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체 계측 특성 및 식사습관에 따른 노인여성에서 당뇨병 및 공복혈당장애의 유병률

        김철식(Chul-Sik Kim),정은경(Eun-Kyong Jeong),박진아(Jina Park),조민호(Min Ho Cho),박종숙(Jong-Suk Park),남주영(Joo-Young Nam),김똘미(Dol-Mi Kim),안철우(Chul-Woo Ahn),차봉수(Bong-Soo Cha),임승길(Sung-Kil Lim),김경래(Kyung-Rae Kim),이현철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04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5 No.4

        연구배경: 본 연구는 국민건강 영양조사자료(1998)를 토대로 노인여성에서 당뇨병과 공복혈당장애의 유병률을 추정하고, 우리나라 국민들의 식사습관 및 과일섭취량을 조사함과 동시에, 식사습관 및 과일 등의 식품섭취량이 노인여성에서 당뇨병 및 공복혈당장애의 유병률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1998년 11월 1일에서 12월 30일까지 시행된 국민건강 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조사는 전국을 대표하는 12,189가구의 전체 가구원 39,331명 중 건강검진을 실시한 20세 이상의 인구 7,962명과 식품섭취조사를 실시한 11,267명 중 20세 이상의 인구 8,166명 중에서 여성인구 3,47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당뇨병과 공복혈당장애 유병률은 전체 자료에서 남․녀 모두에서 연령이 많을수록 높았고, 남성의 유병률이 여성보다 높았다. 공복혈당을 기준으로 분석한 당뇨병 유병률은 여성은 60~69세 군의 유병률이 15.92%로 가장 높았고, 남성은 50~59세 군에서 18.21%로 가장 높았으며, 공복혈당장애의 유병률은 여성은 70세 이상 군에서 19.87%로 가장 높았고, 남성은 60~69세 군에서 16.53%로 가장 높았다. 2) 식품섭취 및 식사습관과 당뇨병 및 공복혈당장애의 관계를 분석한 여성을 대상으로 다시 세부분석을 시행한 결과, 여성에서 당류섭취량이 증가하면 당뇨병의 위험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결과가 해석되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3) 공복혈당이 126 mg/dl 이상을 당뇨병 군으로 정의하였을 때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중성지방, 고혈압이었으며, 공복혈당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여성은 연령, 중성지방이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단면적 연구설계의 제한점으로 식사습관의 당뇨병 및 공복혈당장애와의 통계적 유의성을 밝히지 못하였으나, 최근 들어 국내 노인여성에서 당뇨병 유병률의 증가와 함께 결식이나 과식을 하는 경향이 많고 과일의 섭취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므로, 전향적 코호트 연구에 기반하여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 This study is based on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Korea (1998). By analyzing the data, we were able to predict the prevalence of diabetes mellitus (DM) and impaired fasting glucose (IFG) in elderly women in Korea, and by investigating their dietary habits and amount of fruit intake, we have tried to establish a relationship between those factors and the prevalence of DM and IFG in elderly women. Methods: The study is comprised of data collected from November 1 to December 30, 1998 in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Korea. Among 39,331 family members of 12,189 families across the country, 7962 persons aged over 20, who have undergone medical examination, were taken into the study. Also, from 11,267 subjects who have participated in our surveys on dietary habits, 3,472 females, aged over 20, were included in the study. Resul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prevalence of DM and IFG correlated well with the age of subjects in both males and females, and the higher prevalence was observed in males. The prevalence of DM was highest in a group consisting of subjects aged between 60 and 69 years in females with 15.92%, and in a group aged between 50 and 59 years in males with 18.21%. 2)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eating habits and DM or IFG in females was analyzed, an increased amount of glucose intake seemed to be in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risk of developing DM, but thi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3) When considering a fasting glucose level of 126 mg/dl or higher as the diagnostic point for DM, age, triglyceride, and hypertension had significant effects in the development DM, while age and triglyceride were risk factors for developing IFG in females. Conlusion: Although this study had not made to demonstrate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habits and DM or IFG due to its limited study design, 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ed prevalence of DM in elderly women in Korea along with the increased amount of glucose intake and overeating incidence. Therefore, an organized, anterograde cohort study will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to better understand their relatio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