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장암 환자의 골반 방사선치료에서 벨리보드 하위 경계 위치 변화의 영향

        윤홍인(Hong In Yoon),정윤선(Yoonsun Chung),김주호(Joo Ho Kim),박효국(Hyo Kuk Park),이상규(Sang Kyu Lee),김영석(Young Suk Kim),최윤선(Yunseon Choi),김미선(Misun Kim),이하윤(Hayoon Lee),장지석(Jeesuk Chang),차혜정(Hyejung Cha),성진실(Jins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1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8 No.4

        목 적: 방광압박도구(bladder compression device) 추가에 따른 벨리보드(belly board) 하위 경계의 위치 변화에 따라 조사체적(irradiated volume) 내의 각 장기의 체적 차이 및 선량체적히스토그람을 분석하여 벨리보드의 하위 경계의 위치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5월부터 2010년 9월까지 직장암으로 수술 전이나 후에 방사선치료를 위해 벨리보드만 사용하여 전산화 단층촬영을 시행한 경우와 방광압박도구를 추가하여 전산화 단층촬영을 재 시행한 1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의 중앙나이는 64세(범위, 45∼75세)로 조직학적으로 선암 진단을 받고, 수술 전 혹은 후에 동시항암화학방사선요법을 시행받았다. 방광압박도구 사용 전후 각 체적과 조사체적비의 평균비교 및 복강과 골반강의 조사체적의 합과 소장의 체적비와 방광의 체적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 방광압박도구 추가 후 벨리보드 하위 경계는 치골결합 부위에서 허리엉치관절 부위 상방으로 올라갔다. 방광압박도구 사용 후 소장의 조사체적은 174.3±89.5 mL로 사용 전 조사체적 373.3±145.0 mL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p=0.001), 복부골반강(abdominopelvic cavity)의 조사체적도 사용 전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1,282.6±218.7 mL vs. 1,571.9±158 mL, p<0.001). 방광압박도구 사용 전과 후의 치료체적 안의 방광 체적은 사용 후가 전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222.9±117.9 mL vs. 153.7±95.5 mL, p<0.001). 방광압박도구 사용 후 복부골반강 대 방광의 조사체적비는 33.5±14.7%로 사용 전 조사체적비인 27.5±13.1%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고(<0.001),복부골반강 대 소장의 조사체적비는 방광압박도구 사용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13.9±7.6% vs. 24.2±10.2%, p<0.001). 결 론: 방광압박도구를 추가함으로 인해 벨리보드의 하위 경계를 허리엉치관절 부위 상방으로 올리는 것이 복부골반강 내 방광의 체적을 증가시켜 소장의 조사체적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location changes in the inferior border of the belly board (BB) aperture by adding a bladder compression device (BCD). Materials and Methods: We respectively reviewed data from 10 rectal cancer patients with a median age 64 years (range, 45∼75) and who underwent computed tomography (CT) simulation with the use of BB to receive pelvic radiotherapy between May and September 2010. A CT simulation was again performed with the addition of BCD since small bowel (SB) within the irradiated volume limited boost irradiation of 5.4 Gy using the cone down technique after 45 Gy. The addition of BCD made the inferior border of BB move from symphysis pubis to the lumbosacral junction (LSJ). Results: Following the addition of BCD, the irradiated volumes of SB and the abdominopelvic cavity (APC) significantly decreased (174.3±89.5 mL vs. 373.3±145.0 mL, p=0.001, 1282.6±218.7 mL vs. 1571.9±158 mL, p<0.001, respectively). Bladder volume within the treated volume increased with BCD (222.9±117.9 mL vs. 153.7±95.5 mL, p<0.001). The ratio of irradiated bladder volume to APC volume with BCD (33.5±14.7%) increased considerably compared to patients without a BCD (27.5±13.1%) (p<0.001), and the ratio of irradiated SB to APC volume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BCD (13.9±7.6% vs. 24.2±10.2%, p<0.001). The ratios of the irradiated SB volumeand irradiated bladder volume to APC volume negatively correlated (p=0.001).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addition of BCD, which made the inferior border of BB move up to the LSJ, increased the ratio of the bladder to APC volume and as a result, decreased the irradiated volume of SB.

      • 좌측 유방암 환자의 방사선 치료 시 환자자세에 따른 반대편 유방의 산란선량 측정

        주찬성,박수연,김종식,최병기,정윤선,박원,Joo, Chan Seong,Park, Su Yeon,Kim, JongSik,Choi, Byeong Gi,Chung, Yoonsun,Park, Won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15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27 No.2

        목 적 : 좌측 유방암 환자의 방사선 치료 시 바로 누운 자세 및 엎드린 자세 에 따른 환자 자세변화 시 발생하는 반대편 유방의 산란선량을 사방향 조사방법에 따라 측정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Human Phantom (Anderson Rando Phantom. USA)을 대상으로 실제 좌측 유방암 환자로 가정한 후, Supine용 Breast Board와 본원에서 주문 제작된 Prone Breast Board를 이용하여 처방선량 50 Gy/25회로 치료계획(Conventional technique, Field-in-Field, IMRT)을 수립하였다. 치료 계획 수립 후 Human Phantom 의 중심축을 기준점으로 하여 우측방향으로 0 mm, 10 mm, 30 mm, 50 mm 떨어진 위치에 유리 선량계(GD-302M, SRS Technol, Japan)를 부착한 후 환자 자세에 따른 치료 방법에 따라 산란선량을 측정하였다. 이 때 각각의 자세 측정 시 모의치료 계획과 동일한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측정 전 EPID를 이용하여 L-gram 촬영을 실시하였으며 Prone-Device를 이용한 측정 시에는 동일한 입사 점을 확인하기 위해 Human Phantom 에 입사점을 표시하여 5회 측정된 평균값으로 각각의 치료계획 선량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각각의 자세에 따른 치료방법에 따라 반대 측 유방의 산란선량을 측정한 결과 바로 누운 자세가 엎드린 자세에 비하여 평균 1.2%~1.8% 이상 치료계획 선량 보다 증가함을 보였고 엎드린 자세일 때는 오히려 치료계획 선량보다 평균 0.81~0.9% 이상 감소함을 보였다. 그러나 엎드린 자세 일 때 반대 측 유방의 위치 별 흡수선량 값은 바로 누운 자세일 때 비하여 총 처방선량의 평균 2.7%로 최대 4% 이상 나타났으며 Conventional technique이 Field-in-Field나 IMRT 비하여 평균 3.3%이상 높게 나타남을 보였다. 결 론 : 본 연구는 Human Phantom 을 이용하여 좌측 유방암 환자의 방사선 치료 시 환자의 자세 변화에 따른 반대편 유방의 산란선량을 치료 방법 별로 비교분석 하였다. 실제 환자의 자세 변화에 따른 유방변화를 가정하여 Human Phantom을 위치시켰으나 실제 환자의 개별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엎드린 자세 시 환자의 자세 재현의 어려움에 따른 오차가 더욱 크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런 오차로 인하여 좌측 폐 및 심장 등의 선량을 급격히 줄여주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반대측 유방에 산란선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실제 환자를 대상으로 prone position을 적용할 경우, 치료방법 및 환자 자세확인을 위한 정확한 검증과정의 임상적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o evaluate Contralateral Breast Doses with Supine and Prone Positions for tangential Irradiation techniques for left-sided breast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 We performed measurements for contralateral doses using Human Phantom at each other three plans (conventional technique, Field-in-Field, IMRT, with prescription of 50 Gy/25fx). For the measurement of contralateral doses we used Glass dosimeters on the 4 points of Human Phantom surface (0 mm, 10 mm, 30 mm, 50 mm). For the position check at every measurements, we had taken portal images using EPID and denoted the incident points on the human phantom for checking the constancy of incident points. Results : The contralateral doses in supine position showed a little higher doses than those in prone position. In the planning study, contralateral doses in the prone position increased mean doses of 1.2% to 1.8% at each positions while those in the supine positions showed mean dose decreases of 0.8% to 0.9%. The measurements using glass dosimeters resulted in dose increases (mean: 2.7%, maximum: 4% of the prescribed dose) in the prone position. In addition, the delivery techniques of Field-in-field and IMRT showed mean doses of 3% higher than conventional technique. Conclusion : We evaluated contralateral breast doses depending on different positions of supine and prone for tangential irradiations. For the phantom simulation of set-up variation effects on contralateral dose evaluation, although we used humanoid phantom for planning and measurements comparisons, it would be more or less worse set-up constancy in a real patient. Therefore, more careful selection of determination of patient set-up for the breast tangential irradiation, especially in the left-sided breast, should be considered for unwanted dose increases to left lung and heart. In conclusion, intensive patient monitoring and improved patient set-up verification efforts should be necessary for the application of prone position for tangential irradiation of left-sided breast canc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