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돌보미 바우처서비스 효과성과 영향 요인

        정소연(Jung So-Yon)ㆍ김은정(Kim Eun-Jeong) 한국가족학회 2009 가족과 문화 Vol.21 No.1

        본 연구는 세 가지 목적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 목적은 노인돌보미바우처서비스의 현황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고, 두 번째 목적은 이 서비스가 가족생활 차원에서 갖는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며, 세 번째 목적은 그러한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서비스 관련 특성을 중심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서비스 관리센터가 2007년 전국의 노인돌보미바우처서비스 이용자 및 가족원 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가 활용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 이용현황을 분석한 결과, 서비스 이용자들은 ‘신체수발’, ‘식사 및 가사지원’, ‘심리사회 및 이동지원’, ‘보조적 의료지원’ 영역의 다양한 서비스들을 이용하고 있었으나 그 중에서도 특히 ‘식사 및 가사지원’영역의 서비스 이용률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서비스 이용노인의 동거 가족원들은 노인돌보미 바우처서비스를 이용한 이후 가족원들의 심리적 불안이 감소하고, 정신건강이 향상되었으며, 신체적 피곤함이 감소되는 등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셋째, 노인돌보미 바우처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가족원들의 생활이 긍정적으로 변화함에 있어서 어떠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시도한 결과, 서비스 이용자와 가족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4가지 서비스 영역(신체수발, 식사 및 가사지원, 보조적 의료지원, 심리사회 및 이동지원)과 서비스 제공자의 윤리적 실천정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노인의 일상생활을 지원하는 재가돌봄서비스가 향후 확대될 것을 감안할 때, 바람직한 노인돌봄서비스 정책설계를 위해 서비스 이용 가족원의 복지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후속연구들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has three objectives. The first objective is to examine specific services available and utilization rates of them provided under in-home services for the elderly in Korea(IHSE). The second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IHSE, focusing on the desirable changes in family life. Thirdl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service characteristics that are related to such an effectivenes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drawn from the dataset of Center for Social Services Management which were collected in 2007 from service users and their family members.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ervice users and their families utilized various services categorized into four domains: personal care aid; meal preparation and house keeping; psycho-social services; and escorting, and supplementary home health care. Especially, services in the domain of meal preparation and house keeping were in general very popular. Second, the family members reported that the service brought themselves a number of desirable changes including increased individual time, reduced feelings of fatigue, and improved mental health. Finally,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results show that the four service domains and ethical practice by service provider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effectiveness which was measured as the desirable changes in family life controlling fo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ervice users and their family members.

      • KCI등재
      • KCI등재

        논문 : Z-force 터치 제스처 정의 및 사용자 선호 유형

        유훈식(주저자) ( Hoon Sik Yoo ),정소연(공저자) ( So Yon Jeong ),김기덕(공저자) ( Ki Duk Kim ),주다영(교신저자) ( Da Young Ju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5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4 No.3

        Z-force는 터치 기반 디바이스에서 X축과 Y축을 넘어 압력을 인식하는 터치 제스처 입력 방식이다. Z-force와 관련된 연구와 실제 적용 사례들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 연구는 Z-force 터치 제스처 입력 방식을 정의하고 그 중에서 유용한 입력 방식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 기존 연구를 기반으로 Z-force 터치 제스처 입력 방식을 정의하기 위한 구조를 제안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총 29가지의 Z-force 터치 제스처 입력 방식을 정의하였다. 유용한 입력 방식을 도출하기 위해서 29가지 입력 방식에 대한 사용자 조사를 수행하여 ``strong touch``와 ``strong longpress``가 가장 활용 가능성이 높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활용 가능성이 낮은 입력 방식도 함께 정의하였다. 이 연구는 기술 개발 관점이 아니라 사용자 경험의 관점에서 Z-force를 활용을 위한 터치 제스처 유형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는 점에 큰 의의를 가진다. Z-force refers to input interaction method that recognizes beyond X and Y-axis on the touch screen device. Z-force-related researches and practical applications are on the rise. In this paper, we conduct the research on Z-force touch gesture to provide more emotional and natural experience of input interaction. This study aims to suggest useful touch gestures that can utilize Z-force interaction. We propose a total of 29 touch gestures that bases on eight touch types and steps of pressure that has been defined in the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of the paper, ``strong touch`` and ``strong long press`` are the most convenient form of interaction among 29 defined gestures. This research is significance because it defines useful Z-force touch gestures from the user’s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