어‘하-’와 관련된 어형들에 대하여 방언학적인 검토를 진행하는 것이다. 먼저, ‘하-’와 관련된 어형들의 방언음운사를 살펴본다. 첫째, ‘’는 크게 ‘하’와 ‘허’로 분화하는데, 이 변화는 별개의 방언이 아니라 한 방언 안에서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이 ‘하’와 ‘허’ 사이에 일어난 경쟁의 결과가 현재의 방언 분포 상태를 말해 준다. 둘째, ‘하-아’는 ‘하야>해아, 허여>헤어’의 변화를 거쳐 ‘애아, 에어’의 ‘아/어’가 탈락하느냐, ‘애/에’가 반모음화하느냐에 따라 ‘해, (헤) ; 햐, 혀’의 방언 분화를 보인다. 그리고 ‘하-아X’도‘하야X>해아X, 허여X>헤어X’의 변화를 거쳐 주로‘애아, 에어’의‘아/어’ 가 탈락하는 변화를 겪어 ‘해X, 헤X(>히X)’의 방언 분화를 보인다. 다음으로, ‘하-’와 관련된 어형들의 방언형태사를 살펴본다. 첫째, ‘무성말음어근+하다’의 경우에는 ‘같-’를 제외하면 대체로 본디형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그런데 ‘같-’의 경우에도 모음어미(-아서)가 결합할 때에는꽤 넓은 방언에서 여전히 ‘하-’의 불규칙 활용을 고수하고 있다. 둘째, ‘유성말음어근+하다’의 경우에는 어간의 재구조화 여부에 따라 방언 분화가 이루어진다. 특히 전남방언을 중심으로 본디형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매우강하다.

      • KCI등재
      • KCI등재

        딥러닝 기반 후두부 질환 내시경 영상판독 보조기술 개발

        정인호,황영준,성의숙,남경원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22 의공학회지 Vol.43 No.2

        To propose a deep learning-based clinical decision support technique for laryngeal disease on epiglottis, tongue and vocal cord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873 laryngeal endoscopic images were acquired from the PACS database of Pusan N ational University Yangsan Hospital. and VGG16 model was applied with transfer learning and fine-tuning. Results: The values of precision, recall, accuracy and F1-score for test dataset were 0.94, 0.97, 0.95 and 0.95 for epiglottis images, 0.91, 1.00, 0.95 and 0.95 for tongue images, and 0.90, 0.64, 0.73 and 0.75 for vocal cord images, respectively. Conclusion: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proposed model have a potential as a tool for decision-supporting of otolaryngologist during manual inspection of laryngeal endoscopic images.

      • KCI등재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Graphene/Molecule/Graphene Vertical Junctions with Aryl Alkane Monolayers

        정인호,송현욱 한국물리학회 2017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71 No.10

        In this study, we fabricated and characterized graphene/molecule/graphene (GMG) vertical junctions with aryl alkane monolayers. The constituent molecules were chemically self-assembled via electrophilic diazonium reactions into a monolayer on the graphene bottom electrode, while the other end physically contacted the graphene top electrode. A full understanding of the transport properties of molecular junctions is a key step in the realization of molecular-scale electronic devices and requires detailed microscopic characterization of the junction’s active region. Using a multiprobe approach combining a variety of transport techniques, we elucidated the transport mechanisms and electronic structure of the GMG junctions, including temperature- and length-variable transport measurements, and transition voltage spectroscopy. These results provide criteria to establish a valid molecular junction and to determine the most probable transport characteristics of the GMG jun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