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서울 포전(布廛)이 남긴 기록의 조각들 -"정승모 문서"의 소개와 분류-

        정승모 ( Seung Mo Chung ),이영훈 ( Young Hoon Rhee ),조영준 ( Young Jun Cho ) 한국고문서학회 2016 古文書硏究 Vol.48 No.-

        이 글에서는 故 정승모 박사가 발굴한 조선후기 서울 布廛의 문서를 소개하고, 그 식별 및 분류에 관해 試論하였다. 향후 여러 가지 측면에서 심화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書誌的 특징을 포함하여 검토하였다. 40여 장의 斷片으로 구성된 ‘정승모 문서’는 조선후기 서울의 포전 조직에서 작성한 것으로서,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후반 사이에 생산된 문서가 뒤섞여 있음을 밝혔다. 포전의 삼베 구매 및 분배와 관련된 문서 중에는 공동 구매에 참여하여 지분(깃)을 행사한 포전 구성원이 나열된 사례가 있는데, 그 기록의 순서는 牛耕式을 따르고 있었다. 인명의 기재 양식에 대한 파악은 조직의 인적 구성을 비롯한 다각도의 후속 연구를 위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문제인데, 이글에서의 실증 분석을 통해 해결된 것이다. 삼베의 상납 및 운반과 관련된 문서의 이해는 그리 쉽지 않으나, 대략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의 경로를 상정해 볼 수 있었다: (1) 포전에 속한 개별 상인에 대한 공급, (2) 고위 관료에 대한 衣資布 상납,(3) 민간을 대상으로 판매한 포전 건물[房]에의 공급, (4) 중앙 관청에의 貢布 상납, (5) 貢人에 대한 공포 공급. 삼베를 공급한 다음의 대금 정산은 별도의 기록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이 글에서, 비록 충분한 정보가 없는 상황임에도 여러 가지 추론을 통해 ‘정승모 문서’의 분류안을 제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첫째, ‘정승모 문서’ 및 각종의 시전 관련문서에 대한 심층적 이해 및 실증 분석이 가능할 것이다. 둘째, 앞으로 이와 유사한 문서가 발굴될 경우에 ‘정승모 문서’의 분류안을 일반적 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en years ago, a set of documents and scraps of the hemp merchant guild (p``ojn) in Seoul was introduced by the late Dr. Chung, Seung-Mo, a historical folklorist.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each document and scrap by classifying all the materials. Various aspects, including bibliographic items, were discussed. The documents and scraps are assumed to have been written between the late 18th and late 19th centuries. Empirical analysis in this study reveals that the entries of the p``ojon members who joined each joint venture were written in ``boustrophedon.`` Using this knowledge, it is possible to perform further research, including personnel setup. Documents and scraps related to the procurement and supply of hemp cloths enabled us to suggest the five paths of distribution, namely, (1) supply for the individual members of the p``ojon guilds, (2) procurement for bureaucrats`` clothing, (3) supply for retail shops, (4) procurement for government offices, and (5) supply for tribute merchants. Despite the limited information, a categorization candidate was proposed through inductive reasoning. This proposal can serve as a guideline for the classification of new documents or scraps in th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경추의 경막내 추간판 탈출증: 증례 보고

        정승은,이상호,김태홍,조병준,윤득희 대한영상의학회 2005 대한영상의학회지 Vol.52 No.5

        경막내 추간판 탈출증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그 발생기전이나 병태생리에 대하여 정확하게 밝혀진 것은 없는 상태다. 저자들은 56세 남자 환자에서 경추 제 4-5번에 발생한 경막내 추간판 탈출증을 경험하였다. 경막내 추간판 탈출증은 T1과 T2 강조 자기공명영상에서 척수와 거의 동등한 신호를 보이며, 조영증강 검사에서는 경막내로 탈출 된 추간판 주변부를 따라 약한 조영증가를 보였다. 이에 문헌고찰과 함께 그 방사선학적인 소견을 보고하는 바이다. Intradural cervical disc herniation is an extremely rare condition and its pathogenesis is not certain. We experienced a case of intradural cervical disc herniation at the C4-5 level in a 56-year-old man. The preoperative sagittal T1- and T2- weighted images revealed an intradural iso-intensity lesion, with the spinal cord behind the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at the C4-5 disc level. The post-contrast T1-weighted image revealed a peripheral enhanced intradural lesion. We report here on a case of an intradural cervical disc herniation that was diagnosed by radiological examination, and we include a review of the related literature.

      • KCI등재후보

        복강경하 담낭절제술 전 담관결석의 평가에 있어서 자기공명담도조영술의 임상적 유용성과 역할

        정승은,이재문,강봉주,김응국,김재광,한성태 대한영상의학회 2002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6 No.4

        Purpose: To compare the findings of MR cholangiography with those of ultrasound and biochemistry in patients with suspected choledocholithiasis, and to evaluate the clinical utility and role of MR cholangiography prior to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radiologic findings and clinical records of 103 consecutive patients in whom choledocholithiasis was suspected and who underwent both ultrasound and MR cholangiography. For MR imaging, a 1.5T unit was used, and axial T1-FLASH, True FISP, and oblique coronal HASTE and RARE images were obtained. Initial biochemical values (AST, ALT, total bilirubin) were correlated with the findings of MR cholangiography. Results: Choledocholithiasis was present in 36 of 103 patients: overall, there were 34 true-positive, 63 truenegative, four false-positive, and two false-negative results. In the detection of choledocholithiasis, MR cholangiography show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sensitivity, 94%; specificity, 94%; positive predictive value, 89%; negative predictive value, 96%; accuracy, 95%. Calculi in the common bile duct were detected in 3 of 33 patients (9%) in whom ultrasound showed that the caliber of the common bile duct was normal and whose laboratory findings were normal, and in 12 of 43 (28%) of those whose common bile duct was dilatated or whose laboratory values were abnormal. Calculi were present in the common bile duct of 21 of 27 patients (78%) with abnormal laboratory values and abnormal ultrasound findings. Conclusion: Choledocholithiasis was detected in 25% of patients without clinical suspicion and was not present in 25% of patients with strong clinical suspicion. In patients with this condition, MR cholangiography is noninvasive and accurate, and we suggest that in patients with suspected choledocholithiasis, it should be a routine diagnostic procedure prior to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목적: 담관결석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자기공명담도조영술 소견을 초음파소견 및 생화학검사 소견과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복강경하 담낭절제술 전 자기공명담도조영술의 임상적 유용성과 역할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1999년 1월부터 12월 까지 1년간 담석증이 의심되어 복강경하 담낭절제술 시행 전 초음파와 자기공명담도조영술검사를 시행한 환자 103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방사선 영상소견과 생화학검사 소견을 비교 분석하였다. 자기공명영상은 1.5T 기종을 이용하여 축상 FLASH, True-FISP 영상과 우전사위 10°HASTE 원천영상, HASTE 재구성, RARE 영상을 얻었다. 생화학적검사소견은 트란스아미나제, 총 빌리루빈 수치를 비교하였다. 결과: 총수담관결석은 35%(36/103)에서 있었으며 자기공명담도조영술에서 총수담관결석 발견의 결과는 진양성이 34예, 진음성이 63예, 위양성이 4예, 위음성이 2예로 민감도 94%, 특이도 94%, 양성예측도 89%, 음성예측도 96%, 정확도 94%였다. 생화학적검사소견과 초음파소견이 모두 정상이었던 환자의 9% (33예중 3예)에서 총수담관 결석이 있었고 생화학검사 소견이나 초음파소견 중 하나에서만 이상이 있었던 환자의 28% (43예 중 12예)에서 결석이 있었다. 생화학검사 소견과 초음파소견에서 모두 이상이 있었던 환자의 78% (27예 중 21예)에서 총수담관 결석이 있었다. 결론: 임상적으로 총수담관 결석이 의심되지 않은 환자의 25%정도에서 총수담관 결석이 있고 강력히 의심되는 환자의 25%정도에서 총수담관 결석이 없었으므로 복강경하 담낭절제술 전담관결석의 평가에 비침습적이고 정확도가 높은 자기공명담도조영술을 선별 검사나 상용으로 시행할 것을 추천한다.

      • KCI등재후보

        복강경하 담낭절제술 전 담관결석의 평가에 있어서 자기공명담도조영술의 임상적 유용성과 역할

        정승은,이재문,김응국,한성태,Jeong, Seung-Eun,Lee, Jae-Mun,Kim, Eung-Guk,Han, Seong-Tae 대한영상의학회 2002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6 No.5

        목적: 담관결석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자기공명담도조영술 소견을 초음파소견 및 생화학검사 소견과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복강경하 담낭절제술 전 자기공명담도조영술의 임상적 유용성과 역할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999년 1월부터 12월 까지 1년간 담석증이 의심되어 복강경하 담낭절제술 시행 전 초음파와 자기공명담도조영술검사를 시행한 환자 103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방사선 영상소견과 생화학검사 소견을 비교 분석하였다. 자기공명영상은 1.5T 기종을 이용하여 축상 FLASH,True-FISP 영상과 우전사위 10 $^{\circ}$HASTE 원천영상,HASTE 재구성, RARE 영상을 얻었다. 생화학적검사소견은 트란스아미나제, 총 빌리루빈 수치를 비교하였다. 결과: 총수담관결석은 35%(36/103)에서 있었으며 자기공명담도조영술에서 총수담관결석 발견의 결과는 진양성이 34예, 진음성이 63예, 위양성이 4예, 위음성이 2예로 민감도 94%, 특이도 94%, 양성예측도 89%, 음성예측도 96%, 정확도 94%였다. 생화학적검사소견과 초음파소견이 모두 정상이었던 환자의 9%(33예중 3예)에서 총수담관 결석이 있었고 생화학검사 소견이나 초음파소견 중 하나에서만 이상이 있었던 환자의 28%(43예 중 12예)에서 결석이 있었다. 생화학검사 소견과 초음파소견에서 모두 이상이 있었던 환자의 78%(27예 중 21예)에서 총수담관 결석이 있었다. 결론: 임상적으로 총수담관 결석이 의심되지 않은 환자의 25%정도에서 총수담관 결석이 있고 강력히 의심되는 환자의 25%정도에서 총수담관 결석이 없었으므로 복강경하 담낭절제술 전담관결석의 평가에 비침습적이고 정확도가 높은 자기공명담도조영술을 선별 검사나 상용으로 시행할 것을 추천한다. Purpose: To compare the findings of MR cholangiography with those of ultrasound and biochemistry in patients with suspected choledocholithiasis, and to evaluate the clinical utility and role of MR cholangiography prior to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radiologic findings and clinical records of 103 consecutive patients in whom choledocholithiasis was suspected and who underwent both ultrasound and MR cholangiography. For MR imaging, a 1.5T unit was used, and axial T1-FLASH, True FISP, and oblique coronal HASTE and RARE images were obtained. Initial biochemical values (AST, ALT, total bilirubin) were correlated with the findings of MR cholangiography. Results: Choledocholithiasis was present in 36 of 103 patients: overall, there were 34 true-positive, 63 truenegative, four false-positive, and two false-negative results. In the detection of choledocholithiasis, MR cholangiography show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sensitivity, 94%; specificity, 94%; positive predictive value, 89%; negative predictive value, 96%; accuracy, 95%. Calculi in the common bile duct were detected in 3 of 33 patients (9%) in whom ultrasound showed that the caliber of the common bile duct was normal and whose laboratory findings were normal, and in 12 of 43 (28%) of those whose common bile duct was dilatated or whose laboratory values were abnormal. Calculi were present in the common bile duct of 21 of 27 patients (78%) with abnormal laboratory values and abnormal ultrasound findings. Conclusion: Choledocholithiasis was detected in 25% of patients without clinical suspicion and was not present in 25% of patients with strong clinical suspicion. In patients with this condition, MR cholangiography is noninvasive and accurate, and we suggest that in patients with suspected choledocholithiasis, it should be a routine diagnostic procedure prior to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 KCI등재

        전방방광 공간에 생긴 평활근종의 자기공명영상 소견: 증례 보고

        정승은,이재문,한성태,Jeong, Seung-Eun,Lee, Jae-Mun,Han, Seong-Tae 대한영상의학회 2003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9 No.4

        평활근종은 비뇨생식기와 위장관계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며 자기공명영상 T2 강조영상에서 비교적 전형적인 소견을 보인다. 자궁 및 질 등에 생긴 평활근종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있었으나 전방방광 공간(prevesical space)에 생긴 평활근종은 보고된 바 없다. 자궁과 인접하여 있어 자궁근종이 의심되었으나 종괴의 혈관공급이 전방의 복벽에서 보여 점막하의 자궁근종보다는 복막강 밖의 평활근종으로 진단할 수 있었던 1예를 보고한다. Leiomyomas most frequently occur in the genitourinary and gastrointestinal system. This report describes the clinical and imaging findings of a leiomyoma originating in the prevesical space, a rare location. The mass abutted the fundus of the uterus, but after the correct identification of feeding vessels from the right iliac artery, prevesical leiomyoma was diagnosed radiolog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