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학 FLE 교육과정에서의 상호문화 교육

        정우향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7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7 No.10

        상호문화교육’은 갈수록 다문화 사회로 진행되고 있는 한국사회에서 프랑스어 전공학생 뿐만 아니라 한국인 모두에게 필요한 핵심 교양 교육이 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그동안 FLE 교육학자들에 의해서 연구되어온 상호문화교육의 목표와 방법에 대한 이론적 논의들이 프랑스어와 프랑스 문화 전공학생들을 위한 교육과정 속에 체계적으로 반영되어야 할 시점이다. ‘교육과정(curriculum)’은 ‘어떤 내용을, 어떤 방법으로, 왜 가르쳐야 하는가’라는 질문을 다루는 학문이며, 이론과 실천에 모두 관계된 영역이다. 본 발표는 대학 FLE 교육과정 속에서 상호문화교육이 어떠한 목표와 방법으로 구체화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한국 대학의 프랑스어 전공자들이 프랑스 문화 강좌에서 프랑스어나 프랑스 사회에 대한 단편적인 지식을 배우는 것을 넘어서, 졸업 이후의 사회생활에서 다른 계층이나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타인들과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상호문화교육의 어떤 측면에 주목해야 하는지를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들과 연결시켜 본다.

      • KCI등재

        ‘문화 언어’와‘도구 언어’개념을 통한 한국 불어 교육의 방향 모색

        정우향,Mettetal Remy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4 프랑스어문교육 Vol.47 No.-

        본 논문의 목적은 외국어 교육의 목표가 각 시대와 외국어 교수법적 노선에서 명시적 또는 암묵적으로 채택하였던 언어관에 따라 변화하였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문화 언어(langue culture)’와 ‘도구 언어(langue de service)’라는 상반된 언어 개념을 중심으로 고대에서 현대까지의 외국어 교수법의 역사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1장에서는 대표적인 외국어 교수법의 흐름을 살펴보면서 20세기 초부터 시작된 ‘도구 언어(langue de service)’ 개념이 의사소통적 교수법(approche communicative)과 행위 중심적 접근법(approche actionnelle)에 이르러 외국어 교수법의 기반이 되는 언어관으로 자리 잡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특히 신자유주의와 세계화의 추세 속에서 언어 교육 전 분야에 걸쳐 도구적 실용주의적 언어관이 강화되어 왔음을 지적하였다. 2장에서는 ‘문화 언어’와 ‘도구 언어’라는 상반된 언어 개념의 의미를 정의해보고 외국어 교육의 본래적 목표를 위해 두 가지 개념을 동시에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기하였다. 3장에서는 저명한 시대 비평가인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가 현대 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한 세 가지 사항을 중심으로 한국의 FLE 교육의 현실과 현재 FLE 분야의 지배적 교육 담론들을 성찰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문화 언어’와 ‘도구 언어’라는 상반된 언어 개념을 통하여 대표적인 교수법사의 흐름들과 한국의 FLE 교육을 비판적으로 재고해보면서 학습자가 외국어 학습을 통해 바라는 다양한 요구들을 좀 더 폭 넓게 수용할 수 있는 교육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FLE 문화 교육에서 교수자 질문 구성의 주안점:상호문화접근법의 관점에서

        정우향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8 프랑스문화연구 Vol.39 No.1

        Depuis les années 2000, les didacticiens du FLE doivent tenir compte du nouveau contexte multiculturel de la société coréenne et de l’intérêt croissant des étudiants pour les cours consacrés aux cultures étrangères. Il s’agit dès lors de réfléchir à la manière d’améliorer les façons d’enseigner la culture française à l’université. Cette étude a pour objectif d’étudier la façon de solliciter les questionnements du professeur. Nous proposons un modèle permettant à l’enseignant de construire des questions adéquates à l’objectif culturel. Dans un premier temps, nous avons dégagé trois facteurs qui structurent le cours : la culture française, l’apprenant et l’enseignant. Dans un deuxième temps, nous présentons quelques pistes de réflexion pour construire des questionnements interculturels afin de rendre plus actifs les apprenants coréens. Plus précisément nous avons proposé des exemples pour chaque étape du cours en nous appuyant sur la démarche générale de l’interculturel. Nous avons surtout utilisé ‘le modèle de la pédagogie par objectifs’ en nous appuyant sur la taxonomie de Bloom.

      • KCI등재

        L’« apprenant » en question: Une interrogation sur le discours prépondérant en didactique du Français Langue Étrangère

        정우향,메테탈 헤미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8 프랑스문화연구 Vol.38 No.1

        Le mot « apprenant » s’est invité depuis quelques années au centre des discours concernant l'enseignement des langues étrangères en devenant un terme très souvent utilisé pour désigner toutes les personnes qui apprennent ou qui sont en situation d’apprendre une langue étrangère. Depuis les années 80 et l’avènement du communicatif (et par la suite de l’actionnel), on a tendance à considérer que c’est l’apprenant qui au centre des discours théoriques et des situations concrètes d’apprentissage. Le présent article se propose de questionner cette évolution ayant aboutie à l’utilisation quasi systématique de ce terme. Qu’est-ce qu’un apprenant des langues ? Quelles sont les influences et les soubassements qui sont à l’origine de l’avènement de ce nouveau terme ? Quelles sont les influences des discours socio-économiques, politiques ou culturels d’une époque sur les méthodologies nouvelles et les termes qu’elles emploient ? Les défis actuels liés à la mondialisation et au néolibéralisme ont des répercussions tant au niveau des discours généraux et des directives européennes qu’au niveau des concepts devenus centraux en didactique du FLE. Le vocabulaire actuel mérite d’être interrogé en profondeur. « L’apprenant » a pour vocation d’accomplir des « tâches », mettre en place des « stratégies d’apprentissage », être « évalué », devenir un « utilisateur », développer des « compétences », etc. C’est ce nouveau vocable que nous avons voulu explorer dans le présent article. Dans cette étude, il s’agissait donc de réfléchir sur ce que signifie « être un apprenant », quelle est la méthodologie et l’idéologie derrière cette notion, et que dit-elle sur la façon dont nous envisageons aujourd’hui l’apprentissage d’une langue étrangère.

      • KCI등재

        대학 FLE 읽기 교육 평가의 개선 방향 모색

        정우향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0 프랑스어문교육 Vol.34 No.-

        Cet article a pour but de réfléchir sur l'enseignement de la lecture en FLE dans le cadre universitaire coréen. Depuis les années 1980 dans l'approche communicative, le curriculum des universités coréennes a mis l'accent sur l'enseignement de l'oral et de la culture française. Pourtant si l'on analyse les noms des cours proposés dans le curriculum universitaire et si l'on observe des cours sur le terrain, on peut très facilement distinguer l'importance de l'enseignement de la lecture . Le texte français considéré par l'apprenant comme un simple texte contenant un lexique et des éléments grammaticaux nouveaux, ne permet pas d'aborder la lecture comme un processus de la communication écrite. Dans cette recherche, on aborde ces problèmes d'enseignement et d'apprentissage de la lecture en FLE à travers le processus évaluatif. Ce dernier ne motive pas l'apprenant à s'approprier le texte en construisant son propre sens mais le conduit à opérer une traduction passive en vérifiant le lexique et en appliquant des savoirs grammaticaux. On a donc proposé quatre pistes pour développer des pratiques évaluatives qui dynamiseront l'enseignement de la lecture. Premièrement, l'enseignant doit évaluer les apprenants au moins trois fois par semestre et leur fournir des retours à des fins plus formatives. Deuxièmement les items de l'évaluation doivent prendre en compte les objectifs de l'apprentissage bien définis et hierarchisés. Troisièmement afin d'élaborer l'évaluation, il faut bien appréhender les niveaux et les spécificités des apprenants en rapport avec le Cadre. Enfin, une partie de l'évaluation doit conduire à construire le sens en prenant appui sur le genre du texte. J'espère que ces recherches pourront stimuler une nouvelle réflexion de l'évaluation de la lecture en FLE dans le cadre universitaire coréen. 1980년 대 이후 의사소통 접근법이 발전함에 따라, 대학의 프랑스어 교육은 문화 교육과 말하기와 듣기의 구어 영역을 강조해왔다. 그러나 실제로 각 대학들이 프랑스어를 전공하는 학생들을 위해 제시하고 있는 교과 과정들을 살펴보면 ‘불희곡 강독’ ‘20세기 현대 불 소설’ ‘프랑스 논설문 읽기와 지도법’ 등 과 같은 강의 명칭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프랑스어 전공이 설치되어있는 각 대학 마다 교과 과정의 구성은 매우 다양할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문학이나 언어학 관련 강의들은 프랑스어 텍스트를 강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프랑스 문화 개론’ ‘프랑스인의 일상 문화’ 등과 같은 문화 강의의 대부분이 영상 자료를 활용하기도 하지만 해당 프랑스 문화의 주제에 관련된 프랑스어 텍스트를 강독해보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교양이 아닌 전공학생들을 위한 프랑스 문화 강의는 프랑스어 읽기 교수/학습과도 깊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한국 대학에서 프랑스어 읽기 영역은 문학이나 문화 관련 교과목들과 깊이 관련되어 있는 영역으로서 학습자나 교수자들 모두에게 말하기와 듣기의 구어 영역 못지않게 중요한 학습 영역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 대학 프랑스어 교육에서 읽기 영역이 차지하는 비중과 중요성에 비해 체계적인 읽기 교수/학습에 대한 방법론에 대한 성찰은 충분하지 않았다. 한민주(2003:100)나 이남성(2002:259-283)이 지적하고 있는 것처럼, 다양한 장르가 활용되지 못하고 문학 텍스트 위주로 읽기 자료를 선택해왔고, 그 방법론 역시 교수자 중심의 번역 위주의 강독 수업이며, 단어와 문법 구조를 분석하고 번역하는 데 치중해왔다. 이러한 견해를 종합해보면 그동안의 대학 프랑스어 읽기 교육은 체계적인 읽기 방법론이 아닌, 교수자의 재량에 따라 문학이나 언어학, 문화 강의의 내용 교과목들에 편입되어 텍스트를 정확하게 번역하여 내용을 파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음을 알 수 있다. 즉 말하기와 듣기, 쓰기와 같은 영역에 비해 읽기 영역은 의사소통 접근법의 제안들과 연구 결과들을 실제 교수 현장에서 적용하지 못한 채, ‘정확한 해석’을 목표로 주요 어휘와 문법의 뜻을 확인해나가는 ‘상향식 읽기 모형’에 따라 교수자 위주의 강의가 진행되어온 경향이 있다. 이것은 크나큰 모순이 아닐 수 없다. 외국어 교육은 담화 분석 연구와 인접학문인 인류학과 사회학 연구 성과까지 수용하여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 실재 자료 및 사회 문화적 문맥 등을 중요시하며 학습자 중심의 외국어 학습을 강조하게 되었는데, 유독 읽기 영역에 해당되는 대학의 강의들은 읽기 자료나 수업 방식 등에 대한 고민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교수법 역시 문법 번역식 교수법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듯하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우리는 대학 프랑스어 읽기 교육이 텍스트 번역이 아닌 외국어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인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에 접근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가기 위해서, 대학 프랑스어 읽기 교육의 전반적인 문제들을 성찰해보았다. 필자는 결론적으로 효과적인 읽기 교육을 위해서는 우선 읽기 교육의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갖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대학 프랑스어 읽기 교수/학습과 평가가 현재와 같이 교수자 중심의 문법 번역식 수업과 번역 문제 위주의 중 ...

      • KCI등재

        "다른 곳에서 온 언어"에 나타난 프랑스어 학습자 분석. A. Mizubayashi 사례를 중심으로

        정우향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23 프랑스문화연구 Vol.59 No.1

        본 연구에서는 어떤 요인들이 프랑스어 학습자가 프랑스어 학습을 시작하고 장기간 지속하게 만드는가를 탐색하기 위해 일본인 FLE 학습자인 Mizubayashi의 사례에 주목하였다. 그는 2011년에 프랑스어로 출판된 다른 곳에서 온 언어 에서 십대 후반에 프랑스어 학습을 시작한 후 40년 이상 지속하면서 겪었던 경험을 이야기한다. 이 자서전적 에세이는 프랑스어 교육⋅학습의 관점에서 볼 때 프랑스어 학습 동기의 유발과 지속 요인 및 프랑스어 4기능(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학습 방법에 대한 유익한 정보들을 담고 있다. 본 연구는 다른 곳에서 온 언어 와 Mizubayashi의 인터뷰와 강연 자료들을 프랑스어 학습자의 통합적 동기 요인들을 이해하기 위한 질적 연구 자료로서 재구성하여 분석하였다. Le but de cette étude est de fournir des informations utiles aux apprenants de FLE coréens en examinant l’expérience d’apprentissage du français de Mizubayashi. Mizubayashi est un auteur-traducteur japonais qui écrit en français et traduit des oeuvres littéraires du français vers le japonais. Né au Japon en 1951, il a commencé à étudier le français à l’âge de 19 ans et est actif en tant qu’écrivain depuis la publication de son livre, Une langue venue d’ailleurs en 2011. Cet ouvrage est une sorte d’autobiographie qui relate les événements majeurs ainsi que les rencontres qu’il l’ont marqué tout au long de sa vie, de sa naissance à aujourd’hui. Cependant, cette étude reconstruit ce récit comme un témoignage complété par des données de recherche qualitative sur l’apprentissage du français. Il s’agit d’un témoignage de 40 ans d’expérience d’apprentissage du français qui présente des caractéristiques s’apparentant à une sorte d’étude longitudinale car il décrit un processus de changement à long terme dans lequel la motivation à apprendre le français est initiée, maintenue et renforcée. Il montre également comment la motivation intégrative pour l’apprentissage idéalement réalisé d’une langue étrangère peut avoir un impact sur la vie d’un apprenant. De plus, à travers son expérience d’apprentissage du français Mizubayashi fournit des informations précieuses sur les méthodes d’apprentissages spécifiques pour la lecture, l’écriture, l’expression orale et l’écoute du français.

      • KCI등재

        학습자 중심 프랑스어 읽기텍스트 선정의 문제

        정우향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22 프랑스문화연구 Vol.55 No.1

        Cette étude est basée sur une enquête ayant pour but la sélection de textes de lecture en français et menée auprès de 40 étudiants se spécialisant en français à l’Université K en Corée du sud. En particulier, nous avons demandé aux étudiants «Quels sont les sujets qui vous intéressent aujourd’hui?» «quel genre de texte français voulez-vous lire ?». En posant ces questions nous avons dégagé des listes de sujets et de genres de textes préférés par les étudiants d’aujourd’hui. De plus, pour comprendre les caractéristiques générationnelles des apprenants, nous avons posé des questions sur les œuvres et les expériences de lecture les plus mémorables parmi les œuvres qu’ils ont lues en coréen et en français. À partir des réponses des 40 étudiants, nous recommandons les types de textes que les professeurs pourraient utiliser dans les cours de lecture en français. Nous proposons tout d’abord, afin de sélectionner des textes centrés sur l’intérêt des étudiants, que les textes proviennent de divers genres de la vie quotidienne. Ensuite, nous suggérons d’utiliser des textes traitant de sujets liés à la jeune génération d’étudiants, qui parlent de leurs sous-cultures et de leurs cycles de vie. Enfin, nous pensons qu’il faut identifier et partager les expériences de lecture des étudiants dans leur langue maternelle et en langue étrangère et que les textes de lecture doivent être sélectionnés en fonction de leurs intérêts et goûts actuels. Les réponses de l’enquête menée dans cette étude seront utiles pour comprendre les caractéristiques des étudiants et de leur génération, et sur cette base, il sera possible de sélectionner des textes français appropriés qui correspondent au goût et intérêts des étudiants. 본 연구에서는 K대학의 프랑스어 전공학습자 4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프랑스어 읽기 텍스트를 선정하기 위해 고려해보아야 할 사항들을 살펴보았다. 특히 텍스트의 주제와 장르 측면에서 오늘날의 학습자들이 선호하는 목록들을 조사해보았으며, 응답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 중심의 텍스트를 선정하기 위해서는 첫째, 담화분석적 시각을 학습하기에 적합한 다양한 일상의 장르에 속하는 텍스트를 활용할 것과 둘째로 학습자가 속하는 청년세대의 하위문화의 특성과 생애주기와 연관된 주제들을 다루는 텍스트를 선정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들의 모국어 및 외국어 읽기 경험을 파악하고 공유하면서 그들의 현대적 관심사와 취향을 바탕으로 읽기 텍스트를 선정해야 한다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프랑스어 읽기가 텍스트를 매개로 하는 프랑스인 필자와 한국인 학습자 사이의 문어의사소통으로서 인식되기 위해서는 학습자 중심의 읽기 텍스트 선정이 가장 중요하다는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한다.

      • FLE 문화 교육에서 교사의 발화

        정우향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18 한국외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8 No.-

        본 연구는 한국 대학의 프랑스어 교육에서 교수자들의 발화에 대한 문제를 다루고 있 다. 정보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4 차 산업혁명 시대를 준비하는 시대적 환경 속에서 첨단 미디어 교육자료들과 최신 교수법이 발전되더라도 교육은 학습자와 교사, 지식이라는 세가지 근본적인 축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교육은 교사의 질을 능가할 수 없다’ ‘교 육자는 교육의 시작이고 끝이다’와 같은 담론들이 교육학 개론서나 교육 현장 주변에서 자주 인용되고 있다. 그러나 ‘학습자 중심’이라는 현대 교육학의 대의명제 속에서 교수 자의 역할은 암암리에 축소되어 왔으며 언제라도 접속할 수 있는 지식과 정보가 넘쳐나 는 시대적 문맥 속에서 지식 전달자로서의 교사의 권위는 약화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 의식을 기반으로 대학에서 외국어와 외국 문화를 가르칠 때 교수자는 발화를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가를 탐구하고자 한다. 기존의 교수자 발화에 관 한 연구는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교수자의 발화 전략에 대한 연구들이 주류를 이루었고 ‘칭찬’이나 ‘질문 유도 전략’ ‘학습자의 흥미 유도 전략’ 과 같이 교수 자 발화의 형식적이고 기술적인 측면에 집중하였다. 본 연구는 외국어와 외국 문화의 학습이 이루어지는 한국 대학의 프랑스어 강의실에서 교수자가 발화를 구성할 때 발화 의 내용적인 측면에서 포함해야 할 요소들을 중심으로 교수자 발화 구성의 방향을 탐구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