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FRP 그리드의 산성용액 침지기간에 따른 특성 평가

        정연준,팍 멩하이,신연준,양영동,권민호 한국복합신소재구조학회 2024 복합신소재구조학회 학술발표회 Vol.2024 No.04

        현재 철근콘크리트 분야에서 부재의 철근을 FRP 보강재로 대체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는 특히 내화학성이 우수하여 보수 및 보강재로 큰 장점을 가지 며, RC 구조물의 보강재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CFRP 그리드의 경우 수지를 이용하여 섬유를 결합한 형 태를 가진다. 이러한 형태는 외부의 영향에 의해 수지 혹은 섬유의 손상으로 강도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CFRP 그리드의 산성에 대한 저항성을 침지기간에 따른 인장강도 변화량 및 SEM과 무게 변화를 통해 확인하고자 한다. 따라서 Ph 농도 1~3의 강산성에 CFRP 그리드를 침지시키는 방식을 통해 내 화학 실험을 진행한다. 황산( ㉸禮냥 ?을 이용하여 산성 용액을 제작한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은 항온장치에서 60℃의 온도로 침지기간은 30, 60, 90, 180일로 한다. 그리드의 인장강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기간 별 시편의 수는 5개로 하며 침지시키지 않은 그리 드를 포함하여 총 25개의 시편을 실험한다. 인장실험을 통해 변형률 및 인장강도 변화를 확인한다. 그 리드의 섬유 및 수지의 변화 확인을 위해 실험진행 전 그리드의 무게를 측정 및 SEM(전자주사현미 경) 데이터 확보 후 실험을 진행한다. 기간별 침지된 그리드와 비교를 통해 기간별 섬유 및 수지의 영 향 정도를 확인한다. 본 연구에서는 산성이 CFRP 그리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인장강도, SEM, 무게 변화를 통해 연구하였으며, 이를 통해 산성의 영향을 받는 CFRP 그리드 부재의 안정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 KCI등재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의 속력에 대한 고찰

        정연준,최은아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7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21 No.4

        In this study, we analyzed how the speed concept has been handled in Korea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nd suggested some didactical implications for revising the teaching of speed concept. To do this, we investigated the curriculum documents, textbooks and teacher's manuals from the first curriculum to the 2009 revision curriculum. The results show that the speed concept of the elementary mathematics in Korea has been based on the concept of average speed and that the approach of applying the value of ratio has been strengthening more than the aspect of proportional relation. So we suggested two didactical suggestions: 1) the teaching of the speed concept should start with uniform movements. 2) the reasoning of proportional relation should be more strengthened. 이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에서 속력이 어떻게 다루어져 왔는지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상의 속력 개념과 지도 맥락의 특성을 진단하여, 차후 초등수학에서 속력을 지도하는 교수학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제1차 교육과정에서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까지의 교육과정 문서와 교과서의 속력 단원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초등수학의 속력 지도는 평균 속력 개념을 바탕으로 하며, 비례 관계에 대한 추론 측면보다는 거리와 시간의 비의 값을 적용하는 측면이 강화되어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등속 운동을 통한 속력 개념의 도입과 속력 맥락에서 비례추론 활동을 강화하는 것을 개선 방향으로 제안하였다.

      • KCI등재

        2015 개정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나눗셈 계산 원리 지도에 대한 고찰

        정연준 대한수학교육학회 2022 학교수학 Vol.24 No.1

        In everyday life division appears in the two contexts, partitive or measurement context. Teaching division algorithm is based on analyzing the context through operating numerical models, consciousizing the division algorithm process consisting of the partial multiplications between divisor and quotient, and formalizing the calculation principle. In these processes, it is important to manipulate models and express the result of manipuation appropriately to the context. However, it is identified that the model manipulation and the sympbolic expression of model manipulation are not accord with. I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the product of divisor and quotient appearing in division algorithm is expressed in the measuremet context. This inconsistency presents a significant educational challenge in elementary mathematics, which requires guiding the formalized principles of mathematics through manipulation activities for specific models.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of divisor and quotient appearing in the division algorithm were analyzed, and based on this, some suggestion was presented to improve teaching division algorithm. 나눗셈이 등분제 및 포함제 맥락으로 구분되어 개념화될 수 있다는 것은 나눗셈 지도에서 중요한 고려 사항이다. 수 모형 등을 이용한 조작 활동을 통해서 등분제 및 포함제 맥락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기호적으로 표현하여 다루는 과정은 나눗셈 알고리즘 지도의 핵심 부분이다. 구체물 조작 활동이 나눗셈 개념 이해에 효과적으로 기여하려면 활동 결과를 기호로 적절히 표현하고 해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눗셈 알고리즘은 나누는 수와 몫의 부분곱을 나누어지는 수에서 빼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등분제 및 포함제 맥락 따라서 나누는 수와 몫의 곱셈 관계 표현이 달라진다.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는 나눗셈 알고리즘에 나타나는 나누는 수와 몫의 부분곱을 포함제 상황으로 표현하고 있다. 나눗셈의 맥락적 개념화를 강조하는 지도에 제한이 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나눗셈 개념 및 알고리즘 지도 사이에 있는 긴장 관계를 살펴보고, 이러한 긴장 관계를 해소할 수 있는 나눗셈 알고리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우수등재

        근린환경은 노인들의 보행경로와 외부활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정연준,이경환 대한건축학회 2022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8 No.9

        As the world approaches a super-aged society, urban-level responses towards the elderly are being actively carried out in the forms of an Age-Friendly City and a Healthy City. Through several preceding studies, the pedestrian-friendly neighborhood environment affected the health of residents was revealed. This study aims to analyze factors that influence the walking activities of elderly people. The spatial scope was set to Yatap-3-dong in Bundang-gu, Seongnam-si, and the subject was set to 25 elderly people living in that area. The elderly's gait activity data was collected using GP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gait activity were derived through expert evaluations, interviews, and observational surveys. The analysis results of 413 of the 600 trips or 68.8% of the elderly were derived from the GPS survey and the trip log survey showed that the elderly had high walking dependence. The average walking distance of the elderly per week was 9,419.0 m, and the average walking time was 248.1 minutes. The comparative analysis results of the space frequently used by the elderly and the control group from expert evaluation revealed that the elderly often used streets and public spaces with high pedestrian safety, connectivity, and was sensually comfortable. In the 28 routes or 6.78% of the walking trips taken by the elderly, not only were detours confirmed, but they walked an additional 285.1 m. An accompanying survey and interview results showed that the elderly considered their safety from vehicles, crime, social activity opportunities, slopes, stairs, and scenery when choosing walking routes. This study was significant in that it laid the foundation for the design of an age-friendly neighborhood environment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walking activities and deriving walking influence factors. 이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의 보행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분당신도시 야탑3동이며, 이곳에 거주하는 노인 25명의 보행 GPS데이터를 수집하여 전문가평가, 인터뷰 및 동행조사, 관찰조사를 통해 노인들의 보행활동을 분석한 결과 노인들은 보행의존도가 높으며, 보행안전성과 연결성이 높고 감각적으로 편안한 거리, 공공공간을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노인들의 보행활동 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보행영향요인을 도출하여 고령친화적 근린환경 설계의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