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원위부 위암에서 복강경 D2 림프절 절제술의 수술 성적

        정오,박영규,육정환,김병식,Cheong, Oh,Park, Young Kyu,Yook, Jeong Hwan,Kim, Byung Sik 대한위암학회 2008 대한위암학회지 Vol.8 No.2

        목적: 복강경 기구의 발달과 시술자의 숙련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로 조기위암 이상으로 복강경 위절제술을 확대 적용하려는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복강경 D2 림프절 절제술의 적절성 및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2월부터 2007년 8월까지 복강경 D2 림프절 절제술을 시행 받은 22명의 원위부위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병리학적 특성, 수술 성적 및 수술 후 경과 등에 대하여 같은 시기에 시행된 38명의 개복 D2 림프절 절제술 환자와 비교하였다. 결과: 복강경 D2 림프절 절제술은 평균 수술시간이 오래 소요되었으나($160{\pm}25min$. vs. $135{\pm}21min$., P<0.001), 평균 근위부 절제연 거리($6.1{\pm}2.8cm$ vs. $5.8{\pm}2.5$, P=ns), 평균 림프절 절재 개수($25{\pm}11$ vs. $26{\pm}9$, P=ns)에서 개복 수술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술 후 경과는 복강경 수술군에서 식이개시, 재원일수 등이 유의하게 빨랐다. 복강경 D2 림프절 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개복으로의 전환은 없었으며, 양군에서 유사한 수술 후 합병증 발생빈도를 보여주었다. 결론: 복강경 D2 림프절 절제술은 개복수술과 유사한 수술성적을 가지며, 양호한 수술 후 경과를 보인다. 향후 전향적 연구를 통해 복강경 D2 림프절 절제술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Purpose: With advancements in laparoscopic surgery, there have been efforts to expand the indication for laparoscopic surgery up to advanced gastric cancer. However, scant data are available regarding the feasibility and advantages of laparoscopy-assisted distal gastrectomy (LADG) with standard radical D2 lymph node dissection. Materials and Methods: Twenty-two patients who were preoperatively diagnosed with cT1N0M0 gastric cancer underwent LADG with standard D2 lymphadenectomy between February and August 2007. They were compared with patients who underwent conventional open D2 lymphadenectomy with respect to clinicopathologic features, surgical outcomes, and postoperative course. Results: The mean operative time was significantly longer in the LADG group than in the open group ($160{\pm}25min$ vs. $135{\pm}21min$, P<0.001). However, surgical outcomes, such as surgical margin and number of retrieved lymph nodes ($25.7{\pm}11.1$ vs. $26.9{\pm}9.2$, P=ns) were comparable between the groups. The LADG group exhibited quicker postoperative recovery, and both groups exhibited similar postoperative morbidity and mortality. Conclusion: LADG with D2 lymphadenectomy is feasible and safe, with short-term surgical outcomes comparable to those seen in open D2 lymphadenectomy. Further prospective clinical investigation will be needed to better evaluate the advantages of LADG with D2 lymphadenectomy.

      • KCI등재

        Implementation of Enhanced Recovery after Surgery (ERAS) Program in Perioperative Management of Gastric Cancer Surgery: a Nationwide Survey in Korea

        정오,김호군 대한위암학회 2019 Journal of gastric cancer Vol.19 No.1

        Purpose: Despite its clinical benefits, enhanced recovery after surgery (ERAS) is less widely implemented for gastric cancer surgery. This nationwide surve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the implementation of ERAS in perioperative care for gastric cancer surgery in South Korea. Materials and Methods: This survey enrolled 89 gastric surgeons from 52 institutions in South Korea.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24 questions about the implementation of the ERAS protocols in the management of gastric cancer surgery. The survey was carried out using an electronic form sent via email. Results: Of the 89 gastric surgeons, 58 (65.2%) answered that they have knowledge of the concept and details of ERAS, 45 (50.6%) of whom were currently applying ERAS for their patients. Of the ERAS protocols, preoperative education (91.0%), avoidance of preoperative fasting (68.5%), maintenance of intraoperative normothermia (79.8%), thromboprophylaxis (96.5%), early active ambulation (64.4%), and early removal of urinary catheter (68.5%) were relatively well adopted in perioperative care. However, other practices, such as avoidance of preoperative bowel preparation (41.6%), provision of preoperative carbohydrate-rich drink (10.1%), avoidance of routine abdominal drainage (31.4%), epidural anesthesia (15.9%), single-dose prophylactic antibiotics (19.3%), postoperative high oxygen therapy (36.8%), early postoperative diet (14.6%), restricted intravenous fluid administration (53.9%), and application of discharge criteria (57.3%) were not very well adopted for patients. Conclusions: Perioperative management of gastric cancer surgery is largely heterogeneous among gastric surgeons in South Korea. Standard perioperative care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needs to be established to improve the quality of surgical care and patient outcomes.

      • 원형 자동문합기를 이용한 체외문합을 시행한 복강경 보조 위전절제술: 한 술자에 의한 연속적인 48명 환자의 수술성적분석

        정오,김병식,육정환,오성태,임정택,김갑중,최지은,박건춘 대한위암학회 2008 Journal of gastric cancer Vol.8 No.1

        목적: 복강경 보조 위전절제술은 기술적 어려움과 환자수 가 많지 않음으로 인하여 복강경 보조 위원위부 절제술에 비하여 연구가 많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저자들은 본원 에서 시행한 복강경 보조 위전절제술의 수술성적과 수술 후 경과 및 합병증 발생 예측인자와 복강경 보조 위전절 제술의 학습곡선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월부터 2007년 9월까지 술 전 검사 상 위의 중 상부에 위치한 조기위암(cT1N0)을 진단받고 한 술자에 의해 복강경 보조 위전절제술을 시행 받은 연속적 인 4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바탕을 후향적으 로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중 합병증이나 개복수술로의 전환은 없었고 평균 수술시간은 212±67분이었다. 평균 적출 림프절 개수 는 29±10개였고 모든 환자에서 안전한 종양 경계 면이 확 보되었다. 수술 후 가스배출, 식이시작, 퇴원시기는 각각 평 균 2.98일, 3.67일, 7.08일이었다. 외과적 합병증은 5명(10.4%) 에서 발생하였고 모두 보전적 치료로 호전되었다.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에서 합병증 발생에 영향을 주는 유일한 인자는 체질량지수(P=0.035, HR=2.462)였으며 수술 시간을 기 준으로 한 학습곡선 분석에서 20예가 학습곡선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복강경 보조 위전절제술은 위의 중 상부에 위치한 조기위암에 대한 적절한 술식이며 수술성적과 수술 후 경 과가 양호하다. 그러나 학습곡선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복 강경 보조 위원위부절제술의 충분한 경험이 필요하며, 특 히 초기경험에서는 수술 후 합병증을 줄이기 위하여 환자 선택에 있어서 체질량지수를 고려하는 게 도움이 될 것으 로 생각된다.

      • 위암 환자에서 수술 전 복막전이 예측을 위한 혈청 종양 표지자의 유용성: CA 19-9와 CEA

        정오,주재균,박영규,유성엽,정미란,김호군,김동의,김영진 대한위암학회 2008 Journal of gastric cancer Vol.8 No.3

        목적: 다른 소화기계 악성종양에 비하여 위암에서 종양표 지자의 역할은 매우 제한적이다. 여러 연구들에서 종양표 지자는 예후 및 재발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이 보고되었으 나, 종양표지자를 이용한 수술 전 원격전이 예측의 유용성 에 관한 보고는 매우 드물다. 대상 및 방법: 2004년부터 2006년까지 본원에서 위암으로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종양 표지자의 비특이적 증가 를 초래하는 요인을 가진 환자를 제외한 78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 CEA, CA 19-9와 임상병리학적 특성간에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CEA 양성여부는 연령, 성별과 같은 종양과 무관한 비특이적 인자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으며, 림프절 전이여 부와 독립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종양의 침윤도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원격전이의 예측에서 CEA는 복막전이 나 혈행성 전이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이에 비해 CA 19-9는 종양의 침윤도 림프절 전이와 각각 독립적인 상 관관계를 보였으며, 원격전이 중 복막 전이여부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증가 정도에 따라 CA 19-9가 5배 이상 증가 시에 복막전이에 대한 위험도가 유의하게 증가 함을 보였다. 결론: CA 19-9는 측정이 간편하고 용이할 뿐만 아니라, 수 술 전 비치유인자인 복막전이를 예측하는데 도움을 줌으 로써, 이에 따른 환자의 추가적인 검사를 통하여 적절한 치료 방침을 세우는데 임상적으로 유용한 도구라고 판단 된다.

      • 위암 환자에서 수술 전 복막전이 예측을 위한 혈청 종양 표지자의 유용성: CA 19-9와 CEA

        정오,주재균,박영규,유성엽,정미란,김호군,김동의,김영진,Cheong, Oh,Joo, Jae Kyun,Park, Young Kyu,Ryu, Seong Yeop,Jeong, Mi Ran,Kim, Ho Koon,Kim, Dong Yi,Kim, Young Jin 대한위암학회 2008 대한위암학회지 Vol.8 No.3

        목적: 다른 소화기계 악성종양에 비하여 위암에서 종양표지자의 역할은 매우 제한적이다. 여러 연구들에서 종양표지자는 예후 및 재발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이 보고되었으나, 종양표지자를 이용한 수술 전 원격전이 예측의 유용성에 관한 보고는 매우 드물다. 대상 및 방법: 2004년부터 2006년까지 본원에서 위암으로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종양 표지자의 비특이적 증가를 초래하는 요인을 가진 환자를 제외한 78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 CEA, CA 19-9와 임상병리학적 특성간에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CEA 양성여부는 연령, 성별과 같은 종양과 무관한 비특이적 인자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으며, 림프절 전이여부와 독립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종양의 침윤도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원격전이의 예측에서 CEA는 복막전이나 혈행성 전이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이에 비해 CA 19-9는 종양의 침윤도 림프절 전이와 각각 독립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원격전이 중 복막 전이여부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증가 정도에 따라 CA 19-9가 5배 이상 증가 시에 복막전이에 대한 위험도가 유의하게 증가함을 보였다. 결론: CA 19-9는 측정이 간편하고 용이할 뿐만 아니라, 수술 전 비치유인자인 복막전이를 예측하는데 도움을 줌으로써, 이에 따른 환자의 추가적인 검사를 통하여 적절한 치료 방침을 세우는데 임상적으로 유용한 도구라고 판단된다. Purpose: The usefulness of serum tumor markers for assessing gastric carcinoma is very limited compared to that for neoplasms in other digestive organs. Many reports have shown that serum tumor marker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prognosis and tumor recurrence in gastric cancer patient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usefulness of serum tumor markers as a predictor of distant metastasis for gastric carcinoma. Materials and Methods: With excluding the non-specific causes of elevated tumor markers, a total of 788 patients with gastric carcinoma and who were seen at our hospitals between 2004 and 2006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eoperative level of tumor makers and the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was analyzed. Results: CEA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ge, gender and nodal metastasis, but not with the depth of tumor. The CEA level was not correlated with distant metastasis, such as peritoneal or hematogenous metastasis. In contrast, the CA 19-9 level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not only with the depth of tumor and nodal metastasis, but also with peritoneal metastasis. Especially, the patients with over 500% elevation of the CA 19-9 level had a significant risk of peritoneal metastasis. Conclusion: CA 19-9 is useful for predicting peritoneal metastasis in gastric cancer patients. It can be used efficiently in making the diagnostic and the treatment plan, in combination with other diagnostic tools, for gastric cancer patients.

      • KCI등재

        Feasibility of No Prophylactic Antibiotics Use in Patients Undergoing Total Laparoscopic Distal Gastrectomy for Gastric Carcinoma: a Propensity Score-Matched Case-Control Study

        정오,Yongmin Na,Ji Hoon Kang,Mi Ran Jung,Seong Yeob Ryu 대한위암학회 2019 Journal of gastric cancer Vol.19 No.4

        Purpose: Laparoscopic surgery is associated with lower surgical site infection (SSI) rates due to minimal skin incision and non-exposure of visceral organs. Most previous studies have analyzed the efficacy of prophylactic antibiotic use in open surgery. Here, we investigated the feasibility of total laparoscopic distal gastrectomy (TLDG) for gastric carcinoma without prophylactic antibiotic use. Materials and Methods: Seventy-one patients who underwent TLDG without prophylactic antibiotic use were 1:1 propensity score matched with 393 patients who underwent TLDG with antibiotic prophylaxis. The short-term surgical outcomes, including SSI rates, were compared between the groups. Results: After matching, 65 patients were selected in each group. The baseline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well balanced in the matched sample. In the matched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increase in postoperative morbidity in the non-prophylactic group compared with the prophylactic group (18.5% vs. 15.4%, P=0.640), and there were no grade 3≤ complications (1.4% vs. 0%, respectively; P=1.000). The SSI rates in the non-prophylactic and prophylactic groups were 3.1% and 1.5%, respectively (P=0.559). The time to gas passage, diet initiation, and mean hospital sta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2 groups. The SSI rate did not increase in the non-prophylactic group in the different subgroups based on different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Conclusions: Postoperative morbidity, including SSI rates, did not significantly increase in patients undergoing TLDG without prophylactic antibiotic use. A large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is warranted to reappraise the efficacy of prophylactic antibiotic use in patients undergoing TLDG.

      • 수술 후 장기적인 생리적 기능과 영양적 측면에서 본 원위부위절제술 후 재건술식의 비교; Billroth I 위십이지장문합술과 Roux-en Y 위공장문합술의 비교

        정오,오성태,육정환,최지은,김갑중,임정택,박건춘,김병식,Jeong, Oh,Oh, Sung-Tae,Yuk, Jung-Hwan,Choi, Ji-Eun,Kim, Kab-Jung,Lim, Jung-Taek,Park, Gun-Chun,Kim, Byung-Sik 대한위암학회 2007 대한위암학회지 Vol.7 No.2

        목적: 원위부위절제술 후에 행하여지는 재건술은 Bill-roth I 문합술, Billroth II 문합술, Roux-en Y 위공장문합술이 있으며 이러한 술식들은 객관적 비교 평가가 어렵고 이에 대한 연구 또한 많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원위부위절제술 후에 시행된 Billroth I 문합 술과 Roux-en Y 위공장문합술을 장기적인 생리적 기능과 영양적 측면에서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부터 2002년까지 위암으로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조기위암으로 원위부위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 663명을 대상으로 술 후 생리적 기능을 평가하는 설문지를 6개월 간격으로 작성하였다. 술 후 영양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혈중 총단백질, 알부민, 혈색소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체중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생리적 기능 총합점수는 B-I 군에 비하여 RY 군에서 약간 낮았으나 통계학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각 증상 별로 비교 시 역류 증상과 식 후 음식물 통과만이 차이를 보였으며 24개월 후에는 RY 군에서 음식물 통과가 양호한 것 외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중 총단백질, 알부민, 혈색소는 모두 B-I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나 두군 모두 평균적으로 정상이상의 수치를 보였다. 몸무게 감소는 B-I 군에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장기적 생리기능의 측면에서는 RY 군이 일부 증상에서 우수하였고 영양적인 측면에서는 B-I 군이 우수하였다. 따라서 원위부위절제술 후 재건술의 선택은 이러한 장단점을 고려하여 시술자의 경험과 환자의 상태에 맞춰 선택해야 한다. Purpose: The only curative treatment for gastric carcinoma is surgery and it is still under debate which reconstruction method is better after performing gastrectomy for gastric carcinoma. The typical reconstruction methods after distal gastrectomy are Billroth I, Billroth II and Roux-en Y reconstruction. Yet it is difficult to compare these methods and not so much is known about which reconstruction is better in terms of the physiologic and nutritional function. With this background, we compared two reconstruction methods after distal gastrectomy (Billroth I versus Roux-en Y reconstruction) in terms of the long term physiologic function and nutritional status to create a reference for selecting reconstruction methods after distal gastrectomy.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1999 and 2002, 663 patients who underwent distal gastrectomy for early gastric carcinoma filled out questionnaires every six months after operation, and these questionnaires evaluated the physiologic function. To evaluate their nutritional status, blood tests were performed every six months to check their albumin, protein and hemoglobin levels, and we checked the body weight every 6 months as well. Results: The total score of the 15 questions on the questionnaire concerned with the physiologic function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t every evaluation time, and both groups showed very low total scores, indicating tolerable physiologic function after operation. When comparing each question between two the groups, only symptoms of regurgitation and food passage showed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showing that the Roux-en Y group had better function in terms of these two symptoms. The Billroth I group showed a better nutrition status, indicating that the level of albumin, protein and hemoglobin were higher in the Billroth I group,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Body weight loss was severe in the Roux-en Y group. Conclusion: The physiologic function is slightly better in the Roux-en Y group in terms of some symptoms such as regurgitation and food passage. However, the nutritional status is better in the Billroth I group. In conclusion, because we cannot definitely ascertain which reconstruction is better when we consider both the physiologic and nutritional functions, it is reasonable that surgeon should choose reconstruction methods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 and prefer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