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 읽기동기 척도의 타당화 및 규준 연구

        정수정,최나야 한국아동교육학회 2018 아동교육 Vol.2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reading motivation scale (Jeong, 2017) developed to measure reading mo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establish the norms of this scale. For this purpose, 1,535 students from 11 elementary schools in Korea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ir reading motivation and related variabl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AMOS 21.0 programs. In order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the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the half reliability coefficient, and the test-retest reliability coefficient were calculated. The validity was tested by comparing with the reading attitude(ERAS) test, and verified by check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motivation and reading activity based on the cross validity that confirms the fitness index of the measurement model and the result of the previous study. As a result, the stability and suitability of reading motivation scal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confirmed. Finally, we examined the differences in reading motivation by students’ grade and gender for the standardization and norm setting of the results, and calculated standard scores(T-score) and percentile scores. Teachers and parents can use this reliable and valid scale to grasp the child's motivation to read and apply it for instruction and intervention.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읽기동기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과 규준 마련을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국 8개 11개 초등학교 1-6학년 학생 1,535명에게 정수정(2017)이 개발한 ‘초등학생 읽기동기 척도’의 준거관련 척도들로 구성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AMOS 21.0, Exce1 2007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척도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내적 일치도 계수, 반분신뢰도 계수, 검사-재검사 신뢰도 계수를 구하였고, 타당도 검증을 위해 초등학생용 읽기 태도(ERAS) 검사를 준거로 하는 공인타당도, 성별, 학년별, 지역별로 각 측정모델의 적합도 지수를 확인하는 교차타당도, 선행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읽기동기와 읽기활동 간의 관계를 확인한 결과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생 읽기동기 척도의 안정성과 적합성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결과의 표준화 및 규준 설정을 위한 학년과 성별에 따른 읽기동기의 차이를 살펴보고, 표준점수(T-점수)와 백분위 점수를 산출하여 규준을 마련하였다. 교사나 부모는 신뢰할 수 있고 타당한 검사도구인 초등학생 읽기동기 척도로 아동의 읽기동기를 파악하여, 독서지도와 중재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비경제적 사회적 배제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우울⋅불안, 위축의 매개효과

        정수정,김소은,익중 한국아동권리학회 2017 아동과 권리 Vol.21 No.4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empirically the effects of non-economic social exclusion on children’s self-esteem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anxiety and withdrawal. Methods: Th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data from the 7th wave of Korea Welfare Panel Study. We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children’s non-economic social exclusion, depression⋅anxiety, withdrawal, and self–esteem.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non-economic social exclusion had a negative effect on children’s self-esteem.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anxiety and withdrawal show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We discussed multidimensional support for school life support, improvement of family relationship, and improvement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health of children in order to prevent child’s non-economic social exclusion and improve self-esteem. 연구목적: 사회적 배제의 개념 중에서 가구 소득 등의 경제적 요인을 제외하고, 비경제적 사회적 배제의 경험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 관계에서 우울⋅불안과 위축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실증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방법: 한국복지패널 7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아동의 비경제적 사회적 배제, 우울⋅불안, 위축,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아동이 경험한 비경제적 사회적 배제는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경제적 사회적 배제와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 우울⋅불안과 위축은 모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아동의 비경제적 사회적 배제를 예방하고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해 학교생활지원, 가족관계 개선, 아동의 심리⋅정서적 건강 증진 등을 위한 다차원적 지원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물체의 운동 상태에 따른 장력의 크기에 대한 대학생들의 개념조사

        정수정,김범기 한국물리학회 2009 새물리 Vol.58 No.1

        In this study, the dependence of perceptions about the magnitude of string tension on the number of objects connected to strings and the motions of the objects was examined. For this, sixteen questions with multiple choices and reasons for those choices were asked of 46 university students taking introductory physics. The correct answer rates for each question were compared, and the students' response types were classified. From the result of our analysis, students had better understanding for the cases of objects at rest than they did for accelerated objects and the correct answer rate was the lowest in situations where two objects connected by two strings passed over a pulley. Students generally thought that tension was exerted only on the ends of a string and that the tensions on both strings connected to the same object were always the same. When two objects were accelerated vertically, students also had difficulty in identifying the tension on each object. 실에 연결된 물체의 개수와 운동 상태에 따른 장력의 크기에 관한 대학생들의 개념을 조사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였다. 연구 대상은 일반 물리학을 수강하고 있는 사범대학 1학년 46명이고 문항별로 정답률과 응답 이유를 범주화하여 대학생들이 갖고 있는 오개념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가속 상태 보다는 정지 상태에서, 도르래를 사용한 경우보다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장력의 크기에 대한 정답률이 더 높았으며 물체가 2개이고 도르래가 사용된 복합 상황에서는 정답률이 매우 낮았다. 대체로 학생들은 실의 양쪽 끝부분에만 장력이 작용하며 한 물체의 양쪽에 연결된 실에 작용하는 장력은 항상 같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물체들의 운동 상태와 관계없이 장력의 크기는 실에 연결된 물체들의 질량 또는 무게와 같다고 생각하는 경향을 보였다.

      • KCI등재

        독일과 한국 법률 텍스트에 나타나는 복합대용어의 쓰임에 관하여

        정수정 한국독어독문학회 2020 獨逸文學 Vol.61 No.2

        In dieser Arbeit wird versucht, anhand von deutschen und koreanischen Gesetztexten Komplex-Anaphern zu untersuchen, wobei das Hauptaugenmerk darauf liegt, ihre spezifische Eigenschaften aus verschiedenen Perspektiven zu betrachten sowie ihre Besonderheiten darzulegen, welche die Gesetze als fachsprachliche Texte von anderen allgemeinen geschriebenen Texten abheben. Anaphorik entsteht normalerweise dadurch, dass in einem Text ein zweites Mal auf eine Entität in der außersprachlichen Wirklichkeit verwiesen wird. So wird der Ausdruck, der zum ersten Mal auf den Referenten verweist, zum Antezedenten, während der ihn wieder aufnehmende Ausdruck zur Anapher wird. Komplex-Anaphern beziehen sich darunter auf komplexe Referenzstrukturen. Ihr Antezedent ist nicht ein leicht identifizierbarer konkreter Ausdruck, sondern ein größerer Textabschnitt, der mindestens einen Satz beinhaltet. Die Formen von Komplex-Anaphern in deutschen Gesetzen sind vor allem ‘dies’ und ‘dies- + Nomen’, während die Formen im Koreanischen ‘이 + Nomen’, ‘그 + Nomen’ und ‘이’ darstellen. Charakteritisch wohl für die deutschen Gesetze ist, dass die Komplex-Anaphern entweder semantisch weitgehend leere nicht-intepretierbare Nomen wie z. B. ‘Umstand’, ‘Fall’ u.Ä. oder aus im Antezedensfeld verwendeten Verben abgeleitete Nomen enthalten. Dies trifft wohl doch nicht auf alltägliche geschriebene Texte zu, denn in den alltäglichen Texten oft eher ein Nomen als Komplex-Anaphor vorkommt, der eine Bewertung und somit zusätzliche Information tranportiert, was so im Antezedensfeld nicht vorgenommen wird. 대용은 문장이나 문장을 넘어서는 재수용 현상으로 일반적으로 한 텍스트에서 언어외적 세계의 어떤 대상을 되풀이하여 지시할 때 일어난다. 대용형태 중에서 복합대용어 Komplex-Anapher는 복합적인 지시구조를 나타내는 언어표현으로서 복합대용어의 선행어는 텍스트에서 간단히 식별될 수 있는 단순한 지시대상이 아니다. 이는 비교적 큰 언어표현 단위인 문장 혹은 이를 넘어서는 언어단위이다. 본고에서는 독일과 한국 법조문, 특히 헌법, 민법, 형법에 쓰인 복합대용어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 이러한 복합대용어와 선행어와의 관계의 특이성을 일반 글말 텍스트와의 연관 속에서 조명하고자 한다. 독일 법조문에서 사용되는 복합대용어는 ‘dies’ 단독형이나 ‘dies- + 명사’ 구조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한국 복합대용어에는 ‘이’나 ‘그’와 명사와의 결합형태거나 ‘이’ 단독형이 쓰이고 있다. 일반 글말 텍스트에서 복합대용어로 쓰이는 명사는 해당 텍스트 맥락에 의미적으로 적절한 유의어가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면, 법률 텍스트에서 나타나는 복합대용어의 명사는 지시하는 사태에 대한 추가적 해석을 최소화하는 명사이거나 독일어의 경우처럼 앞 문장이나 단락에서 이미 사용된 동사에 기초한 명사이다.

      • KCI등재

        주성분분석을 이용한 사면의 위험성 평가

        정수정,김용수,김태형 한국지반공학회 2010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Vol.26 No.10

        To detect abnormal events in slope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is applied to the slope that was collapsed during monitor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s a kind of statical methods and is called non-parametric modeling. In this analysis, principal component score indicates an abnormal behavior of slope. In an abnormal event, principal component score is relatively higher or lower compared to a normal situation so that there is a big score change in the case of abnormal. The results confirm that the abnormal events and collapses of slope were detected by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t could be possible to predict quantitatively the slope behavior and abnormal events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 KCI등재

        pH에 따른 점토차수재의 특성

        정수정,김태형,이용수 한국지반공학회 2007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Vol.23 No.8

        In this study, experiments are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waste leachate on landfill clay liner system. Tensile test, hydrometer analysis and crack pattern test were conducted on sand-bentonite mixtures with different pH values of water. The tensile strength of specimen compacted with pH 9 of water is smaller than that of specimen compacted with for pH 3 and 6 of water. That is, the higher the pH value, the smaller the tensile strength, because a higher pH solution decreases flocculation phenomenon. The percent finer also increased with high pH value in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fine grained soil (<0.075 mm), because the velocity of particles settling decreases. This trend becomes the clearer as the content of bentonite, becomes the larger, because the higher pH value decreases flocculation structure of fine soils. The results of the crack pattern tests also showed the effect of pH values of water.

      • KCI등재

        Light I-V 곡선을 이용한 결정질 태양전지의 이상계수와 직렬 저항 특성 분석

        정수정,김수민,강윤묵,이해석,김동환,Jeong, Sujeong,Kim, Soo Min,Kang, Yoonmook,Lee, Hae-seok,Kim, Donghwan 한국재료학회 2016 한국재료학회지 Vol.26 No.8

        With the increase in installed solar energy capacity,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physical property values of solar cells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for production. Therefore, research on determin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 values of solar cells is being actively pursued. In this study, a diode equation, which is commonly used to describe the I-V behavior and determine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 values of solar cells, was applied. Using this metho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diode ideality factor (n) and series resistance ($R_s$) based on light I-V measurements. Thus, using a commercial screen-printed solar cell and an interdigitated back-contact solar cell, we determined the ideality factor (n) and series resistance ($R_s$) with a modified diode equation method for the light I-V curves. We also used the sun-shade method to determine the ideality factor (n) and series resistance ($R_s$) of the samples. The values determined using the two methods were similar. However, given the error in the sun-shade method, the diode equation is considered more useful than the sun-shade method for analyzing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because it determines the ideality factor (n) and series resistance ($R_s$) based on the light I-V curves.

      • KCI등재

        디지털 성범죄 수사 중 우연히 발견된 별건 촬영물에 대한 압수·수색 방안

        정수정 대검찰청 2023 형사법의 신동향 Vol.- No.81

        우리의 삶에서 디지털 기기는 마치 신체의 일부와 같이 중요해졌다. 디지털 기기를이용한 성범죄 역시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 디지털 증거의 증거능력에 관한 문제는 연일 법정에서 치열한 쟁점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디지털 성범죄 사건을 수사하는 실무가의 입장에서 수사 중 별건의 성범죄와 관련된 촬영물이 우연히 발견된 경우 증거의 인멸과 2차 피해의 확산을 막기 위한 긴급압수·수색의 방안에 대하여 고민해 본 결과이다. 대법원은 별건 촬영물 증거에 대하여 애초 압수 범죄사실과의 ‘관련성’, 즉 기존 압수 범죄사실에 관한 간접증거나 정황증거에 해당할 수 있을 정도의 구체적 연관관계가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별도의 새로운 압수·수색 절차를 통해 증거를 수집하여야 한다는 기본적 원칙을 견지하고 있다. 여기에 더하여 최근에는 묵과할 수 없는 피해의 중대성에 대한 고려에서 차츰 그 관련성의 범위를 유연하게 확장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판례가 제시하는 기준에 의하더라도 관련성이 부정되는 경우를 하급심에서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한편, ‘관련성’의 개념 또는 그 범위와 한계를 수사초기 또는 증거 발견 즉시 명확히 확정 짓는 것은 수사 현실에서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결국 수사기관으로서는 향후 법정에서 중요 증거의 증거능력을 인정받기 위하여 증거를 발견하는 수사 초기 단계에서부터 판례가 제시하는 원칙에 따라 즉시 압수·수색 절차를 중단하고 추가 혐의사실에 대하여 소명자료를 갖추어 사전 압수영장을 발부받은 다음 해당 증거를 확보할 수밖에 없게 된다. 한편, 디지털 정보의 전파성과 휘발성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성범죄의 영역에서는 사전 압수영장을 집행하기까지 발생하는 시간적 공백으로 인하여 증거인멸, 2차 가해, 동종 범죄에의 이용 위험이 있다는 점에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미국이나 독일의경우 일명 ‘플레인 뷰 원칙’, ‘긴급한 상황의 예외’, ‘우연한 발견물의 가압수’등의 법리를 통해 우연히 발견된 별건 증거물에 대하여 영장 없는 압수를 인정하고 있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러나, 위와 같은 법리는 현재 우리 법에는 도입되어 있지 않으므로 실무상 외국의 예를 그대로 적용하기는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 형사소송법이 인정하고 있는 틀 안에서 영장 없는 압수․수색 방안으로 범죄장소에서의 긴급압수·수색제도의 활용을 모색해 보았다. 촬영물 발견 즉시성폭력범죄의처벌등에관한특례법위반(카메라등이용촬영물소지등)죄 또는 아동․청소년의성보호에관한법률위반(성착취물소지등)죄의 구성요건이 소명될 수 있는 상황이라는 점과 피압수자인 피의자가 해당 디지털 정보를 사실상 보관·관리하고 있으므로이를 법률적 개념인 ‘소지’로 판단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였다. 수초, 수분 사이에도 무한정 범위로 반복·확산이 가능하고 증거인멸이 매우 용이한디지털 성범죄의 특성을 고려해 보면, 신속한 디지털 증거를 적시에 확보하는 것과 추가 범행을 방지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함은 부인할 수 없다. 디지털 성범죄 사건 수사 중 우연히 발견되는 별건 디지털 성범죄 사건의 불법 촬영물에 대하여 형사소송법상 ‘범죄장소에서의 긴급압수·수색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신속한 증거확보와 피해자 보호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In our lives, digital devices have become as important as body parts. Sexual crimes using digital devices are also on the rise, and the issue of evidence capability related to digital evidence is being addressed as an issue in court every day. This paper is the result of considering sei zure and search methods to minimize the risk of destruction of evidenc e and spread of damage if evidence related to other case is found by a ccident from the perspective of a practitioner investigating a digital sex crime case. The precedent is that evidence should be collected with taking a se parate new seizure search procedure unless there is a connection with the original seizure crime, that is, indirect evidence of the existing seiz ure crime, or concrete evidence that can be seen as circumstantial evid ence. Furthermore, as a result of analyzing precedents, the Supreme Co urt tends to flexibly recognize the scope of relevance in digital sex cri me cases. However, even if the relevance standard presented by the pr ecedent is based on, there may be cases where relevance is denied, an d it is not difficult to find cases where relevance is denied in actual lo wer court cases. The reality is that it is difficult for an investigative a gency to predict whether or not the relevance will be recognized in a p ost-court from the early stages of evidence discovery and determine w hether a warrant procedure is necessary. In the end, the investigative a gency immediately should stop the seizure and search process when a separate filming is discovered, and get a separate warrant to secure evi dence. Howev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sex crimes, it is a problem that the time gap that can be an opportunity to destroy eviden ce, inflict secondary harm, and cause recidivism. In the case of the Uni ted States and Germany, the so-called “plane view doctrine”, “exigent circumstances exception”, “Vorlaufige Beschlagnahme eines Zufallsfunde s” are recognized without warrants for special evidence discovered by a ccident, which has great implications for us, but it is difficult to apply foreign legislation in practice because it is not currently ruled in our la w. In this situation, this paper sought to find a way to seize the elecrti c resource(digital evidence) urgently by utilizing the seizure and search system in criminal places recognized by the Korean Criminal Procedure Act, focusing on the fact that a special film elecrtic evidence(digital e vidence) is found due to the nature of digital sex crimes, such as viola ting the Special Act on the Punishment of Sexual Violence Crimes (pos session of film using cameras, etc.) or the constitution of the Act on t he Protec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possession of sexual exploit ation, etc.) in relation to the film.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sex crimes, which can be r epeated and spread indefinitely even between seconds and minutes, and are very easy to destroy evidenc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is mo 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to ensure prompt digital evidence and t o protect victims by preventing further crimes. In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it will help secure evidence quickl y and protect victims by actively utilizing the ‘emergency seizure syste m at crime places’for the electric resource of a separate digital sex cri me case accidentally discovered during the investigation of a digital sex crime case.

      • KCI등재

        취학 저년도 가정문해환경과 독서경험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읽기동기와 읽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수정,최나야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2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1 No.2

        이 연구는 취학 전년도 가정문해환경과 독서경험, 초등학교 1학년 때의 읽기능력과 읽기동기가 아동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변수 간의 상관관계와 인과적 구조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S시의 초등학교 3곳의 1학년 10개 학급 아동과 그 어머니 총 267쌍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첫째, 여아가 남아에 비해 취학 전년도의 문해자료, 쓰기도구, 독서경험, 독서량, 어머니와의 책읽기 상호작용, 도서관 이용경험, 1학년 때의 읽기동기에서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둘째, 첫째 또는 외동 아동이 둘째 이하의 아동에 비해 취학 전년도의 가정문해환경 총점 및 아동도서, 문해공간, 독서경험 총점과 독서량, 1학년 때 읽기이해와 읽기동기에서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셋째, 취업모의 자녀에 비해 비취업모의 자녀가 취학 전년도 문해공간, 독서경험, 독서량, 1학년 때 읽기유창성과 읽기이해에서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넷째, 취학 전년도 가정문해환경, 독서경험과 1학년 때의 읽기능력, 읽기동기 간에 대부분 높은 수준의 정적 상관이 있다. 특히 하위요인 중 취학 전년도 아동도서, 독서량, 도서관 이용경험, 1학년 때의 읽기유창성, 읽기이해, 읽기동기 간에는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취학 전년도 가정문해환경과 독서경험, 1학년 때의 읽기능력과 읽기동기 간의 인과적 연구모형이 적합한 모형으로 평가되었다. 취학 전년도 가정문해환경은 같은 시기 독서경험에 직접적 효과를 미치고, 독서경험은 1학년 때의 읽기동기와 읽기능력에 직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문해환경은 독서경험을 매개로 하여 읽기동기와 읽기능력에 간접 영향을 미치고, 읽기능력에 대한 간접효과가 가장 큰 변수는 취학 전년도의 독서경험이며, 그 다음이 가정문해환경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