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헌법상 공무원의 정치적 자유의 제한과 그 한계

        鄭永和(Jung Young Hoa) 한국헌법학회 2012 憲法學硏究 Vol.18 No.1

        공무원의 정치활동은 헌법 제7조 제2항에서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성과 직업공무원제도의 구체화를 법률로 정하도록 한다. 그러나 공무원의 정치활동의 허용 및 금지에 관한 명확한 법령의 규정이 없어서 법원이나 헌법재판소가 재판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 한편, 영미와 독일 및 프랑스는 현대 정당민주국가 하에서 공무원이나 교원들에게 정치적 중립성을 인정하지만 기본적으로 정치활동의 자유를 넓게 보장하고 있다. 공무원의 정치활동이 직무와 관계없으면 자신의 정치적 자유를 향유하고, 반면에 일본은 미국의 1939년 ‘Hatch Act'의 영향을 받아서 공무원의 정치활동의 자유를 열거적인 허용요건에 의하여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다. 요컨대, 공무원의 정치적 자유는 그의 특성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구별된다.1) 첫째, 정치적 의사 표현의 자유롭게 향유하고(정신적 자유의 개인적 측면). 둘째, 정당의 가입과 활동에 의해서 정당정책에 반영하는 자유(정당참여의 사회적 측면). 셋째, 공직선거에서의 입후보나 후보자를 지지하는 등 적극적인 참정권 행사(선거참여의 공적 측면) 넷째, 공무원이 직접 직무의 형식 및 내용과의 관련성 여부에 따라 정치적 활동의 범위가 결정될 수 있다. There has been continued criticism that officials’ political actions have been judged from violation by the Constitutional Law Clause 7 and National Official Act and Local Official Acts so far. As there has never been any definite provisions that officials’ political action shall be allowed or prohibited, Courts and Constitutional court have been in trouble for their litigations. Under the Partisan Democratic State, UK and USA and Germany and France have allowed the political neutrality to parties, but they have assured their freedom of political actions in public and in broad. If officials’ political action has not related with their job and its function such as time and place etc, they can enjoyed their freedom in fundamental. But Japan was effected by ‘Hatch Act’ of 1939 from United States of America in 1950s, and his officials’ political freedom shall be allowed in definite by an enumerated permission provision. In final, officials’ political freedom can be classified in four types by their characters of freedom as following: the individual level of mental freedom, and social level of partisan participation, public level of vote participation, and officials’ impartiality toward his/her job and function such as time and place.

      • KCI등재

        현대 헌법의 인간존엄과 바이오(생명) 윤리문제에 관한 연구

        정영화(JUNG YOUNG HOA) 한국헌법학회 2010 憲法學硏究 Vol.16 No.4

        생명윤리는 그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윤리에 반하는 행위를 피하는 반면, 윤리적인 행위를 행하도록 하는데 관련된다. 법과 생명윤리의 관계는 동의와 자기결정권을 둘러싼 담론의 상호작용은 온정주의에서 복지와 자주성을 존중하는 태도로 전환하는 법적 규제의 균형을 가져왔다. 오늘날 생명윤리 담론의 효과는 자유주의적 자율성의 지배에 의해서 형성되었다. 자유성은 환자의 보호와 그의 자유로운 결정에 따른 행동을 촉진하는 원리이다. 근래에 생명윤리 담론은 지배적인 자율성에 대한 비판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주석자들이 사전 동의와 자율성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 문제를 제기해 오고 있다. 그러나 현대의학의 줄기세포연구에서 배아에 대한 생명권과 존엄권의 인정 여부가 중요한 헌법문제로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실제로 헌법재판소도 배아의 생명권을 부정하면서 단순히 국가의 배아에 대한 보호의무를 인정하는 결정을 선고했다. 유감스럽게 이 결정은 생명윤리에 대한 헌법중립의 해석이기 때문에 향후 생명윤리 법실무에 있어서 오류를 낳을 것이다. 따라서 이 글은 생명윤리 이슈에 대한 헌법소송과 생명윤리법제의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Bioethics is concerned that those who engage in biopractice should make effort to avoid doing the wrong thing and should always attempt to do the right th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law and the bioethical discourse that developed around consent and the right to respect for autonomy has resulted in the balance of legal regulation shifting from the paternalistic tradition to one the tries to balance respect for autonomy and welfare. The effect of bioethical discourse has been shaped by the dominant liberal approach to autonomy so far as: the principle of protecting and promoting patients' ability to make and act upon free, informed decisions resulting from capable and uninfluenced deliberation. Recently, there has been a shift in the bioethical discourse with increasing criticism of the prevailing approach to autonomy, and some commentators have even begun to challenge the connection between informed consent and autonomy. However the constitutional debates have dominantly been increased on the embryo's mental and legal status whether it may respect its dignity and life in the course of research with embryonic stem cell in modern medical science or not. In actual, the Constitutional Court denied the right of embryo's life and made decision on the consent of the protection responsibility for human embryo. But I was afraid that this judgment corresponds to the constitutional neutral interpretation of bioethics, and so it may lead to misconception and confusion on the bioethical legal practice after then. this paper carefully examined the perspectives of constitutional litigation and bioethical legal understanding on bioethical issues

      • KCI등재

        지방교육자치제의 헌법적 쟁점과 개선방안

        정영화 ( Young Hoa Jung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홍익법학 Vol.16 No.1

        As local government system has been enlarged since 1990s, the method of election both superintendent and member of the board of education has been changed many times. There is only the nomination of political party as difference between election of mayors and governors and superintendent of education in provinces and cities, they will come into conflict no more than cooperation with exerting their authorities because of same amount authorized by law for their election campaign expenses. The direct election of the electorate for superintendent of education may confirm to those constitutional principles of education autonomy, local autonomy, and democracy, but the detail ways of its election may correspond to a legislative thing by lawmakers. the core problem on education autonomy leads to the conflict of combination and division between administration of local government and that of education autonomy. The combination of administration of local government and that of education autonomy can build up a educational human right of civil, reinforce an accountability of school management, and guarantee the validity of education autonomy through segregation between management and adminstration on school education. Above all things, mayors and governors shall burden as a political delegate a final responsibility not only a general autonomy adminstration, but also educational autonomy administration toward regional electorate. If mayors and governors and superintendent of education have an equal autonomy administrative responsibility, that is against the rule of natural law between whole and part. Mayors and governors nominee can choose superintendent candidate as optional running mate by direct election of electorate as well as the existing method of election of superintendent, in addition to a recommendation and approval for the superintendent of schools in primary local cities by province assembly. This can guarantee the professionality and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and decrease the election cost of superintendent of education.

      • KCI등재

        憲法上의 婚姻 및 家族에 關한 批判的 解釋의 考察

        鄭永和(Jung, Young Hoa) 한국토지공법학회 2009 土地公法硏究 Vol.43 No.3

        한국의 전통적인 가부장제의 가족제도에 놀라운 변화는 산업화에 따른 사회분업의 결과로서 1960년대 이후 인구통계학적 지표를 통해서 알 수 있다. 그 변화의 중요한 특성은 급속한 도시화의 영향으로 가족규모가 작아지고, 또 다양한 가족의 형태와 구조가 생성하였다. 예컨대, 여성의 교육수준의 향상과 취업률의 증대로 인해서 사회경제적 가치관에 큰 변화를 초래해서 만혼이나 저출산율 등으로 인구감소를 가져왔다. 그 결과 국가는 혼인과 가족에 관련된 정책과 법제도에 있어서 불가피한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오늘날 가족의 해체에 직면하여 우리나라 헌법 제10조는 국가에 대하여 국민의 기본적 인권을 최대한 보장할 책무를 지우고 또한 제36조는 국민의 기본적인 가족생활에 관한 혼인과 양성평등의 기본원칙만 명시하고, 혼인 및 가족의 보호범위나 가족의 기본권에 관하여 개방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먼저 헌법상 혼인과 가족에 관한 헌법해석이 가족법에 대하여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면서, 제36조 제1항의 법적 성질과 내용을 검토한다. 다음은 제2항의 모ㆍ부성의 의미와 법적 성질 및 보호범위에 관하여 논의한다. 끝으로 제36조의 혼인과 가족에 대한 효력과 내용이 가족 공동체의 인간의 존엄과 가치, 또 인간다운 생존권을 실질적으로 구현하기 위하는 데 필수적인 위헌심사기준을 검토한다. The remarkable change in Korean traditional patriarchy Family system with resulted in the social specialization of industrialization might be witnessed through those index of population statistology after 1960s. An important character of those changes made minimize the scope of family and emerged into the multifarious shape and formations of families in according to the effect of urgent Urbanization. For example, An improvement of women's education level and the increase of their employment made lead to a considerable change of societal values among women and it brought out a late marriage and a decline of birth rate. With the consequence that we have to face with the critical and indispensible change on the constitutional policies and legislatures with related marriage and family institutions. Although we shall confront with the family liquidation in recent, The Article 10 of Constitutional law make burden on state to be responsible for maximum protection of fundamental human rights. However Article 36 of Constitutional law shall prescribe the basic principle of marriage and equality of both sexes, but our Constitutional law has not enacted the scope of protection on a marriage and a family as well as leaves the basic rights of family open toward a jurisdictional power. First, I shall research the effects on the family law of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about marriage and family in constitutional law and do the legal nature and contents of article 36 clause 1. Second, It is concerned with the meaning of maternity and legal nature and a scope of protection related the article 36 clause 2. Third, I am concerned on the essential scrutiny rule to enforcement the validities and contents on the marriage and family in Constitutional law article 36 shall be enforced to realize the human dignity and value and the right to live substantially as human being and of a family living community.

      • KCI등재

        판례연구 : 헌법소송에서 입법재량권에 대한 위헌심사 -2010. 2. 25. 2007헌마956-변리사법 제3조 제1항 제2호등의 위헌성-

        정영화 ( Young Hoa Jung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홍익법학 Vol.14 No.3

        현재 변호사에게 변리사자격을 자동 부여하는 변리사법의 제3조 제1항 제2호에 대해서 헌법재판소의 법정의견은 넓은 입법재량권을 인정하여 평등권을 침해하지 않는다고 판시하였다. 물론 헌법재판소의 판단이 직업의 자유의 내용을 구체화하는 문제에 대해서 합리적인 입법재량권을 인정하는 해석이라면 일응 타당할 수 있다. 그러나 50 여년 동안 변리사법의 입법사실과 입법목적은 변화되었거나 소멸되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법개정의 책무를 게을리하는 입법부의 입법재량을 수수방관하는 판결이라고 비판받을 것이다. 만약 헌법소송에서 입법재량권에 대해서 사법억제라는 사법소극적인 헌법해석을 극복하지 못하면, 결과적으로 기본권보장자로서 헌법재판소의 책무와 역할을 포기하게 될지도 모른다. 따라서이 글의 목적은 헌법재판에 있어서 입법재량론과 입법사실론에 대하여 실질적이고 객관적인 심사기준을 검토하되, 국내외 선행연구가 미미한 까닭으로 일본과 미국의 헌법 이론과 판례를 고찰하여 상기의 변리사법의 위헌법률심판사건에 있어서 구체적인 입법사실과 입법재량권의 적용 효과를 살펴본다. The Constitutional Court made decision on the case of 2007 hunma 956 as constitutional in 25th Feb. 2010, which the patent attorney act should authorize attorney with title of patent attorney by the article 3 section 1, as well as the legal opinion of the court ruled to a broad legislative discretion as not violating the equal right. As though the Constitutional Court could not put on material and objective standards of the legislative discretion and legislative facts in spite of a rapid increasing those kind of cases through the constitutional litigations, it can result with violation of human rights by itself. This paper is explored the Japanese and American cases and theory on both legislative facts and legislative discretion, and then I reviewed the detail judging criteria as both legislative facts and legislative discretion on adjudication on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patent attorney act.

      • KCI등재

        헌법상 경제질서에 대한 개정방안

        정영화(Jung Young Hoa)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2010 世界憲法硏究 Vol.16 No.4

        헌법에서 일정한 경제원리 등을 표방하는 다수 국가들은 경제헌법을 채택하고 있다. 근대 자유주의 시장경제에서는 개인이 ‘국가로부터의 자유’를 넓게 인정하여 사익을 추구하며, 시장기능에 의해서 사회적 조화가 유지된다고 보았다. 이와 대조되는 현대법의 특징은 경제생활에 있어서 다양한 경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경제행정작용이 법치주의원리에 구속된다. 더구나 경제헌법은 경제학과 법학상호간의 중립성 때문에 사법과 공법 양자의 규범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경제행위에 관한 法源은 모든 생활에서 경제적 사실과 규범을 분리하여 평가할 수 없고, 경제사실과 법규범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즉, 경제헌법은 경제현상의 변화에 따라서 법규범의 개정을 수반하기 때문에 동태적 법원이다. 경제헌법은 다른 법제와의 관계를 정하고, 독자적 법해석은 법원리와 경제이론에 의하여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경제헌법의 연구방법은 과학성과 객관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법해석과 법정책 및 경제학을 포함해야 할 것이다. 이 글은 경제헌법조항의 법적 효력과 재판과정에서 그의 위헌심사기준을 분석한다. 왜냐하면 헌법재판소와 대법원의 판례에서 경제헌법에 대해서 명확한 심사기준이나 심사유형이 아직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 경제헌법 논의의 핵심사항인 경제민주주의와 법치주의원리 사이의 해석을 분석한다. 특히, 경제발전과 경제헌법의 실증을 시장경제의 법적 기초로서 분석하고, 또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시장경제의 진화와 국가의 경제개입의 한계를 검토한다. 결국 현행 경제헌법은 경제규제와 사회규제의 구별을 전제하고, 경제헌법의 전면개정에 관한 구체적 방안을 제시한다. Many States have an Economic Constitutional Law which claim to stand for the certain economic principles in Constitutional Text. In the modern liberal economic market made individuals pursued their interest and allowed a broad liberty from the state, and so took into consideration to be social harmony by market function. To the contrast of modern law, the characters of contemporary law should make the economic administrative action bound by the principles of rule of law for solving those several problems of economic lives. Moreover the economic constitution can encompass both private law and public law because of inter-neutrality between law and economics. The legal resource on economic action can not be examined with separation between economic facts and norms, so we have to weigh the interaction of economic facts and legal norms. In other word, an economic constitutional law is a dynamic legal resource which will be entailed a revision of legal codes owing to change the prevailing economic conditions. Economic constitution can be established a reciprocal relation with other legal institution, and the legal principle and economic theories can account for its interpretation, but the research method of economic constitution shall entail the legal interpretation and legal policy and economics in order to ensure its science and objectivity. This article is concerned with analysis on the legal effect of economic constitutional clauses and those constitutional judging criteria in litigations. Because supreme court and constitutional court have not established judging criteria and formula on the economic constitution articles yet. So I analyzed an interpretation between the principle of rule of law and economic democracy, which correspond to the core of economic constitution since 1987. In particular, I review the practical evidence of economic growth and economic constitution as the legal basic of market economy, and examine the legal limits of economic intervention of governmental power after the crisis of foreign currency in 1997. In final,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perspectives of overall revision of economic constitution in detail under the condition of discrimination between economic regulation and social regulation.

      • KCI등재

        韓國의 政治民主主義 危機와 法制度 改革

        정영화(Young-Hoa Jung)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法學硏究 Vol.24 No.2

        1987년 정치민주화 이후, 국민들은 1997년 및 2007년 두 차례 선거에 의해서 여야 간의 평화적인 정권교체를 이룩하였다. 그렇지만 한국의 민주정치는 외견상으로만 발전한 것으로 보인다. 다시 말해서, 중앙집중의 정치문화에서 파생된 제왕적 대통령제와 정당과두화로 인해 정당은 정치적 대표성과 정책적 책임성이 약화되어 결과적으로 국민들의 정치적 무관심을 고조시켰다. 최근 검찰총장 사퇴는 ‘정치와 법의 갈등’이란 중앙집중의 정치문화가 재현된 것으로 해석된다. 민주주의 위기의 원인에 해당하는 중앙집권의 정치문화를 해소하기 위해서 관련된 헌법 및 법제도의 개혁방안을 논한다. (1) 제왕적 대통령제 및 대의제의 폐해는 다음과 같이 개혁되어야 한다. 첫째, 단임 대통령의 재신임을 허용하는 헌법개정이 필요하다. 헌법 제70조 “대통령의 임기는 4년(또는 5년)으로 하며, 1차에 한하여 중임할 수 있다”고 개정한다. 그리고 대통령의 재신임을 허용하는 개정헌법의 효력을 제한하는 헌법 제128조 제2항을 삭제하고, 동시에 헌법 부칙에서 개정 당시의 대통령에게 재신임을 물을 수 있도록 경과규정을 마련한다. 둘째, 헌법 제44조의 국회의원의 불체포특권은 제84조의 대통령의 형사소추특권에 비해서 보호범위가 넓다. 즉, 헌법 제44조 제1항은 “국회의원도 내란 또는 외환의 죄를 범하거나 현행범의 경우를 제외하고, 회기 중 국회의 동의 없이 체포 또는 구금되지 아니하다.”라고 개정할 것이다. (2) 지방분권화는 중앙정치로부터 탈피하여 지역주민의 자주성과 책임성에 기초한 2 계층제의 행정체제로 개편하도록 한다. 첫째, 지방분권을 위한 ‘지방분권기본법’은 헌법과 법률의 중간 단계에서 헌법과 유사한 효력을 부여한다. 둘째, 정당지배구조는 중앙당이 아니라 지역당(통합시, 자치시)을 활성화하고, 지역정당의 책임정치를 강화한다. 셋째, 정치행정은 민주적 대표성과 자발적 정치참여를 확대하고, 또한 권한위임과 기능분산의 기준에 의해서 현행 도/군은 폐지한다. (3) 헌법은 중앙집중의 정당지배구조를 극복하기 위해서 당내민주주의를 실질적으로 확보해야 한다. 첫째, 정당이 당대표의 권력독점을 타파하여 대표성과 책임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정책정당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둘째, 공직선거후보자의 민주적 추천의무를 규정한 공직선거법은 강행규정으로 개정되어야 한다. 셋째, 정당의 당내민주주의 헌법의무 이행과 정당의 존속기간 및 당비의 납부를 국고보조금과 매칭 펀드(matching fund)방식을 운용하게 한다.

      • KCI등재

        헌법개정에 있어서 의원내각제와 대통령제에 관한 제도분석

        정영화 ( Young Hoa Jung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홍익법학 Vol.14 No.2

        Constitutions are themselves institutions that result from a series of collective decision-making processes and motivate other forms of collective actions. The primary objectives of constitutions is to establish the legitimate foundations of governmental powers, to allocate those powers among the specific organs of government that the constitution creates or recognizes, and to provide a road map for the development of positive law and policy, including instructions for constitutional change. I am concerned with some issues in this paper as following: First, I am going to review how to run the existing presidential institution as an imperial presidency, and at the same time, representatives raise a problem of agency costs by elected president and parliament whose preferences or self interests potentially diverge from those of their constituencies. The Choice in many countries between presidential system and parliamentary system can be relied upon by the check and balance of powers and a consensual democracy and a majority democracy. Second, I will deal explicitly with their reason and side-effects how the divided government did emerged under existed presidential system which has been resulted from the presidential election of a zero-sum game. The divided government on the basis of the presidential government of executive supremacy has been politically quarreled by the ins and outs. We can take into consideration of holding the direct democracy as a plebiscite and people`s initiatives which is going to decrease an agency costs of both president and parliament and to prevent the political collisions between the ins and the outs under the divided government. Third, we can review how the constitution of parliamentary government can apply the rule of check and balance between the ins and the outs. In particular, that parliamentary system may guarantee the right to dissolve of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which can reconcile from their collisions between the ins and the outs, and I am going to examine the more effective selection criteria between presidential system and parliamentary system. In short, we have to review some issues as follows: why we have to change the presidential government through the Constitution`s Amendment soon? I do raise both the genuine presidency and parliamentary government as the perspectives of Constitution`s amendment, and refer to the public choice`s implication of economic analysis of the representative democracy in Korean constitutional political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