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NS 이용강도와 우울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에 의해 조절된 상향비교의 매개효과: 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

        정소라,현명호 한국건강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2 No.4

        This study explored the mediating effect of upward social comparison moderated by cognitive flexi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network service use intensity and depression, focused on Instagram. To examine this, 186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s of Instagram use intensity, upward social comparison experience at using Instagram, cognitive flexibility and depression. As a result, Instagram use intensity was positively related to upward social comparison and depression, but negatively related to cognitive flexibility. Based on these correlations, we verified that upward social comparison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agram use intensity and depression and that only control flexibility(one sub factor of cognitive flexibility) had moderate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pward social comparison and depression. Finally we verify mediating effect of upward social comparison moderated by control flexi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agram use intensity and depres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high control flexibility may relieve dange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agram use intensity and depression by reducing the effect of upward social comparis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future directions for this research were provided. 본 연구는 SNS의 이용과 우울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에 의해 조절된 상향비교의 매개효과를 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186명을 대상으로 인스타그램 이용강도, 인스타그램 이용 시 상향비교 경험, 인지적 유연성, 우울을 측정하는 척도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분석 결과 인스타그램 이용강도는 상향비교 및 우울과 정적 상관이 있었고 인지적 유연성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전체 참가자를 대상으로 인스타그램 이용강도와 우울의 관계에서 상향비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상향비교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매개변인인 상향비교와 종속변인인 우울의 관계를 인지적 유연성의 하위요인인 통제유연성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SPSS Macro를 이용하여 인스타그램 이용강도가 우울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통제유연성에 의해 조절된 상향비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인스타그램 이용강도가 강할수록 인스타그램 공간에서 상향비교를 더욱 많이 경험하게 되어 우울로 이어질 수 있지만 통제유연성을 높일 수 있다면 상향비교의 간접효과가 낮아져서 위험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사회적 약자를 위한 ‘차이의 정치’와 ‘소통적 민주주의’ : 한나 아렌트와 아이리스 영을 중심으로

        정소라 대동철학회 2022 大同哲學 Vol.98 No.-

        이 글의 목적은 한나 아렌트와 아이리스 영의 이론을 중심으로 사회적 약자의 정치적 의 사소통을 위하여 민주주의 사회가 고려해야 할 사항이 무엇인지 검토해 보는 것에 있다. 아 렌트는 특수한 정체성의 차이를 인정하는 가운데, 공적 삶과 공공의 가치를 중시하는 보편 적 소통을 중시하였다. 그녀는 공론장에 참여한 모두가 동등한 입장으로 의견교환을 통해 ‘민주적 공공성’을 형성해 간다고 보았지만, 여기에서 참여자들이 겪을 수 있는 경제적 여 건의 어려움이나 ‘담론 자원’의 격차를 염두에 두지 않았다는 점은 한계로 지적된다. 이에 비해 영은 사회적 약자 입장에서 ‘정의’와 ‘민주주의’를 논의한 철학자이자 페미니즘 이론가 로서, 분배적 패러다임에서 분명히 드러나지 않는 ‘구조적인 부정의’에 주목한다. 그녀는 억압과 지배를 교정하는 ‘차이의 정치’와 ‘소통적 민주주의’를 제안하며, 의사결정에 관여하 고 영향을 받는 모든 특정하고 구체적인 사회집단들에게 목소리와 표결권을 확실하게 보장 하는 제도로서의 민주주의를 옹호한다. 이 글은 약자의 입장에서 의사소통이 더 유리하게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다양한 관점의 공존이라는 측면에서 그들의 공론장의 진입과 목소리가 배제되지 않는 것에 대한 적극적인 고려가 필요하며, 소통적 민 주주의를 향한 구체적인 실천으로서 ‘정치적 책임’과 ‘연대’가 중요하다고 주장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what should be considered in a democratic society for communication with social minorities with a focus on theories by Hannah Arendt and Iris Marion Young. Recognizing differences in unique identities, Arendt put importance on universal communication that valued a public life and value. She argued that everyone participating in a public sphere should form “democratic publicity” by exchanging opinions in equal positions, but she had her share of limitations as she did not keep in mind their potential difficulties with economic conditions and gaps in “discourse resources.” Young was a philosopher and feminism theorist that discussed “justice” and “democracy” in the viewpoint of the socially marginalized citizens, focusing on “structural injustice” not showing clearly in a distributive paradigm. She proposed “politics of difference” and “communicative democracy” to correct suppression and domination and advocated democracy as an institution to guarantee voices and votes certainly to all the specific and concrete social groups that got involved in a decision-making process and were influenced by one. The present study does not insist that communication should be more favorable for social minorities, but it maintains that there should be active considerations not to exclude their entry and voice in a public sphere for the coexistence of diverse viewpoints and that “political responsibility” and “solidarity” should be important as specific practice toward communicative democracy.

      • KCI등재후보

        RFM을 활용한 추천시스템 효율화 연구

        정소라,진서훈 대한설비관리학회 2018 대한설비관리학회지 Vol.23 No.4

        User-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is a method of recommending an item to a user based on the preference of the neighbor users who have similar purchasing history to the target user. User-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is based on the fact that users are strongly influenced by the opinions of other users with similar interests. Item-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is a method of recommending an item by comparing the similarity of the user's previously preferred items. In this study, we create a recommendation model using user-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and item-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with consumer’s consumption data. Collaborative filtering is performed by using RFM (recency, frequency, and monetary) technique with purchasing data to recommend items with high purchase potential. We compared the performance of the recommendation system with the purchase amount and the performance when applying the RFM method. The performance of recommendation system using RFM technique is better.

      • KCI등재

        Methylglyoxal-derived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induce matrix metalloproteinases through activation of ERK/JNK/NF-κB pathway in kidney proximal epithelial cells

        정소라,박호영,김윤숙,이광원 한국식품과학회 2020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Vol.29 No.5

        The accumulation of reactive a-dicarbonylleading to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 havebeen linked to pathophysiological diseases in many studies,such as atherosclerosis, cataract, cancer, and diabeticnephropathy. Glycation-generated AGEs increase theex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by transferring signalsto the cell by binding them to the receptor for AGEs(RAGE) on their cell surface. The effect of methylglyoxalderivedAGEs (AGE-4) on the induc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MMPs) in rat ordinary kidney cells (NRK-52E) was explored in this research, among other AGEs. The cell treated with 100 lg/mL AGE-4 for 24 h showed asubstantial rise in MMP-2 and MMP-9 expression relativeto BSA control only and other AGEs through ERK, JNK,and NF-B pathways. Our findings therefore suggest thatAGE-4 expresses MMPs through the AGE-4-RAGE axis,activating MAPK signals that may contribute to dysfunctionof the kidney cell.

      • KCI등재후보

        실증적 분석에 따른 연극치료 연구의 동향 분석 - 국내 학위 논문 중심으로

        정소라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20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12

        국내 연극치료 연구는 양적으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지만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연구가 행해지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경향을 실증적으로 밝히고 그 개선점을 찾기 위해 1997년부터 2020년까지의 국내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일한 특성을 갖는 대상군이 반복적으로 연구되는 경향을 보이며 시대상을 반영한 대상군 선정이 미흡하다. 랜디와 제닝스의 접근법 사용이 67%에 이르지만 이론에 따른 방법론․프로그램 설계의 연관성이 약하다. 심리학 이론을 적용하여 프로그램을 설계한 경우에도 이와 비슷한 경향을 보인다. 또한, 심리척도에 비해 연극치료 진단도구의 사용이 제한적이고 역할 프로파일 사용 비율이 44%에 이른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대상군과 연극치료 이론에 관한 보다 폭넓은 관심, 연극치료 교육기관의 전문성 심화, 실습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슈퍼비전 체계 구축과 교육이 필요하다. Domestic drama therapy research is growing steadily in quantity. But limited and repetitive research tends to be done. This study focused on domestic dissertation from 1997 to 2020 in order to empirically identify this trend and find its improvem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arget groups with the same characteristics tend to be studied repeatedly. and The selection of a target group suitable for the times is insufficient. Although Randy and Jennings' theory accounted for 67 percent, the link between theory and methodology and program design is weak. Similar trends exist when programs are designed by applying psychological theory. Also, the use of drama therapy diagnostic tools is limited compared to the psychological scale. and Role profile inspections account for 44 percent. To improve these problems, a wider interest in the target group and the theory of drama therapy, the development of the professionalism of the drama therapy educational institution, and the establishment and education of the super-vision system to improve the quality of practical education ar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