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한국산 종개(Nemacheilus toni)염색체 구성과 특징과 변이

        정은경,이혜영,지관자 한국유전학회 1990 Genes & Genomics Vol.12 No.3

        Somatic chromosomes of Nemacheilinae loach (Nemacheilus toni) were analysed by using conventional Giemsa, C-banding and NORs staining methods. The distribution of constitutive heterochromatin was restricted in centromeric regions. The 5th chromosome pair was heteromorphic because of the difference in NORs size. There was intraindividual variation that was due to tandem fusion between the different chromosome pairs in Kosong population. Also the NORs site of the chromosme in the population which was presented in monoarmed chromosome while the others were showed in submetacentric chromosome.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specimens from Kosong population were considered to be different species, but intraindividual chromosomal variation was supposed to be a mosaicism.

      • KCI우수등재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도덕적 기반 질문지 적용에 대한 연구

        정은경,박상혁,이수란,손영우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30 No.3

        The moral foundations questionnaire developed based on the moral foundations theory (Haidt & Joseph, 2004) was validated in the western culture. However, it is equivocal wether the foundations are applicable in Korean culture since the moral foundations vary across cultures. Therefore, this study, undertaken with Korean adults (N = 327, Mage = 35.83), validated the moral foundations questionnaire using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The results of factor analyses yielded a 11-item questionnaire with three factors (respecting group norms, harm/care, and fairness/reciprocity) compared to five factors (harm/care, fairness/reciprocity, authority/respect, in-group/loyalty, and purity/sanctity) of original version.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es, with measures of value orientations and political inclination, partially supported both the convergent and criterion-related validities of the Korean moral foundations questionnaire. Based on this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Haidt와 Joseph(2004)이 제시한 도덕적 기반 이론(Moral Foundations Theory)에 근거하여 개발된 도덕적 기반 질문지는 서구권에서는 그 타당성이 입증되었다. 한국인을 대상으로 도덕적 기반 이론을 적용한 연구들에서는 부분적 혹은 단편적으로는 그 타당성이 지지되었으나 도덕적 기반 질문지의 타당성은 아직까지 검증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는 대학생 집단 뿐 아니라 20대∼50대 한국인을 대상으로 도덕적 기반 질문지가 한국사회에도 타당하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성인 327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하위 척도 중 하나인 도덕적 판단 척도는 유의미한 요인구조를 전혀 도출하지 못하였다. 도덕적 관련성 척도는 원저자들의 5요인 모델이 아닌 3요인 모델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요인은 집단규범존중, 공정성, 위해라고 명명되었다. 도덕적 관련성 척도와 정치성 성향과의 관계에서는 집단규범존중과 공정성만이 정치성성향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연구 결과에 대한 함의점과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진보와 보수의 도덕적 가치 판단의 차이: 간통죄를 중심으로

        정은경,손영우 한국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0 No.3

        This research examines which moral foundations liberals and conservatives use when they make moral judgments of social issues. Moral foundations theory (Haidt & Joseph, 2004) suggests three moral foundations, authority/respect, ingroup/loyalty, purity/sanctity in addition to harm/care and fairness/ reciprocity which have been focused in western society. To test moral foundation theory based especially on the three additional moral domains, we elicited and analyzed liberals' and conservatives' schemata for adultery. In Study 1, we found 12 moral elements for adultery through group and individual interviews. In Study 2, we analyzed liberals' and conservatives' moral schema networks for adultery. Social network analysis showed that conservatives' moral network was larger and denser than liberals'. In addition, liberals judged adultery on the basis of the ethics of autonomy (freedom) and thought that consequential values of adultery (family, children, law) were highly relevant with adultery. By contrast, conservatives used more purity-related factors (e.g., sin, obscene) than liberals and thought that deontological values (disloyal, betray) were highly relevant with adultery. These findings suggest moral foundations theory can be also valid in Korean society. 본 연구는 진보와 보수가 사회적인 이슈에 대한 도덕적 판단을 할 때 어떤 도덕적 기반을 사용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도덕적 기반이론(Haidt & Joseph, 2004)은 기존의 도덕성이 서구사회가 중시하는 손상과 공평성 영역에 집중되어 있었음을 지적하고 다양한 문화에 존재하는 내집단, 권위, 순수함의 가치를 추가하여 총 5개의 도덕적 영역이 있다고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손상과 공평성 영역 이외에 도덕적 기반이론이 제시하는 내집단, 순수함, 권위 등이 포함되어 있는 간통죄를 판단할 때 진보와 보수가 어떤 도덕적 기반을 사용하는지를 사회연결망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 1에서는 그룹 및 개인 인터뷰를 통해 간통을 판단할 때 사용하는 개념 12개를 추출하였다. 연구 2에서는 진보와 보수의 성향이 비교적 뚜렷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연구 1에서 추출된 개념들에 대한 관계성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사회연결망분석을 통해 간통에 대한 도덕적 판단 네트워크를 추출하였다. 연구 결과, 보수가 진보보다 유의미하게 큰 네트워크와 밀도를 보여 보수가 진보보다 더 많은 도덕적 개념을 사용하여 간통을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진보는 개인적 자유라는 자율성의 윤리를 바탕으로 간통을 평가하였으며 간통의 결과로 나타나는 가정과 자녀, 법률을 간통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항목으로 꼽았다. 반면 보수는 진보에 비해 순수함과 관련된 항목을 유의미하게 많이 사용하였으며, 결과적인 측면보다는 불성실, 배신, 죄, 음란함 등과 같은 가치적인 항목이 더 간통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도덕적 기반 이론이 한국 사회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음악교과서의 해금 내용 고찰

        정은경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5 국악교육연구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해금 관련 내용들을 고찰해 보는 것이다. 이에 따른 연구 범위는 2014년부터 사용하고 있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음악교과서로 그것은 10종의 음악과 생활 교과서와 3종의 음악과 진로 교과서의 총 13종이며, 연구 내용과 방법은 첫째, 음악과 교육과정의 해금 관련 내용들을 살펴보고, 둘째, 음악교과서의 해금 내용 수록 현황을 살펴보며, 셋째, 해금과 관련된 지도내용 및 학습활동을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내용 체계 및 영역별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 하에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음악과 생활과 음악과 진로, 총 13종의 고등학교 음악교과서 모두 해금에 대한 내용을 수록하고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과서에서는 심도 있게 해금에 대한 내용을 다루기보다는 사진을 수록하는 정도가 주를 이루었다. 둘째, 음악교과서에 제시된 해금 관련 학습활동을 보면, 대부분 해금이 포함된 악기 편성을 알아보는 활동이 가장 많았으며, 이와 관련된 악곡으로는 정악곡에서는 영산회상, 종묘 제례악, 가곡, 수제천 등을 가장 많이 소개하고 있고, 민속악에서는 시나위와 산조를, 창작곡에서는 ‘그 저녁 무렵부터 새벽이 오기까지’의 곡을 수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해금의 영역별 지도내용 및 학습활동을 살펴보면, 음악과 생활 교과서의 두 가지 내용 체계 가운데 대부분 10종 교과서에서는 음악적 표현과 소통 영역에 대한 내용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문화적 산물로서의 음악 영역에 대한 내용은 10종 모두 거의 다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마찬가지로 음악과 진로 교과서의 두 가지 내용 체계 중 3종의 교과서 모두 음악의 경험과 현장 영역에 대한 내용보다는 음악의 진로와 특성 영역에 대한 내용을 비중 있게 다루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알 수 있는 것은, 고등학교 음악교과서 체제가 검정교과서에서 인정교과서로 바뀌면서 교육과정에서 명시하고 있는 전 영역의 내용을 골고루 모두 다 엄격히 준수하지 않는 교과서도 있으며 또한, 해금에 대한 내용뿐만 아니라 국악의 비중도 출판사마다 그 비율의 차이가 매우 크고, 집필진에 따라 국악의 내용이 거의 다루어지지 않는 교과서가 있어 학습자들에게 다양한 음악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줄 수 없어 아쉬움이 남는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새로운 교육과정에 의한 교과서가 제작될 때, 바람직한 국악교육의 방향에 대한 여러 가지 시사점을 줄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This research aims at examining the contents related to Haegeum included in high school music textbooks following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In accordance with the goal, the scope of research covers 13 kinds of high school music textbooks in total following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9 applied since 2014. As for the research contents and methods, first, the substance relevant to Haegeum of, music curriculum was investigated, second, the current state of the contents about Haegeum in the music textbooks were studied, and third, the guidance and learning activities in relation to Haegeum were analyzed in the content systems suggested in the curriculum and each category. With these research goal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l the 13 kinds of high school music textbooks of music and life and music and career included contents relevant to Haegeum. Yet, most of the textbooks just had its pictures rather than deal with it in depth. Second, with regard to the learning activities related to Haegeum suggested in the music textbooks, almost all of them were about the formation of instruments including Haegeum. As for the music relevant to it, Yeongsanhoeisang(the Vulture Peak Assembly), Jongmyo Jereak(royal ancestral rites music), songs, Sujecheon and etc. were being most frequently introduced in case of traditional classical music, Sinawi and Sanjo in case of folk music, and 'Since around the evening till dawn comes' in case of created songs. Third, regarding to the teaching subjects and learning activities of each area of Haegeum, in the system of the two contents of music and daily music textbooks, musical expressions and communication accounted for the biggest part in the 10 kinds of the textbooks, while music as the cultural outcome was being rarely mentioned about in all the 10 textbooks. As for the two contents system of music and career music textbooks, all the 3 kinds of textbooks were proved to cover music and career and characteristics with more emphasis on than experiences of music and field area.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found out that as the high school music textbook system changed from authorized textbooks to recognized ones, some textbooks of certain publishing companies were not strictly abiding by the contents of all areas clearly stated in the curriculum.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the rate of the contents not only about Haegeum but also about Korean classical music was big among publishing companies. It's a pity that there were some textbooks where Korean music was scarcely covered depending on their writing staff, which failed to give learners the opportunities to learn various kinds of music. Therefore,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give different implications about the desirable direction for the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hen a textbook is developed following a new curriculum in the future.

      • KCI등재

        진보와 보수의 도덕적 가치 판단의 차이: 용산재개발사건을 중심으로

        정은경,정혜승,손영우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5 No.4

        도덕적 기반이론(Haidt & Joseph, 2004)은 도덕에 대한 기존의 정의가 서구중심적 가치에 기초하고 있으며, 손상과 공평성 뿐 아니라 권위, 내집단, 순수함이라는 가치 또한 도덕적 영역에 포함되어야함을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는 5개 도덕적 기반의 차이에서 진보와 보수가 다른 입장을 취하게 된다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었던 용산재개발사건을 판단할 때 진보와 보수가 실제로 서로 다른 도덕적 기반을 사용하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 1에서는 개인 및 집단 인터뷰를 통해 용산재개발사건을 판단할 때 사람들이 주로 사용하는 개념 14개를 추출하였다. 연구 2에서는 사회연결망분석을 통해 진보와 보수의 스키마 차이를 살펴보았다. 정치적 이념 성향이 뚜렷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연구 1에서 추출된 개념들에 대한 관계성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이후 진보와 보수의 도덕적 판단 네트워크를 도출하였다. 예상대로, 진보가 보수보다 유의미하게 큰 네트워크를 보였으며 진보의 네트워크에는 손상과 공평성과 관련된 도덕적 개념들이, 보수의 네트워크에는 권위와 관련된 도덕적 개념이 더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도적적 기반이론이 제시하듯이 진보는 손상과 공평성이라는 개인적 가치를, 보수는 권위라는 결속적 가치를 더 많이 사용하여 판단을 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에 대한 함의점이 논의되었다. Moral foundations theory(Haidt & Joseph, 2004) suggests that morality include authority/respect, ingoup/loyalty,purity/sanctity as well as harm/care and fairness/reciprocity and explains that there are disparities between liberals and conservatives among those moral found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imed to explore that liberals and conservatives make decisions with different moral foundations on controversial social event, Yong-san tragedy. After conducting individual and group interviews, study 1 identified 14 concepts related with Yong-san tragedy(justice, unequal, harm, protect, safety, rights, brutal, obedience, order, illegal, control, development capital,left-wing, Yong-san tragedy). In Study 2, social network analysis reveals liberals possess larger and more complicated schema than conservatives. Moreover, whereas liberals’ schema included more concepts belonging to individualizing foundations(harm and fairness) than conservatives’ schema, conservatives’ schema included more concepts belonging to binding foundation(authority). Implications are discussed.

      • 전통음악 해석의 유형론 -전통음악 해석의 새로운 틀의 모색을 위한 시론-

        정은경 낭만음악사 2005 낭만음악 Vol.17 No.4

        본 연구는 한국 전통음악의 해석에서 기존의 방식을 탈피하고 새로운 방식을 도입하여 수행하려는 시론적 성격을 갖는다. 본 연구는 특히, 우리의 전통음악을 크게 정악과 민속악으로 나누고, 각각의 음악에 대한 사회․문화적 배경과 사상을 중심으로 그 음악적 특징을 부각하려고 노력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음악의 보편성의 토대 위에서 니체(F. Nietzsche, 1844-1900)가 서양 고대 그리스 문화의 두 주춧돌로 파악한 아폴론적인 것과 디오니소스적인 것을 우리 전통음악의 해석 틀로 적용하였다. 이러한 해석 틀을 적용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1) 음악과 해석의 연관성을 살펴보았고, 2) 음악해석의 유형론에 대한 논의를 음악해석의 기본 패러다임과 전통음악의 해석 유형을 중심으로 전개하였으며, 3) 이로부터 음악세계의 보편성을 도출하였다. 4) 그리고 이러한 음악의 보편성은 특히, 음악과 시대 그리고 음악과 교육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는데, 이것은 전통음악을 새롭게 해석할 수 있는 시대적 환경의 변화에 대한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전통음악의 국제화 및 세계화라는 추세에서 전통음악을 서구문화의 해석 틀을 통해 고찰함으로써, 예술(음악)정신의 보편성의 기반 위에 전통음악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며, 이러한 노력 속에서 전통음악의 양적․질적 발전이 이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2010년대 여성담론과 그 적들 —‘돌봄’의 횡단과 아줌마 페미니즘을 위하여

        정은경 대중서사학회 2018 대중서사연구 Vol.24 No.2

        본고는 90년대 여성문학이 성취한 탈낭만화 이후의 여성담론을 살펴보고, 돌봄의 젠더평등에 대해 고찰하였다. 2010년대 여성담론은 정체성 정치, 여성 혐오, 정치적 올바름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왔다. 그러나 과잉된 ‘여성성’ 논의와 ‘차이의 정치학’은 젠더불평등의 2차원적 문제 중 인정투쟁에 편중한 것이고, 상대적으로 분배문제를 간과해왔다. 본고는 경제적 불평등과 성별노동에 초점을 맞춰 여성의 일과 가사노동, 돌봄의 문제에 대해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조남주의 <82년생 김지영>의 여성 혐오와 ‘맘충’이라는 비하에는 가정과 ‘엄마’의 영역에 침범한 자본주의적 발상의 실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가사와 돌봄’을 둘러싼 심각한 젠더 부정의에 대해 이의제기하고 있다. 낸시 프레이저는 신자유주의 레짐이 사회복지 투자를 철회하고 여성 인력을 유급노동화함으로써 심각한 돌봄공백을 가져왔다고 비판하고 있다. 낸시 프레이저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 3가지를 언급한 바 있다. 보편적 생계부양자 모델, 동등한 돌봄제공자 모델, 보편적 돌봄제공자 모델이 그것이다. 이 중 첫 번째는 남성을 보편화하고 있고, 두 번째는 여전히 차이를 재생산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고 지적하면서 모든 사람을 ‘돌봄’의 주체, 즉 여성으로 상정하는 세 번째 방안을 적극 제시한다. 김혜진의 <딸에 대하여>에서 동성애 커플과 치매노인을 돌보는 여성 화자는 낸시 프레이저의 세 번째 대안의 의미심장한 실현일 수 있다. ‘나’와 딸의 동성커플은 ‘돌봄공동체’로 연대하면서 혈연가족이데올로기와 동성애 혐오를 횡단하고 동시에, 보편적 돌봄 제공자 모델을 체현하고 있다. 2010년대 이후 여성담론은 인정투쟁과 분배투쟁을 동시에 고려하면서 남성과 화해롭게 공존할 수 있는 페미니즘에 대해 궁구해야 한다.

      • KCI등재

        도적, 식민지인의 영웅: 홍명희의 『임꺽정』을 중심으로

        정은경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2 한국문학연구 Vol.- No.68

        This paper examines the popular sensibility embedded in the popularity of Hong Myeong-hee's novel Im Kkeokjeong, focusing on ‘thief’ and ‘colonial hero’. The popularity of Im Kkeok-jeong is firstly because this novel was created based on motifs such as storytelling format, folktales, and legends that are familiar to the traditional readers who still enjoy the old-fashioned novels. Second, it is because it accepted the righteous motif of 'The Story of Hong Gil-dong', enjoyed by the public for a long time, and at the same time presented Lim Kkeok-jeong's gang riot as an allegory for counter-violence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This means that any violence that was illegal during the colonial period would soon lead to an armed struggle for independence. The heroic acts of the independence fighters and martyrs against the Japanese colonial rule were called “terrorists,” “national criminals,” “bombers,” “conspirators,” and “heavy criminals,” and were condemned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Hong Myeong-hee, who had no choice but to have anti-Japanese consciousness through his father's suicide, indirectly denounces the injustice of Japanese colonial rule through Im Kkeok-jeong, and suggests the legitimacy of armed struggle as counter-violence. Almost all of the six brothers who formed siblings with Lim Kkeok-jeong in Im Kkeok-jeong are composed of lower-class people who are persecuted by the ruling class. The ‘robbery’ of those belonging to the marginalized class in the feudal status system, such as butchers, servants, salt merchants, and child of a concubine, usually targeted at corrupt officials and regional power. Also, Im Kkeok-jeong's heroism is most vividly depicted in the battle against the government army. The heroism of 'thieves' highlighted in Im Kkeok-jeong can be said to be a piece of popular sentiment that dreams of uprising and rebellion against the Japanese colonial rule, which monopolized all armed forces. 본고는 홍명희의 대하소설 『임꺽정』의 인기에 내포되어 있는 대중감성을 ‘도적’과 ‘식민지 영웅’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임꺽정』의 인기는 첫째, 이 소설이 여전히 고소설류를 향유하고 있는 전통적 독자층에게 익숙한 강담식, 설화, 전설 등의 모티브 등을 바탕으로 창작되었기 때문이다. 둘째, 오랫동안 대중이 즐겼던 『홍길동전』의 의적 모티프를 수용하였고, 동시에 임꺽정 화적패를 일제에 맞서는 대항폭력에 대한 알레고리로서 제시했기 때문이다. 이는 식민지 시기 일체 불법화된 폭력이 곧 독립무장항쟁과 이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제에 맞선 독립투사, 열사의 영웅적 행위는 당시 조선 내에서는 ‘테러리스트’, ‘국사범’, ‘폭탄범’, ‘음모단’, ‘흉악범’ 등으로 불렸으며 일제 법질서에 의해 단죄되었다. 부친의 자결을 통해 항일의식을 지닐 수밖에 없었던 홍명희는 『임꺽정』을 통해 간접적으로 일제 강점의 부당성을 고발하고 이에 대한 대항폭력으로서의 무혈투쟁의 정당성을 제시하고 있다. 『임꺽정』의 임꺽정과 의형제를 맺은 6형제는 거의 모두 지배층으로부터 핍박받는 하층민들로 구성되어 있다. 백정, 머슴, 관노, 소금장수, 서자 등 봉건적 신분제도에서 소외된 계층에 속하는 이들의 ‘도적질’은 대개 탐관오리와 토호세력을 대상으로 한 것이며, 또한 임꺽정의 영웅성은 관군과의 전투에서 가장 생동감있게 그려진다. 『임꺽정』에서 부각되는 ‘도적’의 영웅주의는 일체의 무력을 독점한 일제에 대한 봉기와 반란을 꿈꾸는 대중감성의 한 편린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P300-기반 유죄지식검사의 탐지정확률 비교: 부트스트랩 방법을 중심으로

        정은경,김영윤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5 No.1

        We compared detection accuracies of P300-based guilty knowledge test based on 2 bootstrap approaches: bootstrapped correlation difference (BCD) and bootstrapped amplitude difference (BAD). Event-related potential data of the guilty group (n=12) and the innocent group (n=12) in Kang and Kim(2010)'s study were subjected to bootstrap analysis. P300 amplitude from all single sweeps of each of target, probe, and irrelevant stimulus at the parietal midline (Pz) or the frontal midline (Fz) electrode site was collected for each participant. Target stimulus is relevant to the experimental task, but not related to the crime. Participants were asked to discriminate the target stimulus from other stimuli. Probe stimulus includes the critical information of the crime, the guilty knowledge, thus guilty participants are supposed to pay attention to it compared to irrelevant stimulus. Irrelevant stimulus is not relevant to the crime and the task. Two different bootstrap analysis were applied to determine individual's guilt or innocence. BCD method estimated double-centered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average of target and probe sweeps, and between the average of probe and irrelevant sweeps for a participant. If the former are greater than the latter in 600 trials out of 1,000 bootstrap iterations, the participant is regarded as guilty. BAD method estimated amplitude difference between probe and irrelevant sweeps, and if the difference is positive, the participant is found to be guilty. As a result, BCD method outperformed BAD method. The detection accuracies, without indeterminacy, of BCD and BAD were up to 80.0%, 56.5%, respectively. It seems that BCD method is more appropriate to determine individual's guilt or innocence, and to get high detection accuracy of the guilty knowledge test using event-related potentials. 본 연구는 상관부트스트랩(bootstrapped correlation difference, BCD)법과 진폭부트스트랩(bootstrapped amplitude difference, BAD)법을 이용하여 P300-기반 유죄지식검사의 탐지정확률을 도출하고 이를 비교하였다. 강기영과 김영윤(2010)의 연구에서 유죄집단과 무죄집단으로 분류된 총 24명의 피험자들의 사건관련전위 데이터를 이용하여 부트스트랩 분석을 수행하였다. 개개 피험자들의 세 가지 자극 유형(목표자극, 탐침자극, 무관련자극)에 대한 두정중심영역(Pz) 혹은 전두중심영역(Fz)에서의 모든 시행의 사건관련전위 진폭값이 분석에 이용되었다. 목표자극은 유죄지식을 포함하지 않는 실험과제와 관련된 자극으로, 모든 피험자는 실험과제에서 목표자극과 목표자극이 아닌 자극을 분류하도록 지시받았다. 탐침자극은 유죄지식을 포함한 자극으로, 무관련자극은 유죄지식을 포함하지 않는 실험과제와 관련이 없는 자극으로 구성되었다. 부트스트랩 분석은 BCD법과 BAD법으로 나뉘어 실시하였다. BCD법은 목표자극과 탐침자극의 사건관련전위 사이의 상관이 탐침자극과 무관련자극의 사건관련전위 사이의 상관보다 큰지를 계산하는 방법이며, BAD법은 탐침자극의 P300 진폭이 무관련자극의 P300 진폭보다 큰지를 계산하여 한 피험자의 유/무죄 여부를 가려내는 방법이다. 부트스트랩 분석 결과 판정불능을 제외한 BCD법의 탐지정확률은 최대 80.0%, 판정불능을 제외한 BAD법의 탐지정확률은 최대 56.5%로 BCD법의 탐지정확률이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탐지정확률을 계산하는 방법 중 BAD법보다 BCD법이 더 효율적인 방법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