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시경하 질식 전자궁적출술 (LAVH) 200 예의 임상적 고찰

        정우길,서대원,정미나,이기만,조경호,김병석,신양호,손영남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4

        여수전남병원 내시경크리닉에서는 1996년 2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200예의 laparoscopic assisted vaginal hysterectomy를 시행하여 아래의 결과를 얻었다. 1) 환자의 평균 연령은 43.67세였고, 평균 출산력 은 3.03이었다. 2) 환자 중 54%에서 선행 수술의 기왕력이 있었 고, 수술 적응증으로는 복부 종괴가 91.5%로 가장 많았다. 3) 적출된 자궁의 평균 무게는 291 gm이었고, 수 술 시간은 평균 61.5분이었으며, 수술 전후의 혈색소 변화량은 평균 1.2 gm/dl였다. 4) 수술중 확인한 동반질환으로는 pelvic adhesion, endometriosis 등이 있었다. 5) 수술 후 병리조직검사 결과로는 자궁근종, 자 궁선근증, 경부상피내암, 및 두 가지 진단이 합병된 경우 등이 있었다. 6) 환자의 입원일수는 평균 4.27일 이었고, 합병증 은 5%에서 발생하였다. 내시경하 질식 전자궁적출술 은 복식수술에 비해 조직의 손상이 적고, 수술 후 유착 형성을 줄일 수 있으며, 통증과 유병률의 감소 를 기대할 수 있고, 미용 효과가 크며, 회복이 빠른 장점이있다. 내시경수술이 보편화되기 위해서는 수 술기구의 국산화 및 저렴한 수술 장비의 개발과 접 근이 용이한 수술 방법의 연구와 함께 집중적인 교 육을 통한 전문 인력의 양성이 필요할 것이다. Hysterectomy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performed gynecologic surgical procedures worldwide. Laparoscopic hysterectomy, introduced by Reich et al. in 1989, has proven to be an effective alternative to abdominal hysterectomy, with advanced technologic development in laparoscopic instruments and improved skill in performing operative laparoscopy.During the period February, 1996 December, 1997, 200 woman underwent laparoscopic assisted vaginal hysterectomy (LAVH) at Yosu Chon-nam Hospital. This report is a retrospective review of 200 laparoscopic assisted vaginal hysterectomy. The mean age was 43.67±6.05 years. The mean parity was 3.03±1.09. The mean uterine weight was 291±187 gm. The mean operation time was 61.5±20.2 minutes. The mean hemoglobin change was 1.2±0.6 gm/dl. The mean hospital stay was 4.27±0.98 days. The common indications were myoma uteri (70.5%), adenomyosis (21%), and carcinoma in situ (4%). The complications were bladder injury (4 cases), rectum injury (1 case), trocar site bleeding (3 cases), and surgical emphysema (2 cases). In conclusion, hysterectomy can be safely performed vaginally assisted by operative laparoscopy.

      • KCI등재

        양측 난관임신 1 예

        정우길,서대원,정미나,조경호,신양호,손영남,오선기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4

        본 저자들은 본 산부인과에서 자궁내 인공수정에 의한 양측 난관임신 1 예를 경험하여 간단한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Bilateral tubal pregnancy is a very rare obstetric phenomenon, but the incidence has risen three-fold in the past 20 years with wider use of ovulation induction and assisted fertility technique. We report a case of bilateral tubal pregnancy with a brief review of references.

      • KCI등재

        골반경수술 1196 예에 대한 고찰

        정우길,서대원,이기만,조경호,신양호,손영남 대한산부인과학회 199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0 No.7

        To evaluate the efficacy of pelviscopic surgery in gynecologic patient, we have reviewed 1196 patients treated pelviscopically from June 1992 to November 1996.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ommon indication were ectopic pregnancy(44.6%), ovarian cyst(14.0%), and myoma uteri(10.5%). 2. The major types of surgery were salpingectomy(24.8%), cystectomy(12.6%), salpingostomy(9.9%), adhesiolysis(6.5%),and myomectomy(5.8%). 3. The age of the patients ranged from 15 to 79 years and the mean age was 30.8 years. 4. the mean parity of the patients was 1.24. 5. The mean duration of hospitalization was 3.2 days. 6.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was hemorrhage at the trocar site, but it was controlled without difficulty.

      • KCI등재

        기능성 소화불량증과 식사습관의 연관성

        정우길,김정훈,김영식 대한가정의학회 2004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25 No.1

        Background: Dyspepsia is a common symptom and bacause functional dyspepsia is a heterogeneous disorder its pathophysiology is not well established. We need to conceptualize in a so called “biopsychosocial model”. Many Koreans tend to consider the importance of dietary habits in causes and treatment of diseases and actually many physicians recommend dietary modification for patients of functional dyspepsia. Therefor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if dietary habits was associated with functional dyspepsia. Methods: Functional dyspepsia was defined and classified by Rome II criteria. This study was performed by case and control method at the outpatient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of six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or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dietary habits were performed in 472 functional dyspeptic patients and 236 normal controls. Results: Only the economic status among the demographic factors was associated with functional dyspepsia and on the dietary factors. The functional dyspeptic patients reported less than 2 days regular eating for one week (OR=2.01, P=0.019, 95% CI: 1.12~3.60) and more than 3 days overeating for one week (OR= 2.01, P=0.020, 95% CI: 1.12~3.63),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daily eating frequency, meal duration, frequency of spicy food comsumption, and breakfast. Conclusions: Functional dyspepsia was associated with irregular eating patterns and overeating behavior for one week. To prevent functional dyspepsia behavioral modification such as eating regularly and avoiding overeating should be advised. 연구배경: 기능성 소화불량증은 뚜렷한 기질적 병변 없이 하나의 생리학적 원인에 의한 질환이 아닌 소위 ‘biopsychosocial model’로의 개념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질병의 원인과 치료에 있어서 식이습관을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으며 실제로 많은 의사들이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게 식사 습관 교정을 권고하고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의 목적은 기능성 소화불량증과 연관된 식사 습관 요인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법: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정의는 Rome II 기준에 따랐고 2000년 12월부터 2001년 6월까지 서울 지역 6개 종합병원 가정의학과 외래를 방문한 20세 이상 환자 중 소화불량증상을 호소하여 새롭게 약물 치료를 시작한 799명 중 상부 위장관 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여 소화성 궤양, 암, 역류성 식도염 소견이 없고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병력이 없는 472명의 환자군과 2003년 3월부터 4월까지 상기 병원 중 일개 종합병원 가정의학과 외래를 방문한 20세 이상 환자 중 소화기계 증상이 없고 소화기계 약물을 복용하지 않는 236명의 대조군을 비교 분석하였다. 환자가 진료를 받기 전에 설문지를 작성하였고 설문항목은 흡연, 음주, 운동 및 기타 인구사회학적 내용과 하루 식사횟수, 일주일 동안 규칙적으로 식사하는 횟수, 과식 횟수, 식사 속도, 자극음식 섭취 횟수, 아침식사 유무에 관한 식사습관 6항목으로 구성하였다. 결과: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 평균소득만이 기능성 소화불량증과 연관성이 있었고 식사습관 요인 중에는 규칙적인 식사를 주당 2일 이하로 하는 경우는 주당 3일 이상 하는 경우에 비해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교차비가 2.01 (P=0.019, 95% CI: 1.12~3.60)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주당 3일 이상 과식하는 경우는 주당 2일 이하로 하는 경우에 비해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교차비가 2.01 (P=0.020, 95% CI: 1.12~3.63)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그 외 하루 식사 횟수, 식사 속도, 자극음식 섭취 횟수, 아침식사 유무와 기능성 소화불량증과의 연관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결론: 주당 규칙적인 식사 횟수가 적은 것과 과식 횟수가 많은 것이 기능성 소화불량증과 연관성이 있었고 기능성 소화불량증을 호소하는 환자에게 규칙적인 식사와 과식을 줄이도록 권고하여야 하겠다.

      • SCOPUSKCI등재

        사마귀양 육아종의 임상양상을 보인 피부 효모균증 1예

        정우길,박준수,박윤기,이광훈 대한의진균학회 2002 대한의진균학회지 Vol.7 No.1

        We report a case of cutaneous cryptococcosis resembling verrucous granuloma on the lower lip in a 18-year-old temale. She presented with a 3×1.5 ㎝ sized painful verrucous granuloma with white, yellowish crust on the lower lip for 1 year. She had gotten many shunt operations for unexplained hydrocephalus.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showed numerous encapsulated round spores, epithelioid cells and giant cells in the dermis. A tissue culture on Sabouraud's dextrose agar without cycloheximide showed whitish creamy colonies. The organism was identified as Cryptococcus neoformans. The lesion disappeared with the treatment of oral itraconazole (100㎎/day) for 12 weeks. [Kor J Med Mycol 7(1): 42-46]

      • KCI등재

        자궁내막간질육종 1 례

        정우길,박은주,정미나,이기만,조경호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9

        자궁내막간질육종은 희귀한 질환으로서 최근 본원 산부인과에서 그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본 환자는 현재 수술후 1년간 재발을 막기 위한 호르몬 치료로서 progestin을 투여하였으며, 1년간의 골반내진 및 초음파를 통한 추적 검사상 아직 재발의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A case of endometrial stromal sarcoma was diagnosed postoperatively, and this 27-year-old woman had to go second laparotomy for complete surgery. We reviewed the clinicopathologic finding and literature of this extremely rare sarcom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