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회전교차로 진출부 횡단보도의 적정 이격거리 산정에 관한 연구

        정소담(JEONG, So Dam),이솔(LEE, Sol),안우영(AHN, Woo Young) 대한교통학회 2016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75 No.-

        최근 들어 어린이 보호구역과 같은 특수지역 부근에 회전교차로 설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교차로 내 상충과 불필요한 지체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회전교차로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이런 지역에 회전교차로 설치 시 교통약자의 횡단시간 동안 차량이 회전부에 대기행렬을 유발함으로써 회전차량의 통행을 방해할 수 있다. 회전부 내 대기차량을 제거하기 위해 회전교차로에 2단 횡단보도를 설치하고 이를 위해 포아송분포를 이용하여 진출부 횡단보도의 적정 이격거리를 산정하여 진입차량 대기공간을 마련하고자 한다. 교통약자를 포함한 보행량이 많은 지역을 기준으로 하여 시나리오를 작성하였고 교통량 별 이격거리에 따라 미시적 교통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VISSIM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차량평균지체로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상대적으로 진입교통량이 많은 경우에 차량평균 지체 증감률 –9.32%까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회전교차로 설치 가능한 조건 내에서 교통량이 많은 경우에는 일반 횡단보도보다 2단 횡단보도가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Recently, the need for the installation of a roundabout at the school zone has increased due to the decrease in the conflict and unnecessary delay. In spite of these advantages of a roundabout, when the roundabout is installed in this area, the rotating vehicle is interrupted by queue in a circulatory roadway while the vulnerable pedestrian cross the street at a crosswalk.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the staggered pedestrian crosswalk in roundabout. The optimal distance of departure crosswalk from a yield line, in order to provide waiting space for queue, is estimated using the Poisson distribution. The scenarios are based on the area with many pedestrians that include vulnerable pedestrians. To analyze various scenarios, we use VISSIM that the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program. The staggered crosswalk reduces traffic average delay by 9.32% and improves traffic flow in roundabout. In conclusion, the staggered pedestrian crosswalk is more effective than general pedestrian crosswalk in this case.

      • KCI등재

        국내 상담 및 심리 분야 중년 대상 연구 분석

        정소담(Jeong, So-Dam) 한국교육치료학회 2024 교육치료연구 Vol.16 No.1

        This research aims to review the studies in the counseling and psychology field on middle-aged. A total of 144 articles were analyzed. There is a growing research tendency during the last 10 years. There were 67(46.5%) studies in which male and female participated, female-focused were 64(44.5%), and male-focused were 13(9.0%). Regarding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were 110(76.3%), qualitative were 31(21.5%) and mixed method were 3(2.1%). Research topics were primarily related to ‘Psychological Health’ and ‘Relationship(family),’ while ‘Relationship(others)’ and ‘Meaning in life’ were scarce. In mid-life, cognitive function and future time perspective change. Compared to adolescents, the middle-aged put an emphasis on family/community and internal value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s well as suggestions for counseling and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국내에서 중년을 대상으로 수행된 상담 및 심리 분야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중년의 심리사회적 특징을 이해하고 중년 관련 연구 및 상담 개입을 위한 시사점을 제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담 및 심리 분야 주요 학술지들에 창간호부터 2024년 1월까지 게재된 중년 대상 논문 144편의 연도별 발행 편수, 연구 참여자 성별, 연구 방법 및 주제를 분석하고 결과를 개관하였다. 중년 연구는 최근 10년 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연구 대상은 혼성 67편(46.5%), 여성 64편(44.5%), 남성 13편(9.0%)이었다. 연구 방법의 경우, 양적 연구 110편(76.3%), 질적 연구 31편(21.5%), 혼합방법 연구 3편(2.1%)이었다. 연구 주제의 경우, ‘심리적 건강’, ‘가족관계’가 주로 다루어졌고, ‘기타 관계’와 ‘삶의 의미’는 낮은 비율을 차지했다. 연구 내용 분석 결과, 중년기에는 인지능력 감퇴와 미래 시간 조망의 변화가 시작되며, 청년기에 비해 개인주의적, 외재적 가치보다 공동체/가족 중심적, 내재적 가치를 중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중년 상담 및 심리치료 실무에 주는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