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물막 담체를 이용한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함유 산업폐수의 유기물 제거 및 질산화 반응 연구

        김용환,조재현,이용우,정용대,이원권 ( Yong Hwan Kim,Jae Hyun Cho,Yong Woo Lee,Yong Dae Jeong,Won Kwon Lee ) 한국물환경학회 1998 한국물환경학회지 Vol.14 No.1

        Treatment of industrial wastewater containing high concentration of ammonia was studied using biofilm media such as Bio-CAP^(TM), Bio-PO.P^(TM) and Ringlace. Among the various configurations of biofilm media process, Bio-CAP^(TM)-Bio-POP^(TM) media process was considered as the best process for organic removal and nitrification reaction. Volumetric organic removal and nitrification rate of this process approached to approximately 6㎏ COD/㎥/day and 800g NH₃,-N/㎥/day, respectively. Settler was located between Bio-CAP^(TM) and Bio-POP^(TM) reactor to remove the inhibitory effect of SS on nitrification in 2nd Bio-POP^(TM) reactor. Organic removal rate and nitrification rate of Bio-CAP^(TM)-Bio-POP^(TM) process were 5 and 4 times higher, respectively than those of general activated sludge process. By using Bio-CAP^(TM)-Bio-POP^(TM) media process, it was expected to decrease the required area for treatment of industrial wastewater containing high concentration of organics and ammonia.

      • KCI등재

        고정상 담체를 이용한 저부하 유기물 폐수 처리 및 부착 미생물 특성 고찰

        김용환,조재현,이용우,정용대 ( Yong Hwan Kim,Jae Hyun Cho,Yong Woo Lee,Yong Dae Jeong ) 한국물환경학회 1997 한국물환경학회지 Vol.13 No.3

        담채를 이용하였을 경우 저부하 유기물 처리시의 처리 특성 및 부착 미생물의 특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부착미생물중의 사상균의 종류는 초기 Sphaerotilus natans에서 유기물 부하를 감소시킴에 따라 우점종이 Type 021N으로 전이되며 이어 극저부하인 경우 Microthrix parvicella로 최종적으로 바뀌게 됨을 관찰하였다. 저부하인 경우에도 부착미생물막의 탈리 현상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이는 부착미생물들이 생산하는 ECP의 양이 저부하로 갈수록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저부하 조건에서도 부착 미생물막의 탈리가 발생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입 유기물을 처리하였기 때문에 유출수의 수질은 양호하였다. 결론적으로 벌킹을 유발할 수 있는 사상균이 Ring-lace 담체 표면의 미생물막의 대부분을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고정상 담채를 이용하였을 경우 벌킹 현상을 발견할 수 없었다.

      • KCI등재

        고온환경에서 사료 내 조섬유 수준이 육성돈의 성장, 고온 스트레스 지표, 혈구구성, 혈액이화학지표,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김조은(Jo Eun Kim),박현주(Hyun Ju Park),김채현(Chae Hyun Kim),백수현(Soo Hyun Back),홍준선(Jun Seon Hong),정용대(Yong Dae Jeong),사수진(Soo Jin Sa),이지환(Ji Hwan Lee),최요한(Yo Han Choi) 한국산학기술학회 202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5 No.5

        본 시험은 고온환경에서 사료 내 조섬유 수준이 육성돈의 성장, 고온 스트레스 지표, 혈구구성, 혈액이화학 지표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시험을 위해 3원교잡종 육성돈 75두를 공시하였고, 개시체중(49.69±0.48kg)을 기반으로 3처리 5반복, 반복당 5두식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시험기간은 4주간 수행하였으며, 수행기간동안 평균 THI(THI, Temperature-humidity index)는 85.31±0.09로 나타났다. 시험 처리구는 조섬유(CF, Crude fiber)수준 3수준으로 LF(LF, Low Fiber, CF 2.8%), MF(MF, Medium Fiber, CF 3.8%), HF(HF, High Fiber, CF 4.8%)로 구성하였다. 고온환경에서 MF에 비해 HF에서 일당증체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 =.043). 사료섭취량, 사료효율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혈구구성은 Eosinophil이 조섬유 수준이 높아질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나(p <.05), 이외 혈구 및 혈액 이화학성분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영양소 소화율의 경우 조섬유 수준이 높아질수록 건물, GE(GE, Gross Energy), NDF(NDF, Neutral Detergent Fiber), ADF(ADF, Acid Detergent Fiber) 소화율이 유의적으로 감소했으나(p <.05), 이외 다른 영양성분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본 시험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고온환경에서 사료 내 조섬유 수준 4.8%까지 생산성 개선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etary crude fiber levels on growth performance, heat stress index, blood cell composition, hematological profiles,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growing pigs. 75 crossbred growing pigs (Landrace×Yorkshire×Duroc, initial body weight 49.69±0.48 kg) were randomized to 3 treatments with 5 replicates per treatment. The experimental duration was 4 weeks, and the average Temperature-Humidity Index (THI) during this period was 85.31±0.09. The experimental treatments involved three crude fiber (CF) levels, LF (Low Fiber, CF 2.8%), MF (Medium Fiber, CF 3.8%), and HF (High Fiber, CF 4.8%). Average daily gain (ADG) was significantly higher HF than MF under heat stress conditions (p =.043), but feed intakes and feed efficiencies were no different. Blood analysis showed that eosinophil count decreased significantly as CF level increased (p <.05),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for other cells or hematological parameters. Furthermore, the digestibilities of dry matter, gross energy (GE),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acid detergent fiber (ADF)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CF level increased (p <.05),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for other nutrients. The study shows that increasing the dietary CF level to 4.8% does not influence the growth performance of growing pigs exposed to heat stress.

      • KCI등재

        동물생명공학 : 근육세포 내 Glucose 농도와 AICAR에 의한 단백질 합성 저해

        박창석 ( Chang Seok Park ),김재환 ( Jae Hwan Kim ),오영균 ( Young Kyoon Oh ),김경훈 ( Kyoung Hoon Kim ),최창원 ( Chang Weon Choi ),조은석 ( Eun Seok Cho ),정용대 ( Yong Dae Jeong ),박성권 ( Sung Kwon Park ) 한국동물자원과학회(구 한국축산학회) 2012 한국축산학회지 Vol.54 No.5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는 체내 에너지 수준을 감지하고 당과 지방의 대사를 조절하는 인자로 밝혀졌다. 이러한 에너지 센서로서 AMPK의 역할은 심혈관계 및 비만과 당뇨 등의 대사성 질환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 영양적 관점에서 AMPK는 지방산의 합성 및 분해를 통해 간에 서 지방대사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근육의 경우 glucose 흡수를 관장하며, 근육세포 내 glucose의 유입을 증가 시 킨다. 하지만, AMPK의 활성이 대사기질의 흡수와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확한 기전은 아직까지 불분명하다. 또한 영양적 수 준 차이에 따른 AMPK의 활성이 단백질 합성에 미치는 영향은 아 직 보고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C2C12 myotube에 서 AMPK 활성물로 알려진 5-aminoimidazole-4-carbozamide-1- β-D-ribonucleoside (AICAR)가 glucose 농도차이에 따른 AMPK 활성과 단백질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배양된 C2C12 근육세포에서 AICAR는 glucose의 함량에 관계 없이 AMPK를 활성화 시켰다. 단백질 농도는 낮은 수준 (LG)에 비해 높은 수준의 glucose (HG)가 처리된 myotube에서 증가되었 고, AICAR에 의해 그 효과는 더욱 증대 되었다. C2C12 myotube에서 HG 처리는 AMPK와 acetyl CoA carboxylase (ACC)의 인산화에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LG의 처리로 인해 AMPK와 ACC의 인산화가 증가되었다 (p<0.05). 또한, AICAR (2 mM)의 처리는 glucose의 수준과는 관계없이 AMPK와 ACC의 인산화를 증가시켰다. 총 단백질 수준은 HG 처리에 의해 증가 되 었고, 이는 AICAR의 처리에 의해서 더 높게 증가되었다. Proteasome 활성은 HG 처리구에서 LG에 비해 7.5% 낮게 나타 났고, AICAR 처리는 proteasome 활성을 LG와 HG 처리구에서 각각 63%와 54% 감소 시켰다. Glucose의 수준은 mTOR의 인산 화 수준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하지만, AICAR는 LG 처리구에서 만 mTOR의 인산화 수준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고, HG 처리구에 는 mTOR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따라서, glucose 처리는 단백질 을 proteasome으로부터 보호 하거나, glucose가 AMPK의 단백질 합성 저해 기능을 방해하여 세포내 단백질 합성을 중가 시키는 것 으로 사료 된다. 결론적으로, 영양적 수준에 의해 AMPK 활성 및 단백질 합성과 분해가 조절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maintains energy homeostasis in skeletal muscle. Nonetheless, its functional role on protein synthesis with different nutrient availability has not been elucidat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AMPK activity on protein content in C2C12 myotubes incubated with low (5 mM; LG) or high (25 mM; HG) glucose media. LG stimulated (p<0.05) AMPK and acetyl CoA carboxylase (ACC) activity compare to those in HG group. Total protein content was higher in myotubes cultured with HG than in those cultured with LG and further increased by AICAR (5-amino-1-β- D-ribofuranosyl-imidazole-4-carboxamide). Myotubes cultured with HG showed 7.5% lower UbFL (Ubiquitin Firefly Luciferase)- to-SV40 (Simian virus40) ratio compared to those in LG. Glucose level did not change the phosphorylation level of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mTOR). Interestingly, administration of AICAR significantly increased phosphorylation level of mTOR in myotubes cultured with LG but not in those with HG. Overall, this data indicate that AMPK activity and protein turnover are finely regulated in response to different glucose concent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