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행정법의 成文化 과정상 숙의(熟議)의 적정성 검토 - 행정기본법 제정 과정을 중심으로 -

        정연부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홍익법학 Vol.24 No.1

        In an environment where a large amount of rapid legislation is required, we should be wary of the hastiness of legislation. In order to prevent hasty legislation, a legislative procedure must proceed legally. In addition, the deliberation must be done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relevant procedures. These are due to several factors, including: (1) Substantial constitutionalism also applies to a legislative procedure. (2) In order for the principle of due process to be fully realized in legislation, the appropriateness of deliberation must be guaranteed. In particular, the demands should be more strictly observed in the enactment of a new law, which is the first stage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rule of law. Nonetheless, many questions have been raised about the process of enacting the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which is regarded as a watershed moment in administrative law. Some studies point out problems in the process of enacting the Act in a fairly strong tone. On the other hand, some emphasize that the process is appropriate. This opinion is based on the history of discussions on the Act's enactment as well as the fact that the contents of the Act were already reviewed in the enactment of the Administrative Procedures Act. This study analyzed the appropriateness of deliberation in the process of enacting the Act. It is considering the legislative significance of the enactment of the Act, and the reality that the appropriateness of deliberation has been relatively neglected compared with the legality of a legislative procedure. In studying the appropriateness of deliberation, this paper has divided the legislative procedures of the Act into a step in the government and the one in the National Assembly. Based on this, it investigates whether the deliberation in each step was appropriate. 한국의 대통령제에서 정권은 5년 주기로 교체된다. 여야가 교체되는 경우는 물론이거니와, 집권여당의 교체가 없는 경우라도 대통령의 교체 자체만으로 국정과제 및 정책 등에 있어 적지 않은 변화가 수반된다. 법치주의 특히 법치행정의 원칙 하에서 이러한 변화는 관련 법령의 제・개정을 요구한다. 단순 산식으로 본다면, 5년 주기의 입법적인 큰 변화가 기본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이 뿐만 아니라, 동일한 정권 내에서도 입법적 성과의 도출 또는 정책에 대한 입장 번복 등 다양한 이유로 입법적 변화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처럼 다량의 신속한 입법이 요구되는 환경일수록 입법의 성급함을 경계(警戒)해야 한다. 성급한 입법의 폐단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입법절차가 형식적으로 적법하게 진행되어야 한다. 또한, 해당 절차에서 내용적으로 그 취지에 맞는 숙의(熟議)가 보장되어야 한다. 실질적 법치주의는 입법절차에도 적용되는 것이며, 입법상 적법절차의 원칙이 실질적으로 완성되기 위해서는 절차진행의 내용을 이루는 숙의의 적정성까지 확보되어야하기 때문이다. 특히 법치주의 구현의 제도적 첫 단계에 해당하는 새로운 법률의 제정에 대해서는 이와 같은 요구가 더욱 엄격하게 준수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행정법학의 분수령이라는 평가까지 받고 있는 행정기본법의 제정과정에 대해 절차적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일부 연구에서는 상당히 강한 어조로 행정기본법 제정과정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 행정기본법의 제정에 관해 오래 전부터 논의가 있어 왔다는 이력이나 행정기본법의 내용이 이미 행정절차법의 제정과정에서 다루어진 바 있다는 사정 등을 이유로 그 제정과정이 적절했다는 의견도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행정법의 成文化로서 행정기본법의 제정이 지니는 입법적 의의와 지금까지 절차의 형식적 적법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숙의의 적정성이 소외되어 온 현실을 접목해, 행정기본법 제정과정상 숙의의 적정성을 분석하였다. 세부적으로는 행정기본법 제정을 통한 행정법의 成文化 배경, 행정기본법 제정 과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등을 먼저 살펴보았다. 이어서 행정기본법 제정의 추진경과를 살펴보고, 그에 대한 숙의의 적정성에 관한 문제를 제기하였다. 이를 기초로 행정기본법 제정과정을 정부에서의 성안과정(법률안 국회제출 단계까지)과 국회에서의 입법과정으로 나누고, 각각의 과정에서 숙의가 적정하였는지 여부를 분석하였다.

      • KCI등재

        규범통제 관점에서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직무규정 분석 - 문제점과 개선방안 도출을 중심으로 -

        정연부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圓光法學 Vol.31 No.1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science of legislation. It is very important to supply high quality legislation so as to reduce social costs as well as to pursue lawful legislation. The importance of legislation was made evident by the recent tragedy in South Korea. One opinion on the reason for the cause of the so-called 'sunken ferry Sewol accident', which occurred on April 16th, 2014, insists the accident may have started from the revision of enforcement rule of the Marine Transportation Act in 2009. The provision on the legal limit for the age of a passenger ship was extended from twenty years to thirty years in the amendment. All legislators are supposed to consider a wide variety of factors to make a high quality legislation. The factors that legislators look into could be composed of a legal element and a nonlegal element. A nonlegal element contributes to making a legislation more useful. Meanwhile, a legal element is an indispensable requisite of a legislation which could be deduced from the Legal Review on Norm. This study analyzes the content of the Legal Review on Norm and then applies the content to a concrete case. In this way, this paper attempts to show an essential factor for legislation. the Legal Review on Norm has been mainly discussed on the elements of content and form. In addition, this research adds a discussion on the title of legislation as well. Therefore, the Legal Review on Norm is researched from the perspective of title, form and content of legislation. If the Legal Review on Norm is analyzed only from legal theories, it would be difficult to concretely portray how the indispensable legal requisite of it applies to a legislation. To obtain a specific result, this paper supplements with Provisions of Tasks for Korea Communications Standard Commission as another topic of this paper. Therefore, this study applies the factors of title, form and content to the provisions. Futhermore, it identifies problems and improvement proposals for the provisions. As mentioned above, this paper points out the concrete contents of the Legal Review on Norm. The immediat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seek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methods for Provisions of Tasks for Korea Communications Standard Commission. By extension, the secondary aim of this study is to specifically show indispensable legal requisites which is required in legislation.

      • KCI등재

        주택임대사업자 관련 법제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정연부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홍익법학 Vol.20 No.1

        2017년 새로운 정부가 들어선 이후 다량의 부동산 정책이 발표되었다. 내용적으로는 그 범위가 포괄적이었으며, 정책 변화의 폭과 정도 역시 상당하였다. 심지어는 전문가 또는 일선 담당자조차 변화된 내용을 쫒아가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부동산 정책 발표는 필연적으로 그 후속조치로써 법률․법규명령․행정규칙 등 법령의 제․개정을 요구한다. 그러나 잇따른 부동산 정책 발표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법제적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역설적이게도, 정책의 변화 속도가 지나치게 빠르다는 점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부동산 정책과 맞물려 제․개정되는 부동산 관련 제도에 대한 법학적 연구의 필요성은 부정될 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연이어 발표된 부동산 정책에 대해 법제도적 관점에서 분석을 시도한다. 정부가 발표한 다량의 부동산 정책의 목적은 주택시장의 안정이다. 주택시장이 안정되기 위해서는 주택의 안정적인 공급이 요구된다. 이는 공공물량만으로 해결될 수 없으며, 민간 영역에서 다주택자들에 의한 주택공급이 필요하다. 민간 영역의 주택공급은 경제에 활력을 불어 넣는 측면에서도 공적 영역보다 효과적이다. 하지만, 다주택자를 통한 주택공급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공적 개입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소들의 교차점에 있는 제도가 바로 주택임대사업자제도이다. 따라서 주택임대사업자 관련 법제에 대한 연구는 부동산법제 연구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를 고려해 본 연구는 부동산 관련 법제 중에서 주택임대사업자제도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한편, 주택임대사업자제도는 최근 관련 정책 변화가 극단적으로 나타난 대표적인 분야이기도 하다. 정부는 2017년 8․2대책을 발표한 이후 2018년에 9․13대책을 발표하였다. 이들 대책의 내용은 약 10개월 만에 혜택부여에서 규제강화로 상반된 방향성을 띄고 있다. 하지만 상반된 방향성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발표한 부동산 정책의 목적은 주택시장의 안정이다. 주택시장의 안정이라는 목적의 정당성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다만, 정당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정책이라고 할지라도 그 법제의 형성은 법치주의에 부합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법치주의 요소를 중심으로 주택임대사업자 관련 법제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탐구한다. A large number of real estate policies have been published since the new government was launched in 2017. The new real estate policies cover a comprehensive scope. Its extent and intensity of the changes are also considerable. Sometimes, it happened that even experts or people in charge could not know how the new policies should be applied. The new policies announced require necessary laws to be enacted or amended as follow-up measures. Although a lot of the new policies have been announced, it is quite difficult to find legal research on the new policies. Ironically, one of the reasons is that the pace of policy change was too fast. However, it cannot deny the necessity of legal research on the new real estate policies. So,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legal systems related to the new real estate policies published in a row recently. The massive real estate policies which the government has announced aim at stabilizing the housing market. A reliable supply of housing is needed for housing market stability. The reliable supply of housing cannot be met only by public supply, and it is necessary to supply housing by multihouse owners in a private sector. The supply of housing by a private sector could contribute to economic revitalization. Nevertheless, a public control system is also demanded for the reliable supply of housing. The legal systems at the intersection of these factors are the ones concerning the rental business operator of housing. It has a significant meaning to study the legal systems of the rental business operator of housing. Considering this, this paper researches the legal systems on the rental business operator of housing. The legal systems on the rental business operator of housing is also a prime field in which policies have extremely changed. For example, the government announced two policies on August 2nd, 2017 and September 13th, 2018. The contents of the policies conflict with each other, even if there is an interval of only 10 months between the two. In spite of the contrary means of the two policies, the purpose of the two are the same: stabilizing the housing market. There is no doubt that the aim of stabilizing the housing market is valid. Forming a legal system has to comply with the rule of law even if it is for a reasonable purpose. This paper, therefore, studies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the legal systems related to the housing rental business.

      • KCI우수등재

        행정기본법상 처분에 대한 불복제도의 쟁점

        정연부 한국공법학회 2022 공법연구 Vol.51 No.1

        The birth of the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is a watershed in the field of administrative law. However, we could not ignore the fact that there is as much concern as expectation in light of the global experie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administrative law that makes it difficult to enact a general law on administrative. In particular, there are many academic concerns about a wide range of issues, from the regret that there was not enough discussion in the enactment of the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to the naming of it, and the validity of the introduction of some systems and some detailed contents. Among them, the Systems of Appeal to the Disposition Agency is a subject that is drawing a lot of attention from academia. Regarding the systems of appeal to the disposition agency, the Act stipulates the Raising Objections to Disposition and the Re-Examination of Dispositions in Section 7. This section would be regarded as an enactment of new systems. The Raising Objections to Disposition is to stipulate a system which is in individual laws. And the Re-Examination of Dispositions is to provide a system that had not been enacted, even though legislation for it had been attempted at one tim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new systems more comprehensively than some legal systems that had been operated stably before the enactment of the GENERAL ACT or transplanted with it partially modified.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recognized the Raising Objections to Disposition and the Re-Examination of Dispositions in a disconnected relationship. In addition, an effort was made to examine the systems of appeal against the disposition agency from a systematic perspective. Based on these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oncepts, systems, contents, and benefits of the Raising Objections to Disposition and the Re-Examination of Dispositions. 행정기본법의 태생 그 자체는 행정법학계의 긍정적인 분수령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법전화를 어렵게 만드는 행정법학의 특성과 세계적인 입법경험에 비추어 볼 때, 기대만큼 염려가 큰 것도 사실이다. 특히 행정기본법의 제정과정상 논의가 충분하지 않았다는 아쉬움에서부터 기본법의 명명, 일부제도의 도입 및 세부내용의 타당성 등 광범위한 쟁점에 관해 학계의 우려가 적지 않다. 그 중에서도 처분청에 대한 불복제도는 학계의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연구대상이다. 처분청에 대한 불복제도와 관련해, 행정기본법은 제7절에서 이의신청과 처분의 재심사를 규정하고 있다. 이의신청은 종래 개별법상의 제도에 머물던 것을 행정기본법에 규정하였다는 점에서, 처분의 재심사는 한 때 입법이 시도된 바 있었으나 법제화되지 않았던 제도를 규정한 것이라는 점 등에서, 제7절은 사실상 (준)신설제도의 법제화에 해당한다. 따라서 행정기본법의 제정 이전부터 상당히 안정적으로 운영되었던 제도를 그대로 이식한 경우 또는 일부 수정하여 규정한 경우보다 전면적인 쟁점분석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이의신청과 처분의 재심사를 단절된 관계 속에서 인식하는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통합적 관점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는 이의신청 및 처분의 재심사가 처분청의 자기통제제도라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는 점, 행정기본법 역시 양자를 동일한 절에서 규정하고 있는 점, 실질적인 면에서 처분의 재심사는 이의신청으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는 점 등을 반영한 것이다. 또한, 국민의 권익보호 메커니즘(mechanism)을 총괄적으로 규율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에 동의하며 처분청에 대한 불복제도를 시스템적(체계적)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러한 방법론적 특징 속에서 이의신청 및 처분의 재심사에 관한 개념, 체계, 내용, 규정실익 등을 탐구하였다. 논문에서는 행정기본법상 처분청에 대한 불복제도의 다양한 쟁점에 대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적극적 또는 소극적 수정・보완 방안을 제시하였다. 행정기본법에 대해 염려하는 견해들은 대부분 기왕에 제정된 행정기본법의 존재를 수용하는 전제에서, 부분적으로 내용을 수정・보완하는 태도를 취하고 있다. 본 연구도 원칙적으로 이러한 방안을 취하였다. 무엇보다도 법제의 성문화 목적은 성문화 그 자체의 형식적 목적달성에 있는 것이 아니라 법적 안정성, 구체적 타당성, 법리적 합리성, 현실적 실효성 등과 같은 실질적 목적달성에 있음을 유념하였다.

      • KCI우수등재

        한국형 一國兩制의 특징 및 북한법제에의 적용 방안 ― 중국 一國兩制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정연부 한국공법학회 2018 공법연구 Vol.46 No.4

        The unification of the North and South is the most difficult problem which the Korean Peninsula has not been able to solve for a long time. Nobody can predict when and how the unification would come true. The unification could happen suddenly like Germany. Thorough preparation is the only way to utilize the unification as a chance for national development and a new growth power for Korea. If the unification should happen without thorough preparation, the unification might be unfavorable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an Peninsula. Therefore, Korea has to be well prepared for all possible scenarios of the unification. It should be prepared for scenarios including not only a case of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such as during the Pyeong Chang Winter Olympics but also a case of conflict between the North and South such as North Korea's continued missile launches. Lots of general researches on the unification have been cumulated for a long period since the unification was left as a difficult problem to solve. A more various and concrete study on the unification is necessary. This study analyzes the Korean Model of the One Country-Two Systems and the acceptability of it in North Korea, based on comparison with the legal systems of the One Country-Two Systems in China and Hong Kong. This is a kind of integrated study fusing researches such as the unification legislation, the One Country-Two Systems, and the legal system of North Korea. This is also a specific study in some respects. For example, this paper analyzes the One Country-Two Systems which is one of the concrete topics among the researches on the unification legislation. Further, this study looks for a way to realize the One Country-Two Systems. Finding the way is one of the more specific subjects among the studies on the One Country-Two Systems. This study, in chapter II, compares the One Country-Two Systems of China and Korea from some aspects like the background of the One Country-Two Systems, the elements of the Two Systems and the elements of the One Country. In this comparison, the One Country-Two Systems of China itself could be the subject for comparison because it is an existing system. However, the conditions for unific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is considered as the subject for comparison with the One Country-Two Systems of China because the One Country-Two Systems of Korea is not a present system but just a supposed model. Bas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ystems, this paper draws the conclus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One Country-Two Systems. The methods for application of the Korean One Country-Two Systems to the legal system of North Korea, in chapter III, is also researched from all the above aspects for comparison. 통일은 한반도가 오랫동안 풀지 못한 난제이다. 어느 순간, 어떻게 통일이 올 지 아무도 예측할 수 없다. 독일과 같이 갑자기 찾아 올 수도 있다. 철저한 준비만이 통일을 민족적 발전과 한국의 신성장동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만약 철저한 준비 없이 통일을 맞게 된다면, 그것은 민족적 호재가 아니라 악재가 될 가능성이 크다. 그러므로 한국은 선제적으로 발생가능한 모든 시나리오에 대해 통일 준비를 해 두어야 한다. 평창 동계올림픽ㆍ남북정상회담 등과 같이 화해와 협력이 배경이 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북한의 계속되는 미사일 발사 때와 같이 남북의 갈등이 배경이 되는 경우 등 모든 시나리오를 대비해 두어야 한다. 통일이 난제가 된 긴 시간 동안, 통일에 대한 총론적인 선행연구가 많이 축적되었다. 이제는 통일에 대한 다양한 각론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한국형 一國兩制의 특징 및 북한법제에의 적용 방안을 중국 一國兩制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연구한다. 이는 종래의 통일법제에 대한 연구, 一國兩制에 대한 연구, 북한법제에 대한 연구 등을 융합한 연구이다. 또한, 통일법제연구 중에서도 각론적인 성격을 지니는 一國兩制, 그리고 一國兩制연구 중에서도 다시 각론적인 성격을 지니는 一國兩制의 실현방안에 대한 연구라는 점에서, 통일법제연구의 최전선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각론연구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는 ‘II. 중국 일국양제 對比 한국형 일국양제의 특징’에서 一國兩制의 배경, 양제적 요소, 일국적 요소를 기준으로 중국 一國兩制와 한국형 一國兩制를 비교한다. 다만 중국 一國兩制는 현행 제도이므로 그 자체가 비교대상이 될 수 있지만, 한국형 一國兩制는 예상 모형이므로 한반도의 통일상황을 비교대상으로 삼는다. 양자의 차이점에 기초하여 한국형 一國兩制의 특징을 도출한다. ‘III. 북한법제에의 적용상 과제와 방안’ 역시 중국 一國兩制와 한국형 一國兩制의 비교 요소를 기준으로 살펴본다. 특히, 본 연구는 한국형 一國兩制를 북한법제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지방분권을 제시한다. 지방분권은 최근 한국에서 논의되고 있는 헌법적 과제 중 하나이다. 비록 최근 논의에서는 지방분권의 통일적 의미가 다루어지고 있지 않지만, 본 연구는 통일법제적 관점에서 지방분권을 활용하고 있다. 지방분권을 통해 국가-도시의 구조를 형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一國兩制의 핵심요소들을 적용하는 방안을 분석한다.

      • KCI등재

        중국 一國兩制와 한반도 통일법제의 통치구조 비교 - 一國兩制의 시사점을 통한 과도기적 통치구조 재설정 시도 -

        정연부 한중법학회 2021 中國法硏究 Vol.45 No.-

        중국의 통일정책은 一國兩制이다. 일국양제는 중국 대륙이 대만, 홍콩, 마카 오를 흡수하여 통일하는 흡수형 통일방안이다. 그 적용 대상지역에 따라 대만 형 일국양제, 홍콩형 일국양제, 마카오형 일국양제로 구분할 수 있다. 일국양제 의 모든 유형은 중국의 전체 통일구도에서 과도기적 통치구조로서 의미를 지닌 다. 그러나 각 유형별로 일국양제의 시행여부, 구체적인 내용에 차이가 있다. 대만형 일국양제는 아직 시행되지 못하고 있는 이론형인데 비해, 홍콩형 일 국양제 및 마카오형 일국양제는 이미 시행 중인 법정형이다. 대만형 일국양제 와 홍콩형 일국양제는 각각에 인정되는 고도의 자치권에도 상당한 차이가 있 다. 그 내용에 따르면 대만형 일국양제는 완화된 흡수통일형으로, 홍콩형 일국 양제는 강한 흡수통일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한편, 마카오형 일국양제의 내용 은 홍콩형 일국양제와 매우 유사하다. 그러나 마카오형 일국양제가 별다른 저 항 없이 시행되고 있는 것과는 달리, 홍콩형 일국양제에는 여러 차례 민주화 시위가 있었다. 대만형 일국양제에 대해서도 대만의 반대 여론이 만만치 않다. 한반도 통일과정에서 일국양제가 반드시 적용되어야 한다거나 적용될 수 있 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한국의 입장에서는 통일 상황에 대한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어야 하고, 그 중 하나로서 일국양제적 관점도 선제적으로 연구·대비되 어야 한다. 특히,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의 대립구조를 취하고 있는 한반도에서 는 통일법제상의 과도기적 통치구조가 일국양제와 유사하게 전개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한반도 통일상황에 영향을 미칠 중국의 통일법제가 일국양제 라는 점에서도 연구의 중요성이 인정된다. 한편, 지금까지 남북한이 제시한 바 있는 통일방안은 한반도에서 전개될 가 능성을 높게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남북의 통일방안에서 통치구조적 핵심 내용을 축출하여 양자의 공통적인 모형을 발굴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한반도 통일법제의 과도기적 통치구조에서 일국양제적 요소가 도출된다면 중 국 일국양제의 시사점을 응용・보완・발전시켜 한반도형 일국양제 모형에서 참 조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먼저 중국 일국양제의 통일구도 및 통치구조를 살펴보았다 (II). 이와 관련해 중국 일국양제의 의미와 통일구도, 중국 일국양제의 모형과 통치구조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지금까지 주장된 남북한의 통일방안 및 그 통치구조적 특징을 분석・평가하였다(III). 끝으로, 중국 일국양제와 한반도 통 일법제의 통치구조에 대한 비교를 통해 중국 일국양제의 시사점을 검토하고, 남북한의 통일방안에 나타난 기본적인 통치구조의 재설정을 시도하였다(IV). The One Country-Two Systems is one of the absorption unification plans with which the Beijing absorbs Taiwan, Hongkong, and Macao. It can be divided into some different types depending on the area covered by the One Country-Two Systems. All types of the One Country-Two Systems are meaningful as a transitional government structure in China’s entire unification process.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Implementation status and details of the One Country-Two Systems for each type. The Taiwan-type of the One Country-Two Systems is a theoretical one that has not yet been implemented, whereas the Hongkong-type, and the Macao-type are already in place. The Taiwan-type and the Hongkong-type also differ considerably in their autonomous rights. According to its contents, the Taiwan-type can be classified as a relaxed absorption unification type, while the Hongkong-type can be classified as a strong absorption unification type. Meanwhile, the contents of the Macao-type are very similar to the Hongkong-type. China’s push for the One Country-Two Systems is complicated and diverse. This could provide various implications for the Korean Peninsula. In particular, it is more meaningful if the transitional government structure under the unification legislation is similar to the China’s One Country-Two Systems. Then it is possible to create a new Korean type of the One Country-Two Systems. The Korean type would be different with the Chinese one.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researches the government structure in the One Country-Two Systems of China to find out its implications for the unification legisl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paper seeks to show the Korean type of the One Country-Two Systems revealing out differences from the Chinese one. And it defines the Korean one as the One Country-Two System closing to federal form, and the Chinese one as the absorption unification form of the One Country-Two System.

      • KCI등재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법적 지위 재구성 방안 모색

        정연부 한국공법학회 2012 공법연구 Vol.41 No.1

        There is a growing discussion on the legal status of ‘Korea Communications Standard Commission’ which is the regulatory body for the content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Especially, the independence of ‘Korea Communications Standard Commission’ is the most important issue. The Constitutional Court made three decisions on the legal status of the commission. Two decisions among them were adjudications on ‘Constitutionality of Law’ and ‘Constitutional Complaint’ which are related to protecting fundamental rights. In addition, these decisions were made when the discussions on ‘the nature of the deliberation and the regulatory body’ were continuing to broaden by the growing influence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Therefore the decisions convey a more important meaning. The adjudication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followed ways that existing precedents used. Namely, The Constitutional Court also analyzed the legal status of ‘Korea Communications Standard Commission’ depending on the method of organization, the contents regarding authority, the process of dealing with tasks. Precedents, including adjudication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regard the process of tasks concerning the people as a main factor when making a decision on the legal status of the commission. They are acknowledging ‘Korea Communications Standard Commission’ as an administrative agency based on the factors above. It is reasonable for judicial power to take such attitude, in that the lawsuit is the final resort to protect people's rights. However, reconciling the validity of laws concerning relief with the logic of administrative laws concerning action and organization could contribute to forming a better legal system. Particularly, it is necessary to modify the legal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aws concerning action and organization, as well as of laws concerning relief, so that the legal system may secure fairness, which is the most important value in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This study proposed a method of reformation after analyzing the legal status and independence of the commission in the framework of relief, action and organization. First, it unpacked assertions of plaintiff and defendant in the precedents that are related to the legal status of ‘Korea Communications Standard Commission’. Next, this study reviewed structures of the commission's external actions to know whether the conclusion of precedent has validity or not. To achieve this, another legal system which has the same structure with that of ‘Korea Communications Standard Commission’ was considered. The result was applied to the discussion on the legal status of the commission. Lastly, this study drew a conclusion considering the limit of the precedents and sought a solution. 정보사회에서 국민의 자유는 방송ㆍ통신을 통하여 더욱 확장되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과 모바일(mobile) 등을 기반으로 하는 방송ㆍ통신의 자유는 적지 않은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이에 대처하기 위하여 국가는 방송ㆍ통신에 대한 내용규제를 실시하고 있다. 방송ㆍ통신에 대한 적법한 규제가 안전보장ㆍ질서유지ㆍ공공복리에 기여함에는 이론이 없다. 그러나 내용규제가 악용된다면, 국민의 자유와 민주주의의 발전을 저해하고 정부의 국민통제수단으로만 전락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방송ㆍ통신에 대한 내용규제기관의 법적 성격, 특히 ‘독립성’은 국민의 자유와 민주주의의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한국에서는 방송ㆍ통신에 대한 내용규제를 담당하고 있는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법적 성격이 문제된다. 특히,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독립성’이 중요한 문제가 된다. 최근 헌법재판소는 방송통신심의위원회와 관련하여 세 건의 결정을 내렸다. 세 건의 헌법재판소의 결정 중 두 건은 각각 위헌법률심판과 헌법소원심판이었다. 헌법소송 유형 중에서 국민의 기본권보장과 직접적인 관련을 가지고 있는 유형 모두에서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법적 성격에 대한 판단이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방송ㆍ통신 서비스의 다양성과 사회적 영향력이 확대됨에 따라, 내용규제기관의 법적 지위에 관한 논의도 활발해지는 시점에서 내려진 유권해석기관의 결정이라는 점에서 더욱 큰 의미를 지닌다. 이 번 헌법재판소의 결정은 기존 판례의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이 번 헌법재판소의 결정도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법적 성격을 그 구성방법ㆍ업무내용ㆍ업무처리 방식 등에 근거하여 판단하고 있다. 즉, 판례는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법적 지위를 평가함에 있어서 대외적으로 그 직무를 처리하는 방식을 중요한 요소로 들고 있다. 이를 토대로 판례는 방송통신심의위원회를 행정청으로 인정하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25조에 따르면,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대외적 작용 구조는 ‘A기관의 심의→심의결과에 따른 B기관의 행정작용→국민에 대한 법적효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의결기관과 재결기관이 구분되었던 (舊)「행정심판법」에서 행정심판위원회가 그 업무를 처리하던 방식과 유사하다. 이밖에도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작용법적 성격은 (舊)행정심판위원회와 비교적상을 가지고 있다. ‘A기관의 심의→심의결과에 따른 B기관의 행정작용→국민에 대한 법적효과’라는 대외적 작용 구조에서 A기관의 법적성격을 합의제의결기관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그런데 판례는 위와 같은 대외적 작용 구조를 가지는 방송통신심의위원회를 행정청으로 보고 그에 대한 항고소송을 인정하고 있다. 이러한 태도는 최종적으로 국민의 권리침해를 구제하는 기관이 구제법적 관점에서 내리는 판단이라는 점에서 타당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법체계의 통일성 관점에서 구제법적 요구와 조직법적ㆍ작용법적 원리를 일치시키는 것이 보다 우수한 법제를 형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공정성 확보라는 방송ㆍ통신 영역의 중요한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사후 구제법적 요구를 넘어 조직법적ㆍ작용법적인 법제정비가 요청된다. 조직법과 작용법적으로도 타당한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법적 지위를 재구성함에 있 ...

      • KCI등재

        중국 법제ㆍ법치의 역사적 특수성

        정연부(郑,然富)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성균관법학 Vol.21 No.3

        每一个研究中国法的人所碰到的第一个问题一般都是对中国法系的疑问。中国法系的研究除了“社会主义法系”、“大陆法系”以外,还包括“中华法系”。 如果说“社会主义法系”、“大陆法系”所代表的是中国法的特征的话,那么“中华法系”主要突出的是中国法的历史观点,即从法制史的观点谈论中国法系。 对中国法的社会学角度的研究已经进行得相当活跃,但是从法学角度进行的中国法制、法治的研究尚有待于进一步推进。 因此超越当代统治制度、社会制度之一部分的法律的意味,是否能够连贯中国法制、法治的特殊性,形成一个法系的问题,有待于进一步研究。本论文以中国法制、法治为研究根据,以阐明中国法的历史特征为主要目的。这样我们不仅可以探究是否可以连贯中国法制、法治的特殊性,形成法系的问题,也可以阐明与中国法系相联系而谈论的“中华法系”的特征。 关于此项研究,最为重要的是时代的区分。时代区分要反映史学角度的时代区分,同时也要反映“法制、法制”为基准的时代区分。“法制、法治”为基准的时代区分,应该突显中国法制、法治的特殊性。 为此,本论文首先分析了作为先行研究成果的中国各个时代的法治、法制的内容。在各个时代的法制内容中总结了具有特点的要素。在分析的基础上,笔者根据研究目的,将时代区分与法制、法治的特征相联系起来。从法制、法治的历史特殊性的观点来看,中国传统法制可以称之为中华法系。中华法系是经过封建法的长期发展过程而形成的中国的传统法律制度,以唐律为典型。 唐律制定当时,传统法制已基本完备,其影响波及韩国、日本、东南亚。 作为中国传统法制的中华法系是以公法为中心展开的。近代中国通过成文化,逐渐实现了法与礼的对立和协调。虽然每个时期都有一定的差异,但总体来说法与礼具有刑法或宪法、行政法的性格。中国法以刑法、行政法为中心发展的原因在于,它产生于部族内部战争过程。 古希腊、古罗马,对强制力为后盾的公法没有太大的需要。法律主要是作为解决国家内部的贵族和平民之间的纠纷的手段。因此形成了所有权、继承权等保护个人权利的,以私法为中心的法律体系。与此相反,古代中国在征服邻邦、并使其归顺的过程中,为确保支配权而强调了刑法。中国传统法制是在春秋战国时期的战争和君主支配体系逐渐完善的过程中发展起来的。在秦汉时代以及之后的朝代中,为了将领土和人民归属于皇帝,国家推崇儒教的同时,确立了以强制力为后盾的刑法。这体现为传统法制的前提性特征。 中华法系的特征,除了“前提性”以外,还体现为“无诉讼观念、重刑轻民、行政与私法不分”等特征。而且,中华法系还有“先礼后法,而且受到较多思想的影响”的特点。这主要源于从汉代到清代持续下来的儒家思想为中心的封建体制下形成的法律文化。 儒家思想并不完全排斥法家思想。孔子强调德

      • KCI등재

        신고의 유형과 수리거부의 대상적격: 건축신고에 대한 판례를 바탕으로

        정연부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15 성균관법학 Vol.27 No.4

        A report as a personal act in public law is one of the complicated topics in the field of administrative law. It includes some issues such as the types of reports, the legal nature of acceptance, and the suitability of judicial review for refusal of acceptance. The academic world has generally insisted that the types of reports decide the legal nature of acceptance for it, and the legal nature of acceptance determines the suitability of judicial review for refusal of acceptance. However, some precedents like 94NU9962, 2008DU167, and 2010DU14954 involved in reports on construction put these topics in an uncertain position between maintaining a previous majority opinion and changing it. In this sense, the meaning of precedents have to be ascertained. Both existing debates and new ones should be reviewed for clarifying the precedents. This study has analyzed the related subjects based on a typical discussion system in which the fundamental topics are regarded as being connected, for example: the types of reports and criteria of categorizing reports, the legal nature of acceptance, and the suitability of judicial review for refusal of acceptance. This paper especially suggests the partial reform of the discussion system as well as insists its own opinions for all of the significant topics. 사인의 공법행위로서 신고는 신고의 유형, 그에 대한 수리, 그리고 수리거부의 대상적격 등 실체법에서 구제법에 이르는 행정법학의 다양한 쟁점이 복잡하게 얽힌 주제 중 하나이다. 전통적인 학계의 논의는 신고의 종류에 따라 수리의 성격이 달라지며, 수리의 성격에 따라 신고수리거부의 대상적격 인정여부가 달라진다고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건축신고와 관련된 일련의 판례, 특히 ‘94누9962, 2008두167, 2010두14954’ 등은 종전 태도의 변경과 유지 사이에 모호하게 걸친 측면이 있으며, 실체법적 쟁점과 절차법적 쟁점의 연결고리 역시 분명하게 제시하지 못한 측면도 있다. 따라서 일련의 판례의 취지를 명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신고와 관련하여 최근 새로이 등장한 논의뿐만 아니라 종래의 논의 역시 다시 되짚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신고의 유형과 구별기준-수리의 법적 성격-수리거부의 대상적격’이라는 전형적인 논의 체계 속에서 신고의 법적 성격에 대한 논의의 의미, 특히 수리를 요하는 신고의 법적 성격에 대한 논의의 의미, 신고의 유형과 구분기준 및 실익, 신고 유형별 수리의 법적 성격, 특히 수리를 요하는 신고에 대한 수리의 법적 성격, 강학상 수리·등록·허가 등의 구별기준, 대상적격에 있어 수리와 수리거부의 이동(異同), 수리와 수리거부에 대한 대상적격 판단기준, 이러한 쟁점에 대한 판례의 동향과 해석 등에 대해 기존 논의를 분석하고 사견을 제시하였다. 위와 같은 쟁점 중 일부는 사인의 공법행위로서 신고에 대한 ‘논의체계’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정비하기 위한 목적에서 검토되었다. 신고에 대한 논의가 복잡하게 된 원인 중에는 논의체계상의 문제점도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물론 가장 큰 이유는 허가제를 완화하기 위하여 신고제를 둔 취지에도 불구하고, 행정기관이 신고제를 변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쟁점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고, 논의의 평면을 구분하며, 논리 필연적 관련성이 없는 이질적인 쟁점이 서로 결부되는 것을 방지한다면, 논의는 보다 명확해 질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2010년 11월에 선고된 ‘2008두167 판결’에서 건축신고수리거부의 대상적격을 인정한 판례와 2011년 1월에 선고된 ‘2010두14954 판결’에서 일반적인 건축신고의 법적 성격을 자기완결적 신고라고 한 판례의 해석 문제, 즉 최근 재등장한 수리의 법적 성격과 대상적격에 대한 논의 역시 논의체계에 대한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필요·가능함을 밝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