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탈춤>과 <경극>의 형성 배경 비교 고찰

        손대환(Dae-Hwan Son),정염방(Yeom-Bang Jeong)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6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11

        <탈춤>과 <경극>에 대한 연구는 개별 주제와 방법으로 다양하게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탈춤>과 <경극>에 대한 비교 논의는 미비하다. 본고는 <탈춤>과 <경극>의 ‘형성 배경’을 비교 분석하여 韓 · 中 문화 학술 교류를 통하여 상호 연희문화 활성화와 문화 콘텐츠 개발에 그 목적을 두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시했다. 그리고 <탈춤>과 <경극>의 전반적인 비교분석에 앞서 먼저 기원과 발생 · 발전과정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종합적으로 재검토하였다. 그 결과 <탈춤>의 기원에 대하여는 伎樂起源說(기악기원설), 마을굿 · 무당굿 · 농악굿起源說, 祭儀起源說(제의기원설), 山臺都監起源說(산대도감기원설) 등으로 기존연구논의를 시대흐름에 따라 재분석했다. 따라서 연구논의 결과 이와 같은 기원 속에서 연희되던 극 형태들이 가면극을 거쳐 조선 후기에 새롭게 형성된 극 형태로 변모된 연희가 <탈춤>이라는 것과 지방에 따라 특색 있는 형태로 연행되었다는 점이다. 또한 사회 · 문화적인 면에서는 관 행사에서 점차 서민들에게 이양되어 서민과 중인을 중심으로 창작, 연행되었다는 연구와 당대의 사회 · 문화 현상과 밀접한 관계 속에서 <탈춤은 서민들의 삶의 애환과 부조리한 사회현상을 풍자하는 ‘사회적 공기’의 역할을 주도하였다는 분석이다. 그리고 경제적인 면에서 상업과 농업의 발달로 인한 서민경제의 향상으로 상인들의 적극적인 지원 아래 <탈춤>이 성행하였다는 점과 <탈춤>의 연행이 서민 속으로 이동되어 서민문화의‘꽃’으로 정착하였다는 것에 주목했다. <경극>의 기원과 유래에서는 揚州의 徽劇(휘극)이 연극화되어 연행되었고 이후 淸 나라 시대의 乾隆皇帝(건륭황제)의 적극적인 관심 아래 <경극>의 연행이 성장하여 현재까지 중국을 대표하는 연극으로 구축되었다. <경극>은 사회 · 문화적 면에서 18, 19세기의 지식인들이 중국 고유문화예술을 활성화 한다는 차원 아래에 당시 科擧시험에서 벗어나 <경극>연행의 대중화를 위하여 노력해왔고 이로 인하여 일반 서민들과 북경사회의 모든 계층의 지지를 받아 <경극>의 연행이 성행하였다는 연구결과이다. 반면 주요 차이점으로는 <탈춤>은 관 행사에서 벗어난 이후 연행 주체 성격상 王과 官의 지원 없이 서민들의 주체적 노력으로 연행되고 발전하였다는 점과 <경극>은 당시 皇帝와 貴族들의 적극적 관심 아래 서민들 모두와 함께 하는 공동체적 <경극>으로 성장하였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the historical origins and sociocultural backgrounds of <Talchum - the traditional Korean masked dance> and <Peking Opera> as performance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 the following assertions can be derived. In the economic aspect, it is noteworthy that ’Talchum - Mask(ed) dance’ was prevalent with the active help of rich merchants having emerged from the development of commerce and agriculture. In the case of <Pecking Opera>, it can be analyzed that various comedies were dramatized and then performed in Ancient China, its performance was improved under much attention of Emperor Geollyung during the Quing Dynasty, and finally came to be the most representative theater style of China. Meanwhile, another finding in the aspect of a sociocultural viewpoint is that the intellectuals of the 18th and 19th centuries strived to make it popular to perform <Pecking Opera> in order to vitalize indigenous cultural arts rather than just focus on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 KCI등재

        <탈춤>과 <경극>의 형성 배경 비교 고찰

        손대환(Dae-Hwan Son),정염방(Yeom-Bang Jeong)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6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0 No.6

        <탈춤>과 <경극>에 대한 연구는 개별 주제와 방법으로 다양하게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탈춤>과 <경극>에 대한 비교 논의는 미비하다. 본고는 <탈춤>과 <경극>의‘형성 배경’을 비교 분석하여 韓·中 문화 학술 교류를 통하여 상호 연희문화 활성화와 문화 콘텐츠 개발에 그 목적을 두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시했다. 그리고 <탈춤>과 <경극>의 전반적인 비교분석에 앞서 먼저 기원과 발생·발전과정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종합적으로 재검토하였다. 그 결과 <탈춤>의 기원에 대하여는 伎樂起源說(기악기원설), 마을굿·무당굿·농악굿起源說, 祭儀起源說(제의기원설), 山臺都監起源說(산대도감기원설) 등으로 기존연구논의를 시대흐름에 따라 재분석했다. 특히 伎樂起源說(기악기원설)에 대해서 백제 사람 味摩之(미마지)가 吳(오)나라에서 전교했다는 기존 주장은 시대적 흐름에 어긋나며 당시의 吳(오)나라가 존재하지 않았다는 사실로 새로운 주장을 제기했다. 따라서 연구논의 결과 이와 같은 기원 속에서 연행되던 극 형태들이 가면극을 거쳐 조선 후기에 새롭게 형성된 극 형태로 변모한 연희가 <탈춤>이라는 것과 지방에 따라 특색 있는 형태로 연행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사회·문화적인 면에서는 관 행사에서 점차 서민들에게 이양되어 서민과 중인을 중심으로 창작, 연행되었다는 연구와 당대의 사회·문화 현상과 밀접한 관계 속에서 <탈춤>은 서민들의 삶의 애환과 부조리한 사회현상을 풍자하는‘사회적 공기’의 역할을 주도하였다는 분석이다. 그리고 경제적인 면에서 상업과 농업의 발달로 인한 서민경제의 향상과 상인들의 적극적인 지원 아래 <탈춤>이 성행하였다는 점으로 <탈춤> 연행이 서민 속으로 이동되어 서민문화의‘꽃’으로 정착하였다는 것에 주목했다. <경극>의 기원과 유래에서는 揚州(양주)의 徽劇(휘극)이 연극화되어 연행되었고 이후 淸 나라 시대의 乾隆皇帝(건륭황제)의 적극적인 관심 아래 <경극>의 연행이 성장하여 현재까지 중국을 대표하는 연극으로 구축되었다. <경극>은 사회·문화적 면에서 18, 19세기의 지식인들이 중국 고유문화예술을 활성화 한다는 차원 아래에 당시 과거시험에서 벗어나 <경극>연행의 대중화를 위하여 노력해왔고 이로 인하여 일반 서민들과 북경사회의 모든 계층의 지지를 받아 <경극>의 연행이 성행하였다는 연구결과이다. 반면 주요 차이점으로는 <탈춤>은 관 행사에서 벗어난 이후 연행 주체 성격상 王과 官의 지원 없이 서민들의 주체적 노력으로 연행되고 발전하였다는 점과 <경극>은 당시 皇帝(황제)와 貴族(귀족)들의 적극적 관심 아래 서민들 모두와 함께 하는 공동체적 <경극>으로 성장하였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the historical origins and sociocultural backgrounds of <Talchum - the traditional Korean masked dance> and <Peking Opera> as performances. To do this, the paper makes its focus the comparison between what kind of processes these two performances practice. So far, many other predecessors in the field have discussed separately the backgrounds in performing these traditional dances with a wide variety of subjects, and it will be continuously studied. There is, however, no discussion on the comparison of the two Talchum and Peking Opera. Accordingly, the paper intends to compare ‘the backgrounds of the performances’ and suggest its findings. In drawing a parallel between the two dances, existing researchers’ analyses of their origins, occurrences, and processes of development are all assembled. On the basis of these result, the following assertions can be derived. First of all, the origin theory of <Talchum> undergoes such transitions as Sandaedogam-hypothesis, Giack-hypothesis, a Village Gut-hypothesis (a Shaman Gut), a Nongak Gut-hypothesis and finally comes to be transformed into the <Talchum> through a form of a masked dance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is per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unique features of each region. Next, in the sociocultural viewpoint, <Talchum> can be viewed as playing an important ‘societal empty space for relieving distress in that it is largely created and performed by the common and working classes. At last, in the economic aspect, it is noteworthy that ’Talchum - Mask(ed) dance’ was prevalent with the active help of rich merchants having emerged from the development of commerce and agriculture. In the case of <Pecking Opera>, it can be analyzed that various comedies were dramatized and then performed in Ancient China, its performance was improved under much attention of Emperor Geollyung during the Quing Dynasty, and finally came to be the most representative theater style of China. Meanwhile, another finding in the aspect of a sociocultural viewpoint is that the intellectuals of the 18th and 19th centuries strived to make it popular to perform <Pecking Opera> in order to vitalize indigenous cultural arts rather than just focus on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