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미국·일본 초등학교 미술교과서 비교 연구 - 표현 방법 및 재료와 용구를 중심으로 -

        정세명(Se-Myung J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05 美術敎育論叢 Vol.19 No.3

        미술교육은 아동의 자아 표현을 촉진시키고, 창의성을 기를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특히 초등학교 시기는 미적 발달단계상 여러 단계를 거치는 시기이므로 아동의 발달적 특성에 대한 배려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 중에서도 표현에 있어서 방법 및 그에 따른 재료와 용구의 사용은 아이들의 감수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미국, 일본 미술 교과서에 제시한 표현 방법 및 재료와 용구를 단계별(1·2, 3·4, 5·6)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여 각 발달 단계에 적합한 표현 방법과 재료와 용구의 사용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All products and activities of children might be close connected with their own emotions and external factors. As a variety of artistic media have been developed, it has influenced and enriched with techniques and vehicles for self-expression of children: It thus could have children choose and use the more artistic materials, tools, and techniques in art makings. In light of those changes, this study aimed at first focusing on analyzing art texts among korea, U.S.A, and Japan through a view of comparative description, then searching for ways to improve the educational use and to develop the instructional methods in elementary levels. In conclusion, to help them express their own self and communicate with peers, people, community and the world, we should provide children with age-appropriate skills, materials, techniques and art textbooks needed in their all artistic activities, and also teach them by being founded on scientific-sequenced art curriculum.

      • KCI등재

        초등학교 드로잉 지도 방안 모색

        정세명(Jung Se-My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06 美術敎育論叢 Vol.20 No.3

          초등학교 시기는 조형능력을 기를 수 있는 최적의 시기이며, 그 효과 또한 가장 큰 시기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 미술교과서나 교육 현장에서는 창의적 자아 표현운동과 DBAE이론의 강세로 기본적인 드로잉 기술을 지도하는데 소홀히 하는 경향이 있다. 드로잉 기술을 가르치는 것이 창의성과 미술 감상능력을 발달시키는데 저해요인이 되는가? 아이들은 그들의 미적 감수성이 성숙함에 따라 그 표현 기술도 이에 부응하기를 갈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국, 미국, 일본 초등학교 교과서와 지도서의 드로잉 교육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 현장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드로잉 지도 방안에 대해 모색해 보았다.   Children"s drawing abilities progress through the developmental sequence of child art in a relatively predictable manner, so they want to meet drawing skills their expectations. Children want to learn seeing exactly and drawing as easily as possible. My purpose is here to help you teach drawing most effectively in your classes.<BR>  This paper is therefore to provide the effective method of teaching drawing for children in our primary schools. For finding out the systematic process of teaching drawing to children, we should understand what is problematic in the generalized program of drawing. To do this, I first analyzed the drawing methods, comparing between the contents of in the art textbooks of Korea, America and Japan.<BR>  As a result of this, developing children"s drawing skills never hinders their creative thinking and esthetic sensibilities, but rather helps them produce good art. When children learn the realistic drawing skills, they also want to follow together their drawing skill according to developing their esthetic sensibility. It can be seen that drawing is demanded a discipline but children have not enough to be taught the discipline and skills as well. It thus means that you should consider how you can help them apply and develop the skills that they have learned for producing more expressive drawing.

      • KCI등재

        초 중등 미술교과서의 외래어, 외국어 및 한자어 미술용어 분석 연구

        이성도(Yi Sung-Do),김혜숙(Kim Hye-Sook),반주영(Ban Joo-Young),정세명(Jung Se-Myung),곽민경(Kwak Min-Kyo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06 美術敎育論叢 Vol.20 No.1

          초·중등 미술교과서에서 다루어지는 다양한 미술용어들은 미술과수업의 교수-학습에 있어 이론과 실제에 해당되는 내용들과 직접적으로 관련된다. 미술교과서에서 사용되는 미술용어 중에는 외래어, 외국어 및 한자어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 미술용어에 있어 영어, 불어 등의 외래어, 외국어 및 한자어는 미술교과서에서 어느 정도 사용되고 있으며 이런 미술용어는 초·중등 학생들이 미술과수업을 학습하는데 있어 어떻게 영향을 주는가를 반성적으로 살펴볼 때, 우리말 순화의 필요성과 정확한 표기의 중요성이 제기된다. 이 연구는 미술과 수업에서 용어가 갖는 중요성을 알아보고 초·중등 미술교과서의 외래어·외국어 및 한자어의 실태를 조사·정리하여 문제점을 파악하는 것이다.   Art terminology appear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art textbooks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studio work, art appreciation, aesthetics and art history of art lessons. After students learn the art terminology through class activity, they feel free to use the terminology by practicing and dealing with ideas they have.   If students understand the context of art terminology fully, they will have sense of understanding the whole world of art as experiencing, searching, knowing and enjoying.   We are concerned when we see the art terminology in textbooks, foreign art terminology causes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to learn and to understand about art and art culture. Art terminology in art textbooks very much depend on foreign languages such as English and French which need to be translated in Korean. Translating Foreign art terminology into Korean will help the student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words more easily.   For this study, we have examined how foreign art terminology such as English, French and Chinese appear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art textbooks and presented the foreign terminology sorting by school level instead of grade by grade. Along with this, we also discuss how the art terminology is important and what the problems of foreign art terminology 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