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광주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포특성을 이용한 수생태 건강성 평가

        윤상훈 ( Sang Hoon Yoon ),정숙경 ( Suk Kyeong Jeong ),위환 ( Whan Wi ),안상수 ( Sang Su An ),장서은 ( Seo Eun Jang ),조영관 ( Young Gwan Cho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5 No.2

        광주천은 무등산에서 발원하여 광주광역시를 통과한 후 영산강과 만나는 길이 약 20km의 지방하천이다. 생태하천 복원사업 등을 통해 부족한 수량을 확보하기 위해 하천유지용수 명목으로 주암호 호소수, 영산강 하천수, 그리고 하수처리장 방류수 재처리수 등이 다량 방류되고 있다. 그러나이에 대한 생태학적 영향 조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환경부 주관의 전국자연환경조사나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에 따른 대규모 생태조사시 광주천은 2~3지점 포함되어 조사되고 있으며, 과거 광주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에 대한 분포조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더욱이 세계적인 물관리 패러다임이 생물·생태학적으로 변화함에 따라 광주천에 대한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고그 일환으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포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는 2014년 10월부터 2015년 4월까지 총 3회에걸쳐 현장조사 및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포조사를 수행하였다. 1차 조사는 2014년 10월 30일, 2차 조사는 2015년2월 4일, 3차 조사는 2015년 4월 22일 실시하였고 조사대상지점은 교란지점을 중심으로 상류부터 5개 지점을 선정하였다. 지점 1~3은 상류지역으로 하수처리장 방류수 재처리수 방류구 , 주암호 호소수 방류구, 영산강 하천수 방류구가 설치되어 있다. 지점 4는 중류지역으로 다른 하천이 유입되는 지점이다. 지점 5는 하류지점으로 영산강과 합류되는 지점이다. 대조군으로는 광주천이 발원하는 무등산 제2수원지 상류 계곡 한 지점을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총 4문 7강 16목 31과 50종이 확인되었다. 곤충류가 39종 (88.1%), 비곤충류가 11종 (11.9%)으로 나타났다. 곤충류는 하루살이목(Ephemeroptera)이 48.1%, 날도래목(Tricoptera)이 28.3%를 차지하였고 파리목(Dipteria), 딱정벌레목(Coleoptera) 순이었다. 평균 개체수는 지점 1에서 586개체, 지점 2에서 348개체, 지점 3은 187개체, 지점 4는 184개체, 지점 5에서는 58개체였다. 분류된 종과 개체수에대한 군집분석 결과, 각 지점별 우점종은 지점 1과 2에서는 부채하루살이(Epeorus pellusidus Brodsky), 지점 3에서는 꼬마줄날도래(Cheumatopsyche brevilineata Iwata), 지점 4와 5에서는 개똥하루살이(Baetis fuscatus Linnaeus)로 나타났다. 우점도지수(DI)는 평균 0.62로 5개 지점에서 모두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종다양도지수(H``)는 평균 2.18로 4, 5지점에서 다소 낮게 분석되었다. 종풍부도지수(RI)는 평균 2.33으로 지점 1에서 평균 3.35, 지점 5에서 1.14로 상류에서 하류로 내려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균등도지수(J``)는 평균 0.62를 나타내었고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낮아지기는 하나 그 차가 크지 않았다. 하천 수질상태를 직접적으로 판단할 수는 없지만 간접적으로 유추해 볼 수있는 비내성 범주 지수(EPT)를 조사한 결과 지점 1에서 86.0%, 지점 2는 85.4%, 지점 3은 61.5%, 지점 4는 54.0%그리고 지점 5에서 46.9%를 나타내었다. 본 조사는 광주천에 대한 향후 지속적인 수생태 건강성 평가연구의 일환으로 지방하천에 대한 체계적인 생물조사를 바탕으로 생태학적 관점에서 하천에 대한 수질관리를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분포와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유하거리가 짧고 도시의 불투수층의 증가로 인해 하천 수량이 줄어들며 다양한 인위적인 교란요인이 상존하는 광주천에서는 이화학적 수질조사는 그 한계가 있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포함한 다양한 수서생물 이용한 생태학적 수질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