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무연 BaTiO<sub>3</sub>-(Bi<sub>0.5</sub>K<sub>0.5</sub>)TiO<sub>3</sub> PTCR 세라믹과 PTCR 특성에 미치는 Nb<sub>2</sub>O<sub>5</sub>의 효과

        정영훈,박용준,이미재,이영진,백종후,최진수,이우영,Jeong, Young-Hun,Park, Yong-Jun,Lee, Mi-Jae,Lee, Young-Jin,Paik, Jong-Hoo,Choi, Jin-Soo,Lee, Woo-Young 한국재료학회 2008 한국재료학회지 Vol.18 No.9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of resistivity (PTCR) characteristics of (1-x)$BaTiO_3-x(Bi_{0.5}K_{0.5})TiO_3$ ceramics doped with $Nb_2O_5$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develop the Pb-free PTC thermistor available at high temperatures of > $120^{\circ}C$. The PTCR characteristics appearing in the ($B_{i0.5}K_{i0.5})TiO_3$ (< 5 mol%) incorporated $BaTiO_3$ ceramics, which might be mainly due to $Bi^{+3}$ ions substituting for $Ba^{+2}$ sites. The 0.99$BaTiO_3-0.01(Bi_{0.5}K_{0.5})TiO_3$ ceramics showed good PTCR characteristics of a low resistivity at room temperature (${\rho}_r$) of $31{\Omega}{\cdot}cm$ a high ${\rho}_{max}/{\rho}_{min}$ ratio of $5.38{\times}10^3$, and a high resistivity temperature factor (${\alpha}$) of $17.8%/^{\circ}C$. The addition of $Nb_2O_5$ to 0.99$BaTiO_3-0.01(Bi_{0.5}K_{0.5})TiO_3$ ceramics further improved the PTCR characteristics. Especially, 0.025 mol% $Nb_2O_5$ doped 0.99$BaTiO_3-0.01(Bi_{0.5}K_{0.5})TiO_3$ ceramics exhibited a significantly increased ${\rho}_{max}/{\rho}_{min}$ ratio of $8.7{\times}10^3$ and a high ${\alpha}$ of $18.6%/^{\circ}C$, along with a high $T_c$ of $148^{\circ}C$ despite a slightly increased ${\rho}_r$ of $31{\Omega}{\cdot}cm$.

      • 연골 조직 재생을 위한 나노섬유/알지네이트 복합 재료 스캐폴드의 제작

        장진아(Jinah Jang),이종완(Jongwan Lee),설영준(Yeong-Joon Seol),정영훈(Young Hun Jeong),조동우(Dong-Woo Cho) 대한기계학회 2011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1 No.10

        Three-dimensionally polycaprolactone(PCL) nanofiber reinforced alginate hydrogel scaffold were fabricated for the regeneration of functional cartilage construct with G-glucono-δ-lactone(GDL) cross linker that was applied to alginate hydrogel crosslinking with calcium carbonate (CaCO<SUB>3</SUB>) to maintain its structural integrity. In order to analyze new types of PCL nanofiber/alginate gel composite scaffold, four kinds of PCL nanofiber/alginate hydrogel composite scaffold were fabricated depends on the amount of nanofiber using dual-nozzle electrospinning process. Young’s moduli of each composite scaffolds were increased better than alginate only structure, also its value nearly approached normal articular cartilage. In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feasibility of the new type of functional scaffold for cartilage regeneration from PCL nanofiber/alginate hydrogel composite scaffold.

      • 홍익인간사상과 한국문화

        정영훈 ( Young Hun Jeong ) 한국민족학회 2009 민족학연구 Vol.8 No.-

        홍익인간사상은 한국 문화사나 사상사를 정리할 때 그 첫머리에서 다루어져야 할 주제이다. 한국사상 첫국가인 고조선이 건국되던 무렵의 고대 한국인들이 국가와 공동체 그리고 바람직한 삶의 모습에 대해 갖고 있던 관점을 표현한 말이기 때문이다. 특히 홍익인간은 대한민국정부가 수립된 후 교육의 기본이념으로 교육법속에 법제화(1949)되어 오늘날에 이르고 있기도 하다. 물론 이 고대의 이념이 한국사를 관통하여 역사를 이끌어 왔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홍익인간은 현대 한국에 와서 부활하여 한국인의 삶과 교육의 기본원리이자 지침으로 지향해야 할 기본가치로 제시되었다. 단군이 신시를 열고 고조선을 건국한 날을 기념하는 개천절이 국경일로 지정되면서, 매년 개천절마다 홍익인간의 이상이 상기되고 공동체가 당면한 과제들을 이 정신에 입각하여 극복해갈 것을 다짐하기도 한다. 홍익인간은 인간의 복지를 국가와 정치가 추구할 최상의 목표로 제시하고 있으며, 개개인들에게는 이웃과 공동체를 위하여 헌신하는 삶을 촉구한다. 그것은 고대 한국인들이 갖고 있던 인본주의적 세계관을 알려주고 있으며, 현대를 살고 있는 한국인들에게도 공동체를 다듬고 개개인의 삶을 영위하는 과제와 관련하여 지혜와 지침을 주고 있다. 우리가 역사 속에서 현재의 고민들을 해결하고 미래를 개척하는 과제에 도움 줄 수 있는 정신문화적 유산들을 찾아낸다 할 때 특히 부각되는 것이 홍익인간이념이라 본다. 그것은 한국이 세계에 대해 제시할 수 있는 보편적인 의의도 갖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 문화의 과거 및 현재와 관련하여 홍익인간이념이 차지하는 위치와 의의를 살피고 있다. 논문에서는 먼저 홍익인간이 실린 문헌들을 검토한 후 홍익인간이 지향하는 문화적 내용을 인본주의라는 측면에서 살피고, 이 이념이 한국문화의 과거와 현재 및 미래와 관련하여 차지하는 위상을 논의하는 순서로 논의를 진행한다. 논문에서는 홍익인간은 현대한국 문화를 설명하는 키워드는 아니지만 21세기가 당면하고 있는 여러 과제들은 이 이념을 회복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Hongik-Inkan idea is the first theme to deal in discussing the Korean culture. It is the ancient idea which ancient Koreans possessed around the time of founding first state Old Joseon. Hongik-inkan idea was enacted as the fundamental aim of education in the Law of Education when Korean government estabilished. Of course it can not be said that this ancient thought led Korean`s life through the whole history. However it was revived in the modern age and presented as the basic plinciple of life and education. When Gaecheonjeol, the National Foundation Day of Korea comes, Hongik-Inkan idea is always remembered and people promise repeatedly that they overcome the facing tasks of the community under this idea. Hongik-Inkan means the grate benefit for mankind, and it calls upon people to devote their life to the happiness of community or neighbor. It informs about the humanitarian world view which the ancient Koreans possessed. Among the cultural heretages of Korean history, Hongik-Inkan idea is one of the autstandings. It also is the Korean`s idea, and it has the universal meanings which is applicable to the human beings of 21th Century. This article discusses the position and meaning of Hongik-Inkan idea in the context of Korean culture. This article examines first on the texts which informs the idea of Hongik-Inkan, and deals its meaning in the aspect of humanitarianism. And then it discusses the position in the Korean culture as well as the instructions for human`s future. Hongik-Inkan idea is not a leading value in modern Korean culture. However it will be said that the tasks of 21th Century require Hongik-Inkan as a essential basis of culture and ethics.

      • KCI등재

        홍익인간 사상의 경제학

        정영훈(Jeong, Young-Hun) 고조선단군학회 2017 고조선단군학 Vol.36 No.-

        단군신화 속의 홍익인간은 인간세상에서 구현되어야 하는 가치이자 지상의 모든 일들을 처리하고 운영함에 있어 입각해야 하는 기본원칙이었다. 홍익인간의 글자 그대로의 뜻은 [인간을 홍익하라], 곧 인간을 행복하게 해주라는 것이다. 신화속의 홍익인간은 우선 국가와 권력의 사명이나 존재목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교육 · 종교 · 윤리 · 학문 · 과학기술 등 인류사회의 모든 문명장치들이 기여해야 하는 목적이자 운영원칙이기도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홍익인간은 어떠한 모습의 경제를 지향하는가, 그것이 경제방면에 주는 지혜는 무엇인가 하는 질문에 대해 답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에서는 홍익인간이 실천되는 구체적 활동으로 적시되어 있는 주곡 · 주명 · 주병 · 주형 · 주선악에 대해 경제적으로 분석하는 일부터 시작하였다. 그리고 홍익인간을 경제의 목적이자 경제활동의 지침이라 이해할 때 그것은 어떻게 해석될 수 있을지에 대해 성찰하였다. 홍익인간이 지향하는 경제모습에 대한 필자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을 것이다. (1) 경제의 존재이유는 홍익인간, 곧 인간을 행복하게 하는 데 두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시장과 돈의 존재이유 역시 그러하고, 공적 국가정책 역시 그에 목적이 두어져야 한다고 본다. (2) 먹고사는 문제와 병 고치는 일은 국가가 담당해야 할 사무로 간주된다. 인간이 살아가는 데 기본적인 민생사안은 국가가 책임져야 하며, 개인에게만 맡겨서는 안된다는 생각이다. (3) 시장의 질서를 잡고 평화를 이룩하는 일도 국가가 수행해야 할 업무로 상정된다. 경제 방면에서 반공동체적 행위들을 제지하고 사회정의와 질서를 확보하며 시장을 도덕적으로 개선해야 한다는 것이다. (4) 경제부문에서 선의지가 적극적으로 발휘되도록 촉진해야 한다고 본다. 홍익인간은 인간 내면에 존재하는 선의지를 발동시키고 촉진시키는 데 관심 둔다. (5) 홍익인간은 고르면서도 큰 행복과 복지를 추구한다. 홍익인간은 가난한 평등을 추구하지 않으며, 성장과 발전, 생산성과 효율성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는 바, 이런 지향은 자본주의 시장경제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고려하게 된다. 홍익인간이 가지는 이같은 경제적 지향은 신자유주의가 초래한 경제위기와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모색되는 자본주의4.0 담론들과 상통하는 바가 많다고 판단된다. Hongik-Inkan in Dangun-myth was the goal-value which must be implemented in human society and was the fundumantal principle which should be based in managing all things on earth. It’s literally meaning was “Make human beings happy”. First of all Hongik-Inkan was brought up as the purpose of state and political power. And also it was the gole and operating principle to which all the civilization apparatuses must serve, such as politics, economy, society, culture, education, religion, ethics, science, technology, etc. This article explores the wisdoms which Hongik-Inkan idea offers to economic problems. Hongik-Inkan think that economy and market must be operated for the happiness of mankind, and not of capital. And the welfare problem and safety issues of human society is the subject of state and not of individuals. According to the conclusion of this article, the economic orientations of Hongik-Inkan idea are similar to those of capitalism 4.0.

      • 민족정체성, 그리고 한민족의 민족정체성

        정영훈 ( Young Hun Jeong ) 한국민족학회 2010 민족학연구 Vol.9 No.-

        한민족의 민족정체성에 대한 질문은 그 자체로 흥미로운 주제이면서 실천적 의의 또한 중요하다. 한말의 국학이래 민족정체성에 대한 탐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그러나 아직 만족스럽 해명은 나오지 않은 실정이라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민족정체성 문제에 대한 기초적인 논의에 토대하여 한민족의 민족정체성을 어떻게 규정할 수 있을지 하는 문제를 검토하였다. 이 논문에서 다루려한 문제는 다음의 세가지로 진술될 수 있을 것이다. (1) 민족정체성이란 말의 개념과 구성요소 및 속성들에 대한 이해를 도모해보고자 하였다. 여기서는 민족정체성이 개인이나 집단에게 제기되는 정체성의 한 양상이라는 점과 역사적으로 형성되어온 어떤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면서 민족정체성이 가지는 성격을 검토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그것의 유지·존속에 관여하는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2) 민족정체성이 가지는 의의와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여기에서는 민족정체성이 민족주의와 불가분의 관련이 있음을 감안하여, 민족주의에 대한 비판과 그에 대해 제기될 수 있는 반론을 제기하는 가운데 민족정체성이 가지는 의의를 드러내고자 하였으며, 특히 포스트모더니즘의 민족이론들을 염두에 두면서 민족정체성 문제를 검토하였다. (3) 한민족은 누구인가 라는 질문에 대해 나름의 대답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한민족이라는 용어에 대한 고찰에 이어, 한민족이 갖고 있는 종족적·문화적·언어적·역사적 특징으로의 외적 정체성과, 스스로를 어떻게 인식하였는가 하는 내적 측면의 정체성에 대해 살피고, 한민족의 민족정체성에 대해 연구자 나름의 요약된 결론을 시도해보고자 하였다. The identity of Hanminjok is a very controversial and ambiguous theme. Its historical origin and range are the questions under debate. Moreover there are many critical evaluations around national identity. In recent years post modernists insist that the national identity is the invented tradition, which was built up by the modern governmental power or the romantic nationalists with the purpose of national integration and state building. More numerous anti-nationalists asserts that national identity is a dangerous and harmful mechanism for world peace. Of course for these opinions many objections are exist. This article examines some basic problems which must be dealed before the full-scale study on the identity of Hanminjok, the Korean nation. The interests of this paper will be summarized as following 3. (1) The first question is what is the concept and meaning of identity and national identity. As the national identity is a kind of identity, this paper starts the discussion with the meaning of identity. (2) The second question is why the national identity is necessary for mankind. This paper examines the disputes on nationalism because the national identity has inseparable ralation with nationalism. (3) The third question is who is the Korean nation and how can we define the identity of Hanminjok. This paper discusses the origin of the term of Hanminjok and examines the ethnical, cultural, linguistic and historical character of Hanminjok. Hanminjok`s sense of collective identity in Korean history is also checked.

      • KCI등재

        조소앙의 단군민족주의와 삼균사상

        정영훈(Jeong, Young-Hun) 고조선단군학회 2018 고조선단군학 Vol.38 No.-

        이 논문에서는 조소앙의 생애와 활동 및 삼균사상을 단군민족주의와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먼저 소앙이 단군민족주의자들과의 교류 속에 그 사상세계를 발전시켰다는 점과, 대종교의 역사인식을 공유한 점, 스스로 단군민족주의를 보급하고 활성화시키기 위해 노력한 점 등을 들어 소앙을 단군민족주의자로 규정하였다. 소앙이 전개한 삼균주의(삼균제도)에 대해서도 단군민족주의적 정치이론으로 규정하였다. 삼균주의는 단군민족주의운동이 찾아낸 홍익인간이나 균평흥방론 같은 고유의 명제로부터 그 균등사상의 출발점을 삼는다는 점을 지적하였고, 특히 삼균주의의 균권・균부・균지론은 단군민족주의 운동의 주역인 대종교가 제시하는 삼일신사상과 유사한 논리전개를 보인다는 점을 중시하였다. 소앙의 삼균주의는 단군민족주의에 동반된 정치사회적 지향을 이론적・정책적으로 구체화해준 것이라 할 수 있다. 삼균주의가 중시하는 균등-평등은 단군의 자손론이 지향하는 공동운명체론이 전제로 삼고있는 기본원칙이었다. 삼균주의가 추구하는 국가는 ‘韓人의 韓’으로의 한민족의 국가이자 국민주권주의에 기초한 민주공화국인 바, 그것은 단군의 자손으로의 조선민족을 정치의 주체이자 목적으로 간주하는 단군민족주의적 정치관을 구체적으로 표현한 것이었다. 계급을 초월하여 민족적 차원에서 공동운명체로 결속할 수 있다고 간주하고, 자본주의와 공산주의를 넘어 합작하고 통합하는 민족유일당과 통일민족국가를 추구하였던 소앙의 노선은, 민족을 초계급적 공동체로 보는 단군민족주의의 통일공동체관을 구체적으로 천명하고 실천한 것이었다. ‘족여족균등’의 기치하에 민족을 단위로 한 세계일가를 지향한 소앙의 노선 역시, 민족적 자주성과 독자성을 추구하되 홍익인간의 인본주의를 실현하고자 한 단군민족주의의 기본적 지향과 합치되는 것이었다. 소앙의 삼균주의는 좌우를 종합하는 제3의 민족주의 이데올로기이자, 한국에서 출현한 독창적인 사회주의사상으로 평가된다. 이 논문에서는 이같은 기왕의 논의에 한가지 더 중요한 의의를 추가하였다. 소앙의 삼균주의는 단군민족주의의 흐름과 유산속에 생산된 한국사상사상 가장 독창적인 정치이론의 하나였다는 것이다. 소앙의 삼균주의는 안재홍의 신민족주의 및 안호상의 일민주의와 함께 단군민족주의적 정치이론으로 묶어서 논의해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discusses the JoSoang"s national movement and Samgyunism (三均主義) in the relationship with Dangun-nationalism. Dangunnationalism means the thoughts or movements which persued the ethnical integration and development under the identity consciousness of Dangun"s decendants. Dangun-nationalism had worked as a power sourse for national identity, independency, integration, democracy, justice and welfare. Its origin went back to the 13th century when Dangun Myth was recorded in some history books. And it was generalized in the Korean"s national consciousness at Hanmal(韓末) period and under Japanese rule period. Samgyunism is the political theory which JoSoang, the famous Korean independent movement leader, maped out. JoSoang proposed it as the main ideology to make the unifyed independent nation state. Samgyunism may be said as one of the political theory of Dangun-nationalism. First of all, JoSoang was a Dangun-nationalist who thought Korean people as the Dangun"s decendants. And Samgyunism started its theory on the bases of Korean native thoughts such as Hongikingan(弘益人間) idea which was mentioned in the Dangun Myth and Gyunpyungheungbang(均平興邦) idea which was mentioned in Sinzlbosa(神誌秘詞). Dangun myth and Sinzibisa were the texts which Dangun nationalism searched out in the cultural heritage of ancient Korea. And Samgyunism"s three main principles, such as Gyunkueon(均權), Kyunbu(均富), Kyunji(均智,) are presumed to be affected from the trinitarianism (三一神思想), which was the main doctrine of Daejonggyo(大倧敎), the religion which venerate Dangun. Samgyunism was made under the influence of Dangun-nationalism and we can say it as the embodyment of Dangun-nationalism.

      • KCI등재

        항일독립운동과 단군민족주의

        정영훈(Jeong, Young-Hun) 고조선단군학회 2020 고조선단군학 Vol.43 No.-

        이 논문은 특히 한말~일제강점기의 항일독립운동에 단군민족주의가 관여하고 기여한 내역을 살피고자 집필되었다. 단군민족주의는 단군의 건국으로부터 민족 공동의 역사가 시작되었다는 단군의 자손의식에 기초하여 민족집단의 정체성을 규정하고 민족적 통일과 자주독립 및 발전을 도모하는 일련의 사조와 운동을 가리킨다. 단군은 근대 한국의 저항민족주의를 지탱해온 정신적 지주의 하나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일제와 맞서 싸우는 일은 자신의 목숨까지 내놓아야 하는 절박한 결단을 요구하고 있었다. 근대 한국 저항민족주의는 민족성원들을 분명한 민족정체성인식으로 무장시키고 자주독립을 위한 투쟁대열에 참여하여 헌신하는 의지를 형성하는 과제를 우선적으로 부여받았다. 긍지 높은 민족의식에 입각하여 민족성원들을 결속시키고 결집된 민족역량을 투쟁대열에로 동원하는 과제에 기능적으로 부응한 것이 바로 단군이었다. 일제침략기를 통하여 조국광복을 위한 민족적 투쟁에너지의 상당부분은 단군을 매개로 해서 단군민족주의의 주도하에 조성되었다. 논문에서는 한국사 속에서 단군민족주의가 전개된 과정을 더듬은 후에, 일제강점기에 전개된 단군민족주의 운동들이 가지는 의의를 항일독립운동과 관련하여 검토하고, 항일독립운동의 전개에 단군민족주의적 상징과 인식이 기여한 바를 분석하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how Dangun-nationalism contributed to Korean anti-Japan independent movements. Dangun-nationalism means the thoughts and movements which persued the ethnical integration and national development under the identity consciousness of Dangun’s decendants. Dangun-nationalism was one of the mental pillars which sustain the Korean resistance nationalism. The activities persuing national independent under Japanese rule were very tiring struggles which even demand individual’s precious life. The priority task of resistance nationalism was to arm the natioal identity and the spirit of independence for the members of nation. It was Dangun who made up the national pride and unite the members of nation. Through the independent movement era the struggle energy for national liberation were made by the initiative and mediation of Dangun-nationalism. Dangun was understood as Korean’s ancestor god who protect Korean nation from foreign invasion. This paper searches the unfolding process of Dangun-nationalism in Korean history and analyzes how it contribute to Korean nationalistic movement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 KCI등재

        안재홍의 고유셈말 해석과 조선정치철학론

        정영훈(Jeong, Young-Hun) 고조선단군학회 2015 고조선단군학 Vol.33 No.-

        This paper discusses on the An Jaehong’s analysis of Korean Numeral Words. An Jaehong insisted that Korean native numeral words, such as ‘Hana’, ‘Dul’, ‘Set’... ‘On’, ‘Zumun’, ‘Gol’, ‘Jyal’, reflected the ancient Koreans’ thoughts towards cosmos and political world. An Jaehong thought that the systemof numeral words were not made disorderly. He reckoned that the extension courses of numeral words reflected the expending prosess of ancient Koreans toward the awareness of cosmos and political community He asserted that numaral words represented the idea-material dualism, welfare democracy and the flexible realism of the ancient Koreans. An Jaehong thought that the truth is new forever and the wisdoms of ancient Koreans are useful for now. He created the political theory of Sin-Minjokjuwi (Neo-nationalism) on the basis of analysis of ancient Korean political philosophy. And He pursued national integration and independent nation state with his Sin-Minjokjuwi ideology. Sin-Minjokjuwi ideology was one of the representative ideologies in the History of Korean political thoughts.

      • KCI등재

        [특집-단군신화연구] 한국인의 정체성과 홍익인간이념

        정영훈(Jeong Young-Hun) 고조선단군학회 2002 고조선단군학 Vol.6 No.-

        This Article discusses the Hongikinghan(弘益人間) ideology in connection with the Korean's identity. Hongikinghan was the ideal of the Korean's first national foundation in 2333 B.c., and was the educational aim in the Education Law 1948 A.D.. And it means the greatest service for the benifit of humanity. In Dangun Mith(檀君神話) which depicted the progress of Korean's first founding State, Hongikinghan was described as the ideal of founding state. Seeing in this context Koreans can be explained as the people who began their history with the Hongikinghan ideology, united into community by that ideology, and accepted it as the principle of individual life. Hongikinghan was settled down as the educational ideal by the first Korean government in 1948. It can be said that from the time of begining modem history Koreans chose the Hongikinghan ideology as their principle of individual and social life, and decided it as the educational principle in raising their children. Hongikinghan pursues the life and society which helps the man broadly. So Koreans can be explained as the people who dreamed the happy community which respects man as the final aim and determined the serving life toward the neighbors and community. But if we see in the<br/> viewpoint of Hongikinghan we must say with a heavy heart that today's Koreans are living in the self-loss conditions and self-betrayal history. Today's Koreans are living under a anti-community value sense and anti-Hongikinghan thinking way such as egoistic individualism and immoral epicurism. Koreans must recover the native identity and ideals which accepted the Hongikinghan ideology as the principle of life. And Hongikinghan must be a term which dipicts the present and future identity of Kore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