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국내 북한이탈주민의 모빌리티 역량과 이주 실천

        정수열(Su-Yeul Chung),정연형(Yeonhyeong Jeong) 대한지리학회 2021 대한지리학회지 Vol.56 No.6

        국내 북한이탈주민은 1990년대 북한의 극심한 경제난 이후 급증하여 2020년 현재 3만3700여 명에 달한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이주민으로서의 성격에 주목하고 모빌리티 패러다임을 적용하여 탈북과 한국으로의 이주실천을 분석하였다. 북한과 한국에서 생애의 일정 기간을 보냈던 북한이탈주민을 눈덩이 표집하고 심층 인터뷰하여 탈북 동기, 모빌리티 역량, 한국 입국 후 정착지 선택 과정을 파악하였다. 연구 참여 북한이탈주민은 북한 사회와 삶에 대한 불만족, 주변인의 권유, 그리고 진로 및 진학 등이 탈북을 결심하게 된 직접적인 이유였다. 이들은 해외 방문 경험, 북한 내 지역 이동 경험, 외지 정보를 통한 상상 이동 경험 등의 크고 작은 모빌리티 역량을 가졌으며 이를 탈북과 한국입국 등 이주 실천에 활용하였다. 나아가 모빌리티 역량의 크기에 따라 한국 내 정착지를 선택함에 있어 적극성의 차이를 보였다. 북한이탈주민의 이주에 관련된 기존 분석은 탈북 경로를 확인하고 그 과정상 특징적 요소만을 단순 기술하거나 탈북과 관련된 배경적 요인을 부각하는 한계를 보였다. 이에 본 연구는 모빌리티 역량이 탈북 이전과 그리고 한국으로의 입국 과정에서 축적되고 발현되며 종국에는 한국 내 정착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number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has risen sharply after North Korea"s extreme economic hardship in the 1990s, reaching 33,700 as of 2020. This study defines North Korean defectors as migrants and analyzes their migration practice by applying the mobility paradigm. Through snowball sampling and in-depth interviews with North Korean defectors who had spent a certain period of their lives i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it analyzed the motives for defecting, mobility capabilities, and the process of choosing a settlement after entering South Korea. The major reasons for their defecting were the dissatisfaction with North Korean society, the recommendations from their relatives and acquaintances, and their career advancement. They had the different kinds of mobility capabilities such as overseas visit experience, inter-regional movement experience in North Korea, and imaginary movement through foreign information and utilizing them to practice the migration. Furthermore, there was a difference in activeness in selecting a settlement in Korea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obility capability. The existing literature about the migr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tends to simply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in the migration path and make only circumstantial arguments by emphasizing the environmental factors for defection.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at the mobility capabilities are accumulated and manifested before defecting and during moving into South Korea, and could ultimately influence the settlement in Sou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