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馬祖 門下의 다양한 禪風 고찰

        정운스님(신명희) 한국선학회 2020 한국선학 Vol.0 No.56

        중국 당나라 때, 홍주종의 개조(開祖) 마조(馬祖, 709~788)는 조사선(祖師禪)의 조사이다. 마조의 문하는 기록마다 다른데, 적어도 88명에서 몇 백여 명까지 기록되어 있다. 제자들이 많다보니, 다양한 부류의 제자들이 있다. 먼저 교를 버리고 선을 선택한 사교입선(捨敎入禪) 수행자들이 있다. 두 번째 마조 문하에 여러 제자들이 있어서인지, 출가전이나 출가 이후에도 독특한 행적을 남긴 제자들이 많았다. 세 번째 부류는 특이한 집단인데, 재가자·비구니 여성 수행자, 그리고 독특한 선풍을 전개한 이들이다. 네 번째 부류는 마조에게서 심인(心印)을 얻은 뒤 은둔한 부류이다. 다섯 번째 부류는 중앙 제도권과 가까이 지내는 선사들이 있었는데, 이들로부터 마조선이 인정받는 계기가 되었다. 여섯 번째 부류는 한 지역에서 독자적으로 선풍을 전개한 이들인데, 이들에 의해 마조선이 크게 발전되었다. 이 여섯 번째 부류에서 파생되어 신라 말기~고려 초기~고려 중기에 이르기까지 마조의 3세·4세·5세 등 다양한 제자들이 있다. 마조에 의해 당나라 때의 선사상이 발전하였고, 2대 제자와 3세에 해당하는 제자들에 의해 마조선은 중국 전역은 물론이요, 우리나라에까지 선풍이 전개되었다. 마조 문하에서 발전된 조사선이 근자에까지 전개되고 있음을 상기해 현 우리나라 선을 비추어보는 동기로 삼는다. During the era of the Tang Dynasty in China, the Buddhist monk Majo (709-788) of the Zen sect was the originator of the religious sect of the Zen thought that had been achieved by him, who was the founder of the school. The disciples of Majo are different in every record. At least 88 persons and up to over several hundred persons have been recorded. As there had been a lot of the disciples, there are the disciples of the diverse kinds. Firstly, there are the people who entered the Zen performance who threw away the religion and selected the Zen. The second kind is the people who had independently unfolded the Zen style in one region. Thanks to these people, the Majo Zen had been developed greatly. Regarding the third kind, by spending the time close to the central, institutional sphere, the Majo Zen had received the recognition from these people. The fourth kind is the kind who had lived in seclusion after obtaining the shimin from Majo. The fifth kind is an unusual group. They are the jaegaja and bhikkhuni (Buddhist nun) woman performers and the people who had unfolded the unique Zen style. Regarding the sixth type, there are the diverse disciples, including the third generation, the fourth generation, the fifth generation, etc. of Majo from the last period of Shilla to the beginning of Goryeo and to the last period of Goryeo. Thanks to Majo, the Zen thought at the time of the Tang Dynasty had developed greatly. And thanks to the disciples of the later generations and the disciples who pertain to the third generation, Majo Zen had been spread out widely not only in the whole region of China, of course, but, also, in Korea and Japan.

      • KCI등재

        대승경전에 나타난 무주열반(無住涅槃) 사상 - 『유마경』을 중심으로 -

        정운스님 (신명희) 한국선학회 2022 한국선학 Vol.- No.61

        대승불교도들은 석가모니부처님이 수많은 과거생에 보살로서 자비를 실천함[因行]으로써 부처가 되었음[果德]을 본 따서 자신들도 ‘보살’이라고 지칭했다. 그러면서 대승불교 보살들은 자리이타(自利利他)의 실천 방법을 모색했다. 보살행 가운데서도 이타의 대비행(大悲行)인데, 이 대비에서 발로(發露)된 최상의 보살행이 무주열반(無住涅槃) 사상이다. 이전 부파불교 교도들의 최고 이상적인 경지는 육도윤회(六道輪迴)에서 벗어나 적정(寂定) 경지에 머물러 있는 열반세계이다. 그런데 대승불교 보살은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열반에 들지 않고[無住涅槃], 사바세계로 되돌아와 중생들과 함께 하기 위해 차안(此岸)에 머물러 있는 것이다. 즉 보살은 중생을 보살피기 위해 원력[願力, 誓願]을 세우고 사바세계에 머물며 중생을 제도한다. 『유마경』이 시작되는 연원은 유마거사의 발병(發病) 때문이다. 유마거사가 병이 난 원인은 ‘중생이 병들어 있어 보살도 병이 났음’을 주제로 하는 대비심이 나타나 있다. 유마[大乘]와 성문[小乘]들과의 대화로 경전 내용이 전개되는데, 대승불교를 상징하는 유마의 설법은 곧 보살로서의 대비심을 설파한다. 곧 중생에 대한 이분법적 차별심이 없는 대비심으로 무집착·무주심(無住心)의 공관적(空觀的) 바라밀행을 기반으로 한다. 이 무주열반 사상은 『유마경』 이외에도 대승불교 사상에 대비천제(大悲闡提)·동사섭(同事攝)·십우도의 열 번째 그림[入纏垂手] 등에도 나타나 있다. By modeling after the fact that the Sakyamuni Buddha became the Buddha by putting into practice the mercy as the Bodhisattva in the many past lives, the Mahayana Buddhists called themselves, too, as the “Bodhisattvas”. Meanwhile, the great Buddhist Bodhisattvas had sought after a method for putting into practice the Zaririta. Among the Bodhisattva’s journeys, too, it is an altruistic, great flight. The best Bodhisattva’s journey that had been manifested in this daebi is the thought of the Non-mainstream Nirvana. The top, ideal state of the previous Bupa Buddhists is the Nirvana world that has been staying in the proper state by coming out of the ryukdoryunhwe. But, regarding the Mahayana Buddhism Bodhisattva, in order to save the world, without entering into Nirvana, by returning to this world, in order to be together with the people, he has been remaining in this world. Or, in other words, in order to take care of the people, Bodhisattva establishes a Seowon and saves the world while remaining in the world of the people. This is because the origin where the Vimalakirti Sutra begins is the occurrence of an illness of Yumageosa. Regarding the cause of the illness of Yumageosa, the Daebishim, which has ‘Because the people are ill, the Bodhisattva, too, is ill’ as the topic, becomes unfolded. The scripture gets unfolded with a conversation between Yuma and Seongmun. The Buddhist sermon of Yuma, which symbolizes the Mahayana Buddhism, preaches the Daebishim as a Bodhisattva, indeed. Indeed, with the Daebishim that does not have a dichotomic sense of discrimination regarding the people, it is based on the gonggwan baramilhaeng of the non-obsession and the sense of being ownerless. This thought of the Nirvana without the maintenance is the same thought as daebicheonje and dongsaseop (one between dongsaseop and saseolbeop) other than the Vimalakirti Sutra. And, after completing the performance in the ten oxherding picture, too, of the Songdae Gwakamseonsa, the salvation of the people is described as the last tenth picture [Ipjeonsusu].

      • KCI등재

        선사상적 관점에서 본 법정의 ‘속 뜰’ 세계

        정운스님(신명희) 한국선학회 2021 한국선학 Vol.- No.60

        본 논문은 비구 법정(法頂, 1932∼2010)의 삶과 수행의 면모에 나타난 선사상을 주제로 한다. 법정은 1955년 22세에 효봉을 은사로 출가했다. 비구계를 받은 뒤 제방 선방에서 안거를 성만했고, 경전 번역에 힘썼으며, 1970년대 민주화 운동에도 참여했다. 법정은 30대 후반에 『무소유』라는 책을 통해 불교계보다 세상에 알려졌다. 진정한 수도자의 모습으로 수많은 이들의 영혼을 일깨워준 ‘비구’로서 70년대 이후부터 법정이 열반하기 전까지 한국사회의 멘토였다. 한편 법정은 글과 법문으로 부처님의 진리를 세상에 보편화시킨 현대판 ‘21세기 원효’라고 볼 수 있다. 진리는 중생의 삶 속에 있다. 법정의 삶과 수행이 곧 선(禪)의 길이다. 법정의 글과 법문을 통해 선사상적 측면에서 살펴 볼 수 있는 점은 세 분야이다. 첫째는 선종사에서 법정이 모델로 삼았던 선사들로서 담백하고 가난한 수도자들, 시를 읊으며 은둔자적한 선사들, 무정물을 통해 깨달음을 추구한 선사들이다. 둘째는 법정은 초년 시절에 ‘본래면목(本來面目)’ 화두를 들었고, 이후로는 ‘시심마(是什麼:나는 누구인가)’로서 평생을 이 화두를 안고 살았다. 이렇게 선적(禪的) 삶을 지향은 법정은 현재 시점을 일상에서 강조했으며, 그의 일상적 삶이 그대로 선의 전개였다. 셋째는 법정은 무소유적 삶을 일관하며, 무정물에 공감하며 그의 ‘속 뜰’ 세계를 채웠다. This thesis shall have the Zen thought appearing in the aspects of the life and the practice of the Buddhist priest Beopjeong (1932~2010) as the subject. Beopjeong left the home with the Buddhist monk Hyobong as the teacher at the age of 22 in the year 1955. After receiving the bigugye, at the good defense embankment, the angeo was seongman. And he had exerted the strength on the translation of the scriptures. And, in the 1970’s, he had participated in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too. In the latter part of his 30’s, through a book called ‘Nonpossession’, Boepjeong had publicized to the world rather than the Buddhist system. As ‘a Buddhist priest’ who awakened the spirits of a lot of people with the appearance of a true monk, from after the 1970’s until the monk entered the Nirvana, he had been a mentor of the Korean society. Meanwhile, it can be considered that Beopjeong is the modern version ‘21st century Wonhyo’ who had universalized the truths of the Buddha in the world through the writings and the Buddhist writings. Truth lies within the lives of the people. The life and the practice of Beopjeong are, indeed, the road of Zen. Through the writings and the Buddhist writings of Beopjeong, from the aspect of the Zen thought, three fields had been approached. Regarding the first, the origin of the Buddhist monks who had been made into the models by Beopjeong at the Seonjongsa Temple had been climbed up. They are the light and poor ascetics, the Buddhist monks who had been reclusive while reciting the poems, and the Buddhist monks who had pursued the realization through the inanimates. The second is the Zen thought of Beopjeong. During the young days, Beopjeong had heard about the topic of conversation of ‘the original appearance’. And, afterwards, the topic of conversation had been the Sisimma. Meanwhile, Beopjeong had emphasized the present time point that had been considered to be important in Zen in the everyday life. And, his everyday life is the unfolding of Zen just the way it is. Regarding the third, from the non-possession thought of Beopjeong, in relation to the sympathetic awareness of the inanimates, etc., the world of his Inner Courtyard had been looked a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